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캔바스
화포
canvas
d라이브러리
"
캔버스
"(으)로 총 72건 검색되었습니다.
기계를 꿈꾸는 인간, 인간을 꿈꾸는 로봇
과학동아
l
200602
도움을 얻어 자신의 새로운 생명체 ‘터부요기니’를 반도체에 심었다. 틀에 박힌
캔버스
에서 벗어나 색다른 작업 방식을 보여준 그녀의 실험은 반도체 기술과 만나면서 참신함을 더한다.ICU디지털미디어랩이 만든 ‘나노로봇’은 공기처럼 우리 주변에 퍼져있을 미래의 로봇을 잘 형상화하고 있다. ... ...
창공을 가르는 날틀의 경연
과학동아
l
200511
그리며 치솟기를 몇 번. 분열과 합체를 번갈아 하면 하늘은 어느 새 짙고 푸른 바탕의
캔버스
처럼 변한다.편대를 이뤄 나란히 하늘을 달리던 두 대의 곡예기가 서로 좌우 대칭으로 갈라지면서 하트모양이 가을 하늘에 두둥실 떠오르자 관람객들은 약속이나 한 듯 얼굴에 미소를 머금는다. 연이어 ... ...
뇌의 미로에서 출구를 찾다
과학동아
l
200509
알토 색소폰을 불기도 한다. 얼마 전에는 록 가수 전인권의 콘서트에도 다녀왔다.붓과
캔버스
대신 마우스와 컴퓨터로 그림을 그리는 서양화가 김점선 씨와도 친분이 있다. 책상 위에는 화투 그림이 그려진 그녀의 개인전 초대장이, 연구실 벽 한쪽에는 큼지막한 포스터가 붙어있다. “모두 뇌 ... ...
미술로 풀어보는 수학 이야기
과학동아
l
200508
것이다. 일단 인간의 눈에서 그리고자 하는 대상까지 직선으로 연결한 뒤 그 사이에
캔버스
가 오도록 한다. 3차원 세계에서는 평행한 직선을, 2차원 그림에서는 ‘소실점’이라는 한 점에서 만나는 것처럼 그려야 한다.이처럼 미술의 원근법과 관련되는 수학은 퐁슬레가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 ... ...
신경세포가 그리는 초상화
과학동아
l
200308
형태로 표현됐습니다. 그러나 30분 뒤 관람객의 사진에 대한 전기자극을 받은 다음에는
캔버스
아래쪽에 붓글씨 모양의 굵은 선이 나타났음을 볼 수 있습니다. 어떤 식으로든 관람객의 사진에 대해 세포가 반응한 것이므로 일종의 추상적 초상화라고 할 수 있겠죠.과학을 활용한 예술행위는 이번이 ... ...
5백년만에 드러난 숨겨진 화가
과학동아
l
200212
상단에 있었다든지, 종이에 그린 선을 따라 바늘로 구멍을 낸 다음 연필가루 등을 뿌려
캔버스
에 스케치를 복사했다는 등의 흥미로운 사실들도 여럿 밝혀졌습니다.영국 국립미술관의 큐레이터인 데이비드 범포드는“라파엘로의‘성모자(聖母子)와 어린 세례 요한’스케치는 그 자체로도 ... ...
천마도
캔버스
는 수입품 아니다
과학동아
l
200210
갖춘 백화수피천마도는 그림재료로 흔히 쓰는 천이나 비단, 가죽이 아닌 나무껍질을
캔버스
로 이용했다는 점이 특별하다. 무슨 이유에서 나무껍질을 택했으며, 어떤 나무의 껍질을 이용했을까.처음 발굴단에서는 눈으로 보아 백화수피라고 추정했고, 나중에 중앙 임업연구원에서 조사한 전문적인 ... ...
쇠라의 작품과 컬러 인쇄의 공통점
과학동아
l
200209
선을 사용하지 않고 오로지 점만으로 그림을 그리는 방법이다. 원색의 물감을 색 점으로
캔버스
에 옮겨 놓음으로써 그런 색 점들이 하나의 이미지를 창조하는 방법이다. 때문에 점묘법으로 그린 작품은 무수히 많은 색 점들이 감상자의 눈에서 섞이는 원리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적당한 거리를 ... ...
명품의 명성, 과학이 만든다
과학동아
l
200206
자신의 가게를 연 루이비통은 자신이 생각하는 가방을 만들어가기 시작했다. 그는
캔버스
천으로 만든 직육면체의 여행용 가방을 개발했다. 당시 궤짝이나 만들 때 사용하는 사각 디자인으로 여행 가방을 만든 것은 상당히 파격적인 시도였다. 그런데 이 디자인의 가방은 궤짝처럼 몇개라도 손쉽게 ... ...
가상현실 스튜디오에서 유럽 여행 만끽한다
과학동아
l
200203
발판이 됐던 기반 학문에 대해 살펴보자. 예전 화가들은 원근과 입체감이 없는 2차원
캔버스
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지 고민했는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컴퓨터 그래픽스가 탄생했다. 화면에 3차원의 가상 공간을 마련한 것이다. 가상현실의 뼈대를 이루는 학문인 컴퓨터 그래픽스는 ... ...
이전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