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양
정수
정액
d라이브러리
"
정량
"(으)로 총 26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목별 핵심 단원부터 정복하라
과학동아
l
201104
비교해보면, 연세대는 정성적인 설명을 요하는 문항의 비중이 크다. 반면에 고려대는
정량
적인 계산과정을 중시한다. 또한 출제 범위는 과학II 과목의 내용뿐만 아니라, 교과과정 외의 내용도 포함된다. 전년도 기출문제는 논술모의고사에서 보여준 원칙을 매우 충실하게 반영했다. 과학I을 기본으로 ... ...
“올림피아드 성적 반영 안 한다”
과학동아
l
201104
학생기록부에서 수학, 과학 성적을 중심으로 교과 성적 전체를 본다. 세부 점수를
정량
화하지 않고 종합적으로 평가한다.영재성 입증자료에서 바뀌는 부분이 있는가?영재성 입증자료는 자기소개서와 추천서에 기록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요구하는 서류다. 단순히 학업 내용을 정리해놓은 건 ... ...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12
지적했다.이처럼 기와 경락의 실체가 불분명하면 진료 과정에 큰 문제가 생긴다. 기를
정량
적으로 측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은상용 대한의사협회 정책이사는 “‘기가 허하다’라는 표현이 정확한 진단이 되기 위해서는 인체의 기 평균치가 얼마이며 그와 비교해 얼마나 부족한지 객관적으로 알 수 ... ...
[통합과학] 메탄하이드레이트 추출과 CCS기술
과학동아
l
201010
그래프 자료에 대한 이해 능력, 추론 능력과 물리량 단위 환산 과정에 대한 이해와
정량
적 계산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입니다. 특히 이산화탄소를 초임계 상태로 보관하는 상황에 대한 추론적 설명이 필요합니다. 1) 메탄하이드레이트는 메탄과 얼음으로 구성돼 있다. 이중 메탄은 생물체의 ... ...
[지구과학] 지진파 탐사의 원리
과학동아
l
201010
분포다. 1) [난이도 하] 매질의 종류에 무관하게 P파의 속력이 S파의 속력보다 큰 이유를
정량
적으로 설명하시오. 2) [난이도 중] 지진파 속도식과 밀도 분포를 참조해 지구 내부 지진파 속도 분포를 설명하시오. 3) [난이도 중] 지구 내부 온도 분포를 추정하게 된 과정을 추론하시오. [전문가 클리닉] 1) ... ...
이제는 우측보행 시대!
과학동아
l
201008
우측주행, 좌측보행 체계가 큰 문제는 없는 것 아니었을까.“저희 조사는 바로 현상을
정량
적으로 분석해 보행 방향 변경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작업이었습니다.”연구팀은 먼저 사람들의 보행 습관을 조사해봤다. 그 결과 우산이나 짐을 오른손에 들고 다니는 경우가 80%로 왼손보다 훨씬 높았다. 또 ... ...
세포 호흡과 ATP 합성
과학동아
l
201008
소비되는 산소량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③번 숙신산을 추가로 일
정량
넣었을 때 결국 ③→④→⑤→⑥ 과정에서 필요한 산소가 소비될 것이라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직선이 아니라 회로라면 문제가 달라지는데 그 이유는 ⑥번에서 다시 ①→②→③→…로 산화반응이 추가로 이어지기 ... ...
연세대 수시의 핵, 논술 만점 비법 추론과 글쓰기 집중 훈련
과학동아
l
201007
수준의 배경지식을 기반으로 화학적·생물학적 추론, 물리와 지구과학의 소재를 혼합한
정량
적 계산과 창의적 고찰에 대한 논제를 보면 지난해와는 사뭇 다른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여름방학 전략 어떻게 짤까 일반우수자전형에 지원하는 학생들이 연세대 논술시험을 준비할 때 가장 힘든 점은 ... ...
구글어스로 재난 복구 돕고 신종 생물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03
극명하게 보여줬다. 그런데 과학자들이 이 영상을 가지고 연구하기 시작했다. 북극이
정량
적으로 얼마나 녹았는지, 그로 인해 피해를 얼마나 입었는지 분석한 것. 인터넷 영상지도라는,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콘텐츠가 과학자들에게는 새로운 과학적 영감을 불러일으켜 줄 대상이 된 셈이다 ... ...
현미경으로 살아 있는 나노세계를 보다
과학동아
l
201003
연구단은 간섭현미경을 이용해서 세포의 형태를 3차원으로 구현하고 이때의 세포 두께를
정량
적으로 계산해냈다. 이는 그동안 생물학자들이 염원하던 기술이다.간섭현미경으로 연구단은 적혈구가 떠는 모습을 잡아냈다. 1초에 100번 이상 찍을 수 있는 촬영속도 덕분이다. 김 교수는“간섭현미경은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