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례
관례
행로
d라이브러리
"
상도
"(으)로 총 96건 검색되었습니다.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03
유학을 떠날 수 있는 날개가 됐다. “팀워크를 발휘하며 받았던 산자부장관상이라는 큰
상도
코넬대에서 입학허가를 받는 데 도움이 됐지만 사실 여성도 좋은 외국대학에 유학 갈 수 있다고 격려하며 넓은 세계를 보여주신 이 교수님의 멘토링이 큰 힘이 됐어요. 물론 교수님의 추천서도 큰 도움이 ... ...
노벨상은 내 거야! -노벨상 VS 이그노벨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721
“서린다 박사, 한국 여성 최초로 노벨상 수상!”와우~, 정말 멋지겠다! 과학에 대한 나의 사랑을 불태워서 과학영재올림피아드 우승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가장 권 ... 정말 열심히 해야 할걸? 헤헤.우리 꼭 멋진 과학자가 되어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연구도 하고 노벨
상도
타자! 파이팅~ ... ...
명예기자가 과학을 말로 재미있게 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6
생생탐사’에 나온 것처럼 거대한 곤충들이 진짜로 살아나면 어떨지 상
상도
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어요.‘걸리버의 세계로’ 전시는 8월 26일까지 계속된다고 하니, 저처럼 방학에 과학을 만나고 싶은 친구들은 걸리버의 세계로 탐사를 떠나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 ...
파리, 모기 요건 몰랐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1
발견으로 이어진 거야. 모건은 초파리 덕에 1945년 유전학자로는 최초로 노벨 생리의학
상도
받았단다.내 덕에 미래의 주사는 아프지 않을걸? 내 덕에 미래의 주사는 내 덕에 미래의 주사는 아프지 않을걸? 내가 안 아프게 물 수 있는 건 나의 침이 톱니 모양이기 때문이야. 이 점에 착안해 아프지 않은 ... ...
포플러로 깨끗한 세상을 꿈꾸는 문학소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7
글짓기 반에 들게 되었는데 글짓기를 잘 한다는 칭찬도 많이 받고 글짓기 대회에서
상도
타게 되어서 신이 났지요. 그래서 더 글짓기를 하게 됐고요. 중·고등학생 시절에도 책사랑은 계속돼 방학이 되면 도서관에서 책을 몇 십 권씩 빌려 쌓아 두고 하루 종일 읽을 정도였어요.이렇게 책을 사랑하고 ... ...
나노 기술로 거장의 작품을 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06
등을 만드는데 드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약해 준다. “미국 러쉬모어산의 대통령 얼굴
상도
원형 그대로 만들어 부천 아인스월드 테마파크에 기증했다”고 설명하는 양 교수의 미소에 뿌듯함이 묻어났다.올해로 벌써 27년째 연구실을 이끄는 양동열 교수는 KAIST 제 1호 박사다. 무려 655편의 논문을 ... ...
과학에 대한 호기심만 준비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5
결국 교수님의 논문은 인정받게 되었답니다. 시련을 이겨 내고 통과된 논문으로 한국과학
상도
수상하게 된 것이지요.교수님은 연구 외에도 신문이나 잡지에 이공계의 역할에 대한 글을 쓰고 한국물리학회의 교육위원장으로 잘못된 과학교육을 바로잡는 일을 하는 등 사회에 도움이 되는 일도 많이 ... ...
7. 디자인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0503
연계된 독일 ‘iF 디자인상 공모전’에도 신제품 출품을 최소화할 예정이다. ‘
상도
좋지만 기업경쟁력 보호가 더 우선’이라는 전략 때문이다.최근 국내 유일의 자동차 회사인 현대자동차 역시 연구소에 관한 모든 취재를 거부한다는 방침을 밝히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디자인이 ... ...
시민 법의학 그림으로 보는 사건
과학동아
l
200405
나타난 당시 사회의 풍습 등 고전에서 현대미술에 이르기까지 그림에 표현된 다양한 사회
상도
설명하고 있다. 명화를 재해석해 법의학 지식을 전달하는 저자의 안목이 돋보이는 책이다 ... ...
역사 속에서 걸어나온 과학기술자들
과학동아
l
200402
갔던 18세기, 서양문물의 도입기였던 19세기. 과학기술의 흐름을 접하다 보면 당시의 사회
상도
자연스럽게 알 수 있다.‘조선과학인물열전’은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의학 관련 내용도 많이 다루고 있다. 조선시대 최고의 의학서였던 허준의 ‘동의보감’은 물론이고, 5세기 신라의 명의였던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