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체
상환
교환
이항
d라이브러리
"
호환
"(으)로 총 338건 검색되었습니다.
CD는 가고 DVD 전성시대 온다
과학동아
l
200010
수평주파수 525라인을 사용하며, PAL은 25프레임과 625라인을 사용한다. 이 두 표준은 서로
호환
되지 않으며, 우리나라는 미국과 마찬가지로 NTSC방식의 비디오를 사용하기때문에 미국에서 발매된 DVD타이틀은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영국 등 유럽에서 발매된 DVD타이틀은 인터넷을 통해 수입해도 ... ...
휠체어의 천재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과학동아
l
200010
그래서 타고 다니는 휠체어에 장착된 컴퓨터가 그의 입을 대신하고 있다.이 컴퓨터는 IBM
호환
기종으로 일반적인 컴퓨터의 기능 외에 그를 위해 특수하게 제작된 문장구성 프로그램과 음성변환 장치를 내장하고 있다. A-Z까지 스크린에 나열된 단어를 하나하나 선택하는 방식으로 하고 싶은 말의 ... ...
윈도 vs 리눅스
과학동아
l
200007
필요가 없는 윈도를 계속 사용한다. 특히 기업이나 공공기관같은 단체에서는 서로간의
호환
성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쓰고 있는 윈도를 계속 선택할 수밖에 없다. 이에 반해 리눅스는 낯선데다 새로 배워야 할 것도 많고, 또 초보자들이 흥미를 가질만한 요소가 적다는 단점이 있다. 아직은 ... ...
③ 정보통신 : 남쪽 기술과 북쪽 인재의 결합
과학동아
l
200007
북에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디지털화된 자료는 코드 통일이 돼 있지 않아서 서로
호환
이 안돼 함께 사용할 수 없다.한글 표준화 시급전산처리를 위해서 한글의 자모 순서를 조정하면 사전의 순서도 바뀌어야 한다. 결국 모든 언어규범을 재조정하는 일이므로 남북한 모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 ...
새옷 입은 고속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905
K6-3와 K7AMD는 인텔의 가장 강력한 도전자다. 486 시절부터 인텔의 뒤를 이어 치열하게 저가
호환
제품을 생산해왔다. 최근에는 펜티엄의 강력한 경쟁제품인 K6가 큰 인기를 끌어 지난 2월 1천달러 미만의 PC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현재 AMD의 주력제품은 K6의 기능을 향상시킨 K6-2이고, 최근 ... ...
광기록 매체
과학동아
l
199905
그런데 MO 디스크는 반사율 차이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CD 계열과
호환
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1백만회 이상 반복 기록이 가능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데이터의 안정성이 뛰어나고, 기가바이트(GB)대로 저장매체의 필요 용량이 커지면서 광자기방식이 상변화 방식에 ... ...
④ 과학교육
과학동아
l
199903
개편이다. 학생들의 발달단계와 현실적인 사정을 감안해 의무교육을 늘리면서 상호간에
호환
이 가능하도록 학제의 개편이 있어야 한다. 그런 후 교과서 내용과 편성체제도 좀 더 학생들의 발달단계를 고려해 편집돼야 한다.지금의 추세는 중앙집권화와 대규모화에서 지방자치화와 소규모화로 ... ...
속시원하게 뻥 뚫어주는 인터넷 고속 서비스
과학동아
l
199812
또 애플사의 매킨토시만의 독특한 운영체계인 맥OS를 고집하지 않고 윈도98도 채용해
호환
성을 높였다. 인터넷 접속환경을 강화했고 외부기기와 접속이 용이하게 USB포트도 채택, 펜티업 4백MHz급 CPU에 맞먹는 2백33MHz급 파워PC G3프로세서와 4GB급 하드디스크, 32MB급 메모리 등을 채택했다. 가격은 2백2 ... ...
2. 호주머니 속의 발전소
과학동아
l
199811
알칼리 수용액의 전기 분해 원리를 이용한다.니켈-카드뮴 전지와 전압이 동일해
호환
성이 있으며, 충전시스템도 거의 동일하다. 그러나 전기용량이 1.5-2배 정도 높고 싸이클수명도 우수하다. 또 공해물질인 카드뮴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이며 메모리 효과도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 ...
2. 인터넷 속의 단위 이야기
과학동아
l
199805
각양각색각 나라들은 고유의 단위가 있다. 국제적인 교역이 시작되면서 각 단위들은
호환
성의 필요를 느껴 오늘날과 같은 변환 시스템을 갖추게 됐다. 이러한 단위들간의 변환 시스템을 알려주는 사이트에는 http://www.control.co.kr/conv_w.html가 있다. 여기서는 숫자부터 부피까지 22개의 단위들이 어떻게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