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차
증기기관차
기관차
증기차
d라이브러리
"
열차
"(으)로 총 350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해양 미션 임파서블
과학동아
l
201205
살 수 없나.’ ‘바다 속에서 기차가 지나가는 터널은 없을까.’ ‘배는 왜 비행기나 고속
열차
보다 느릴까.’바다를 대상으로 한 이같은 의문은 예전에도 있었다. 다만 공상과 상상에만 머물렀을 뿐이다. 과학기술이 터무니없이 부족했기 때문일까.아니다. 필요하지 않은 데다 비용이 많이 들기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05
Environmentally improved를 의미한다.미래에는 얼마나 큰 선박을 바다에서 볼 수 있을까.
열차
처럼 긴 꼬리를 문 선박들이 떠다니지는 않을까. 아니면 스스로 해체되고 결합하는 트랜스포머 선박이 나오지 않을까. 과학적 상상을 하는 것만으로도 즐거운 일이다.[대형 컨테이너 선박은 친환경기술의 핵심 ... ...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
과학동아
l
201205
훨씬 느리다고 낙담하진 말자. 우리에겐 시속 900km 이상으로 달릴 수 있는 자기부상
열차
가 있다. 비행기 속도와 비슷하다. 과연 태평양을 횡단하는 터널을 만들 수 있을까. 흥미진진한 과정을 함께 들여다보자.태평양 바닥을 뚫는다?“태평양이요? 태평양이라고 별 다를 것 있겠습니까? 현대 과학과 ... ...
기계항공공학
과학동아
l
201204
더욱 주목받고 있다.2 어디에 사용되나요?기계항공공학은 자동차, 고속
열차
, 항공기 등을 만들어 역동적인 사회를 이끌었다. 뿐만 아니라 모든 제품의 디자인 및 설계, 제조를 책임졌다. 이제는 우주발사체, 인공위성, 첨단로봇처럼 20년 후 인류의 키워드로 자리잡을 미래의 핵심 산업을 발전시키고 ... ...
알프스 주인의 깨끗한 물 지키기
과학동아
l
201202
만년설과 빙하가 점점 녹고 있으며 눈이 내리는 것도 전 같지 않다. 융프라우행 산악
열차
창밖으로 보이는 스키장마다 인공제설기가 놓여 있는 모습이 안타까웠다(12월 중순인데도 개장하지 못한 스키장도 있었다). 빙하가 녹으면 강물이 범람해 예기치 못한 대홍수로 이어질 수 있으며 언젠가는 ... ...
열차
기관사 '뿌잉 뿌잉 치치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1
끈질기게 부탁한 결과였다.“옜다. 티켓 두 장이면 된다고 했지?”다무러와 함께 신나게
열차
에 오른 썰렁홈즈. 아프리카 초원을 기차로 내달릴 생각을 하니 출발 전부터 가슴이 벅차올랐다. 그런데 이게 웬일? 기관사인 뿌잉뿌잉 치치포가 헐레벌떡 썰렁홈즈를 찾아왔다.“큰일 났어! 기관차가 ... ...
가자, 세계로! 유럽으로 떠나는 문화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5
스위스의 관광 아이디어 중 하나가 바로 ‘기차’예요. 산악철도와 톱니바퀴 등산
열차
가 스위스에서 세계 최초로 등장했지요. 알프스가 지구온난화에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기 때문으로, 스위스 철도는 다른 유럽 국가의 철도에 비해서도 무척 낮은 탄소 배출량을 자랑해요. 온실 가스 배출량을 ... ...
지구 속 뚫고 달리는 진공튜브
열차
과학동아
l
201112
불이 잘 번지지 않아 오히려 대참사를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열차
를 좀 더 빠르게 달리게 하고 건설비를 줄이기 위해 터널의 단면적을 줄이는 한편, 사고가 났을 때 사람들이 대피할 수 있는 경로나 시스템을 만드는 방안도 연구하고 있다.전문가들은 빠른 속도에 비해 안전한 ... ...
엘리베이터는 언제 올까?
수학동아
l
201111
줄면서 건물을 더 넓게 쓸 수 있게 됐다. 앞으로 엘리베이터에 달린 로프를 없애고 전기
열차
처럼 레일 위를 움직이는 기술이 개발되면 운송량과 서비스의 양이 크게늘 전망이다.X note기울어진 엘리베이터서울 강북구‘북서울 꿈의 숲’에 가면 기울어진 엘리베이터를 볼 수 있다. 산비탈에 수직 ... ...
PART 1. 타임머신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11
시공간에 대한 우리의 관념을 심각하게 수정해야 할 것이다. 상대성이론의 출발은
열차
시간?그런데 아인슈타인은 어떻게 시간의 문제에 대해 근본적으로 새로운 생각을 하게 되었을까? 하버드대의 과학사학자 피터 갤리슨은 2003년에 출판된 ‘아인슈타인의 시계, 푸앵카레의 지도: 시간의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