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e10"(으)로 총 788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과학동아 l201611
- 지구가 지금의 지구인 데는 이유가 있다. 수많은 천체와 힘겨루기를 한 결과다. 액체 물로 된 바다, 생명력을 주는 바람과 비, 발 딛고 설 단단한 토양 등 지구가 원래 가진 속성이라기보다 우주라는 네트워크가 만든 우연한 결과다. 만약 우주를 이루는 요소 중 하나가 갑자기 사라지면 그 이후 지구 ... ...
- [지식] 세계는 스팸과 전쟁 중수학동아 l201611
- ‘필독! 부자 되고 싶다면 클릭!’. 기자는 오늘 아침에도 스팸메일을 한 통 받았습니다. 성가신 스팸 때문에 찜찜한 기분으로 하루를 시작한 사람은 저뿐만이 아닙니다. 세계는 지금 스팸메일과 전쟁 중입니다. 인류는 스팸과 싸워 이길 수 있을까요?빌 게이츠도 싫어한 스팸2003년 6월, 마이크로소 ...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과학동아 l201611
- 지난 해 통계청이 조사한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1인 가구의 수는 전체 가구의 25%를 훌쩍 넘는 520만 명이다. 사회가 점차 고령화되고 초혼 연령이 늦어지면서 1인 가구가 부쩍 늘어났기 때문이다. 문제는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사회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생겼다는 것이다. ‘외로움’이다. 올해 ...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과학동아 l201610
- 한국 정부에서 과학자들에게 주는 연구비 규모도 이제 세계적인 수준이 됐는데, 한국의 연구비 생태는 어떤 상황일까. 1파트에서 살펴 본 ‘노벨 생태계’처럼 과학자들의 자유로운 연구를 지원하고 있을까.취재팀이 국내 과학기술분야 연구자 10명을 인터뷰한 결과, 안타깝게도 한국의 연구비 지 ...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과학동아 l201610
- 과학이라는 생태계를 숲에 비유하면, 연구비는 숲을 풍요롭게 가꾸는 양분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은 세계 6대 과학기술 연구개발(R&D) 투자국이며,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장 많은 연구비(4.29%)를 지원하고 있다. 머지않은 미래에 노벨상 수상을 기대하는 이유도 이처럼 과감한 투자에 있다. 하지만 과 ... ...
- [News & Issue] 내 손으로 가장 정밀한 뇌 지도를 그린다면과학동아 l201609
- 인간 커넥톰 프로젝트는 인간의 뇌신경 연결지도를 만든다는 목표로세계적인 뇌과학 연구자들이 지난 2005년 출범시킨 공동 연구다.이번 여름휴가는 어디로 다녀오셨나요? 예전에 가봤던 곳을 잊지 못해 또 가보셨나요, 아니면 새로운 곳을 향해 떠나셨나요. 저는 이번에 잘 알려지지 않은 곳으로 ... ...
- [지식] 엑소 EX’ACT에 드리운 수학 그림자수학동아 l201609
- 지난 6월 1일 오전 10시, 엑소 공식 홈페이지에 의문의 글자가 하나씩 뜨기 시작했다. 가장 먼저 등장한 글자는 알파벳 E, 이어서 X와 E에서 X로 이어지는 화살표가 나타났다. 오후 5시가 되자 일곱 글자와 화살표가 하나로 연결된 정육각형 로고가 만들어졌다. 화살표를 따라 알파벳을 읽으면 EXACT, EXO3 ...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09
- 장내미생물의 기원이 이제야 서서히 윤곽을 보이는 것과 달리, 장내미생물의 역할에 대한 관심은 전부터 뜨거웠다. 불을 당긴 건 미국 워싱턴대 제프리고든 교수팀이었다. 2006년 ‘네이처’에 장에 사는 세균에 따라 날씬해지거나 살이 찔 수 있다는 쥐실험결과를 공개한 이후, 장내미생물은 한 순 ... ...
- [Tech & Fun] 운동 선수의 금지약물 복용, 효과 얼마나 지속될까과학동아 l201609
- 야구팬들 사이에서 때 아닌 과학 논쟁이 붙었다. 논쟁의 주인공은 두산 베어스의 외야수 김재환이다. 김재환은 지난 2011년 도핑테스트에서 금지 약물을 복용한 것이 적발돼 징계를 받았다. 그런데 올해 김재환이 대활약을 하면서 다시금 이야기가 도마에 오른 것. 논란의 핵심은 5년 전 약물이, 아직 ...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09
- 노벨상 수상자 111명과 과학자와 일반 시민 5769명이(8월 17일 기준) 환경 운동단체에게 유전자변형작물(GMO)을 반대하는 활동을 중단하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과학자와 환경단체 사이의 갈등이야 간혹 있어왔던 일이지만, 이렇게 노벨상 수상자들이 단체로 환경단체의 활동을 비판하고 나선 건 이례적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