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호
가맹
아래
d라이브러리
"
산하
"(으)로 총 380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에 생명체가 살고 있을까? 궁금해, 큐리오시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6
있는 제트추진연구소에 와 있습니다. 제트추진연구소는 미국항공우주국 (NASA)
산하
연구소로 무인탐사로봇차량 큐리오시티를 개발했지요. 때마침 이곳에서 는 ‘오픈하우스’라는 행사가 열리고 있는데요. 일 년에 한 번 연구소의 이곳저곳을 외부에 공개하는 행사랍니다. 매년 3만 8000명 이상이 ... ...
장수의 비결이 정말 소식?
과학동아
l
201210
원숭이 등 고등동물에게는 적합지 않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노화연구소는 23년간 붉은털원숭이들에게 칼로리가 적은 식단을 먹인 결과 더 오래 산다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는 내용의 논문을 ‘네이처’ 8월 30일자에 실었다.연구진은 원숭이들을 14세 ... ...
영국, 세 부모 아기 허용하나
과학동아
l
201207
일반 여성에게 허용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미토콘드리아란, 에너지를 생
산하
는 세포내 소기관으로 어머니한테서만 유전된다. 미토콘드리아의 DNA가 핵이 아닌 난자의 세포질에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버지와 어머니의 유전자, 그리고 또 다른 여성 난자 기증자에게 미토콘드리아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06
200만 배 강한 자기장날짜 2012년 3월 22일우주 탄생의 뜨거움2010년 2월, 미국 에너지국
산하
브룩헤이븐국립연구소는 중이온가속기 ‘릭(RHIC)’이 인류가 경험해보지 못한 가장 뜨거운 온도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RHIC은 금 원자핵 두 개를 총 둘레 길이가 3.8km인 고리 모양의 가속기에 넣고 서로 ... ...
“실패는 신이 주신 선물”
과학동아
l
201203
우주개발이라는 하나의 목표를 달성했어요. 이토가와 박사가 대학을 떠난 뒤에는 정부
산하
항공기술 연구소가 실권을 갖게 됐지만 우주개발 초기 도쿄대학의 공헌은 높게 평가 받고 있습니다." 1999년 이토가와 박사는 사망했다. 일본 과학자들은 그의 공을 기려 2003년 발견된 소행성 25143을 ... ...
토륨 원전 vs 우라늄 원전
과학동아
l
201202
즉 임계로에 연료만 토륨으로 바꾼 방식도 있다.미국 에너지국은 오크리지국립연구소 등
산하
연구소와 함께 냉각재로 용융염을 사용하고 연료는 토륨을 사용하는 용융염원자로 개발에 한창이다. 중국은 이 방식을 개선한 ‘액체불소화토륨 원전’ 연구에 뛰어들었다. IAEA에 따르면 중국은 작년 1월 ... ...
‘마피아’의 자원개발
과학동아
l
201112
그동안 쌓은 연구경험을 활용할 기회가 왔다. 한국광해관리공단은 지식경제부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광산개발로 훼손된 자연환경을 복구해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는 ‘광해복구기술’을 개발하는 기관이다. 현재 필자는 한국광해관리공단 광해기술연구소의 지구화학연구팀장이다. 우리 ... ...
지리산이 감싼 1500년의 눈물
과학동아
l
201112
복무하던 중 낙하산을 타고 내려오며 우리
산하
의 모습에 감탄한 적이 있다. 특히 하늘에서 본 진해항의 아름다움은 지금도 머릿속에 남아 있다. 시간이 지나 대학교에서 조경이나 문화재에 대한 강의를 할 때 떠오른 것이 바로 이때의 기억이었다. 어렵게 7m 길이의 무인비행선을 만들어 항공사진을 ... ...
Part 1. 명상의 뇌과학
과학동아
l
201112
가지 않는다.명상에 관한 과학적 연구가 활발해진 것은 1993년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의 대체의학연구소(OAM)에서 명상 연구에 공식적으로 연구비를 지원한 이후부터다. 2009년 한국을 방문한 미국 하버드대 의대 크리스토퍼 거머 교수는 “마음챙김(mindfulness)이라는 불교의 명상수행법이 미국에서 ... ...
“정글 성큼성큼 걷는 거대로봇 만들 겁니다”
과학동아
l
201111
피하는 게 아니라 그냥 넘어가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로봇은 미국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다.만나자마자 로봇 이야기를 정신없이 하다 홍 교수가 로봇공학자가 된 사연이 궁금했다. 그는 여러 인터뷰에서 “스타워즈를 보고 로봇에 빠져들었다”고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