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방정토
서방극락
극락
d라이브러리
"
서방세계
"(으)로 총 132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로 기술자립의 표본 한국형 경수로
과학동아
l
199409
경수로 4기를 운영했고 4기를 건설중이었으나 통일 독일이 된 후 모두 폐기하고 말았다.
서방세계
중 유일하게 러시아형 경수로 1기를 건설했던 핀란드는 격납용기를 따로 만들어 씌우는 등 오히려 경비가 더 드는 사태조차 발생했다. 제어계통 신뢰도 높아앞에서도 지적했듯이 한국형 경수로는 ... ...
남·북한 전략무기 정밀분석
과학동아
l
199405
못했다고 전해진다.● HQ-2단거리, 지상발사, 액체추진연료, 방어용 미사일 HQ-2는
서방세계
에서는 러시아의 SA-2 미사일 '가이드라인' SAM시스템을 분석공학(다른 회사의 제품을 분해해 철저히 분석하는 기술)으로 복사한 것이라 보았다.그러나 중국 측은 이를 부인하고 자신들이 1961년에서 1964년 사이 ... ...
2000년 1백인승 중형항공기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405
1954년 공군수리창에서 L-19급소형기 「부활」을 자체개발한 후 40년, 한국은 현재 5인승 경항공기 「창공91」을 개발해 시험비행중이며 F-5E/F 전투기(제공호)를 조립생산한데 이어 한국형 초등훈련기 KTX-1을 개발해 시험비행중이다. 이를 토대로 90년대 말까지는 50-1백인승 중형항공기를 자체개발할 예 ... ...
지구과학- 지구의 크기 어떻게 측정했나
과학동아
l
199404
사람들은 옛날부터 지구에 대해 많은 의문을 갖고 탐구해 왔다. 그 결과 우리는 지구에 관한 많은 지식을 얻게 됐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어떤 모습이며 그 크기와 모양이 알려진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지구는 우리 인간이 탄생해 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백만 종 이상의 생명체가 태양계 내의 ... ...
1. 세계가 자랑하는 대형로켓들
과학동아
l
199403
동방4호이다. 이를 인공위성발사시스템으로 전용한 것이 장정1호. 중국의 장정시리즈가
서방세계
에 첫선을 보인 것은 1987년 파리 에어쇼에서다. 모델명은 CZ-2E로 저지구궤도에는 8.8t의 페이로드를 올릴 수 있으며 정지궤도에는 3.1t의 위성체를 쏘아올릴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CZ-2E는 1990년 7월에 ... ...
전차 戰車
과학동아
l
199311
개발을 진행했다. 1977년 제작된 레오파르트Ⅱ(사진5)는 최초의 제3세대 전차로서
서방세계
에서는 처음으로 1백20㎜ 활강포(포신 안쪽에 강선이 없는 포. 강선이 있는 것은 강선포라고 함)를 사용했다.이 전차는 1천5백마력의 강력한 디젤엔진에 레이저 및 디지털 컴퓨터를 이용한 FCS 그리고복합장갑 ... ...
(2) 우주의 시작에서 마지막까지 표준우주모델 시나리오의 기틀 마련
과학동아
l
199309
정지하고 있음을 기대할 수 없고 한점으로부터 커지고 있음을 밝혔다.이 모델은 그 당시
서방세계
에서 별로 주목을 받지는 못했다. 이 모델은 서서히 팽창하다가 멈춘 후 다시 수축하는 모습올 보이고 있다. 팽창하는 모습은 모든 은하들이 서로 반대로 멀어지고 있는 허블의 관측결과와도 동일한데 ... ...
금세기 최대의 유성우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199308
1백35년만에 지구를 방문한 스위프트-터털 혜성이 남기고 간 화려한 별똥들의 축제를 감상한 후 여름의 대삼각형에 숨겨진 아름다운 성운들을 찾아보자.한낮의 찌는듯한 더위로 유명한 8월의 밤하늘은 낮과는 대조적으로 아마추어 천문가들에게 기장 친절히 자신의 모습을 볼 기회를 제공해준다.대 ... ...
스리랑카
과학동아
l
199303
눈이 시리도록 푸른 바다와 푸른 하늘 울창한 정글 등으로 스리랑카는 지구상에서 아직까지 오염되지 않은 나라로 꼽힌다.스리랑카는 인도대륙 남동쪽에 있는 섬나라다. 지형은 남북으로 긴 서양배 모양으로 중남부가 고원지대이며 그 주변은 해안선을 향해 낮아지고 넓은 평야가 전개된다. 최고 ... ...
1. 역사
과학동아
l
199301
이 사건은 미국의 첫 인공위성 발사를 서두르고 있던 미국민과 과학자들, 그리고
서방세계
각국의 국민들을 초조하게 만들었다. 왜냐하면 미국에서는 아직 첫 인공위성도 발사하지 못했는데, 소련에서는 벌써 개가 탑승한 무게 5백㎏짜리 인공위성을 발사했기 때문이다. 당시 미국에서 발사하려고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