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자"(으)로 총 1,791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족보 꼬인 원숭이의 영리한 공동육아과학동아 l201702
- 조직뿐만 아니라 체세포와 생식세포에도 키메리즘이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를 토대로 연구자들은 태반이 합쳐지는 시기가 생식세포가 발달하기 이전, 즉 임신 1개월 무렵일 거라고 추정한다.생식세포의 키메리즘은 생각보다 골칫덩이다. 몇 대만 내려가도 놀라운 현상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 ...
- [Career] 건담 로봇 마니아, 건담보다 어려운 연료기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02
- 연료 입자의 움직임 파악해 에너지 생산 효율 높인다박 교수는 대단히 도전적인 연구자다. 서울대 공대에서는 2016년부터 세명의 교수를 선발해 연간 3000만 원씩 10년간 연구비를 지원하는, 이른바 ‘한 우물 파서 홈런 치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박 교수는 이 프로젝트의 첫 주자로 선정됐다. ... ...
- [Career] 시멘트 없이 콘크리트 만드는 과학 연금술사과학동아 l201702
- 제조 기술은 현재 한계에 이르러 생산과정에서 더 이상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어렵다. 연구자들은 대신 콘크리트(시멘트에 자갈과 모래, 물을 섞어 만든다)의 내구성을 연구해 이미 만들어진 콘크리트 건물을 오래 써서 최대한 시멘트를 적게 만들도록 하거나, 시멘트를 대체할 친환경 건설 재료를 ... ...
- [Origin] 일본 iPS세포연구소과학동아 l201702
- ‘빵빵하다’고 알려지다보니(젊은 과학자들을 위한 장학금 제도도 있습니다), 해외 연구자들이 줄을 잇습니다. 조금 과장하면 유명한 석학들도 안식년을 이곳에서 보내기 위해 경쟁할 정도입니다. 제 생각에는 일본의 옛 전통이 살아 숨쉬는 교토의 매력도 한몫 하는 것 같아요. CiRA는 교토 시내인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01
- 미래에 상상했던 수준 이상으로 발전하게 될 전망이다. 각 기술의 최전선을 서울대 연구자에게 직접 들어본다. 현재 어디까지 개발됐고, 미래에는 어떤 놀라운 기술로 완성될까. 2011년 IBM 왓슨이 TV 퀴즈쇼 ‘제퍼디’에서 우승했다. 2016년에는 구글 딥마인드가 만든 인공지능 프로그램 알파고가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01
- 소자를 양산할 수 없기 때문이다.새로운 소자가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세계 곳곳의 연구자들이 차세대 3진법 컴퓨터를 구현할 소자를 찾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시도하는 중이다.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기존의 2진법 소자를 이용해 2진 신호를 0과 1, 2 세 가지 상태로 변환하는 집적회로를 만드는 ... ...
- [Origin]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01
- 염기쌍에서 약 0.01%가 단일염기다형성으로 사람마다 염기 1000개당 한 개씩 차이가 난다.연구자들은 지난 2세기 동안 수집된 747마리의 적색야계 표본에서 280만 개의 단일염기다형성이 형성된 것을 확인했다. 이경태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생명환경부 동물유전체과 농업연구사는 “(당시 연구는) ... ...
- [Origin] 원숭이 사회에 흔한 관계, 동성애과학동아 l201701
-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처럼 질문을 하고 답을 들을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해 연구자들은 답답할 뿐이다. 어쩌겠는가, 더 다양한 원숭이를 관찰해 개별 결과를 모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수밖에 없다. 전세계 많은 영장류학자들이 연구에매진하고 있으니, 어쩌면 머잖아 동성애에 ...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01
- 연구하는 사람이 많지는 않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국내의 유일무이한 3진법 회로 설계 연구자다.“아직 갈 길이 멉니다. 3진법 소자가 개발된다 하더라도 이에 맞는 소프트웨어는 아직 이론적인 연구수준을 벗어나지 못했고, 시스템 단위의 아키텍처 설계 또한 지연되고 있습니다. 3진법 소자 ... ...
- [Issue] 100만 군중 안전하게 대피하려면과학동아 l201701
- 전형적이지않은 사람들의 움직임도 분명히 있습니다. 여기서 발생하는 오차를 줄이고자 연구자들은 셀의 크기를 가능한 작게 만듭니다. 권 선임연구원의 경우 셀의 크기를 사람이 독립적으로 차지할 수 있는 공간인 0.25m2(0.5m×0.5m)를 기준으로 했습니다. 권 선임연구원은 “셀의 크기가 작아진다는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