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부
안주인
d라이브러리
"
가정주부
"(으)로 총 101건 검색되었습니다.
냉장고는 왜 윙윙거릴까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경제체제에서 새로운 가사 제품에 대한 질문은, '그것이 가정에 유익한가' 혹은 '
가정주부
는 그것을 구입할 용의가 있는가' 등이 아니다. 오히려 '우리가 그것을 제작할 수 있는가' 아니면 '그것을 적당한 가격에 판매할 수 있는가' 등의 질문인 것이다.따라서 소비자들의 선택은 그들이 소유하기를 ... ...
큰틀 대표 이한순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PC통신 초창기부터 꾸준한 활동을 펼쳐온 '클틀'이 최근들어 다양한 분야로 범위를 넓히고 있다. 이 회사 대표인 이한순 사장은 동영상 정보를 가공해 통신망에 올리기 위한 미래 산업의 초석을 다지느라 바쁘다.'PC 1세대'로 불리는 사람들이 있다. 80년대 초반 8비트 애플이 국내에 소개되면서 불붙 ... ...
스트레스 왜 해로운가
과학동아
l
1995년 10호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앓고 있는 '병 아닌 병' 스트레스. 그러나 스트레스는 항상 나쁜 것도 아니고, 누구나 평소의 생활습관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1 스트레스란 무엇인가"스트레스를 엄청나게 받습니다.""이러다가는 스트레스 때문에 머리가 터질지도 모르겠습니다.""스트레스 때문에 무서운 꿈 ... ...
1 '암·백혈병의 원인' 연구발표 잇달아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파손되면 그 틈새로 높은 출력의 마이크로웨이브가 누출되는 데, 유럽에서는 이로 인해
가정주부
가 화상을 입는 사고가 나기도 했다.폴란드에서는 71-80년 동안 군복무 중 마이크로웨이브에 노출됐던 군인과 그렇지 않은 군인들 수십만명의 암 사망률을 분석한 결과, 소화기 대장 폐 피부 및 ... ...
일본 최대 PC통신 서비스─최신정보 가득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통한 정보 제공 뿐만 아니라 메일, 동호회, 통신예약 서비스 등을 포괄함으로써
가정주부
에서부터 비즈니스맨까지 폭넓은 사용자층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는 3백여 개의 포럼(동호회)이 니프티서브 측의 강력한 후원 아래 활발히 활동하고 있어 포럼을 통해 일본과 일본인의 문화를 생생하게 느낄 수 ... ...
"자연과 인간 함께 사는 방법을 배웠다"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월동할 수 있도록 조성해 놓은 곳이라고 느꼈습니다. 또 민간야조회 회원들이나 일반
가정주부
들이 값비싼 탐조장비와 많은 조류도감들을 들고 와서 탐조하는 것을 보고 부러운 마음 금할 수 없었습니다. 나도 좀더 열심히 공부해서 좋은 탐조동호인이 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원교수님, ... ...
1 PC, 생활필수품으로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덩치 큰 대형 기종이 컴퓨터의 전부였던 시절의 관점에서 바라보자면 경천동지할 사건이 일어났다. 집집마다 컴퓨터가 들어 앉은 것이다. 사무실의 문을 박차고 뛰쳐나온 컴퓨터는 이제 냉장고나 텔레비전에 버금가는 가전제품으로 자리잡으며 가정생활의 중심에 서 있다.1890년 경 등장한 기계중 ' ... ...
2 홈PC 가족 모두 함께 즐기려면··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PC가 명실상부한 가전제품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이 기계에 대한 공포감부터 물리쳐야 한다. 특히 가정에서 주부가 차지하는 비중을 볼 때 주부의 '컴퓨터 내 친구만들기'는 홈PC가 정착되기 위한 첫째 조건. 사례를 통해 PC가 가족을 위해 봉사하게 되는 과정을 살펴보자. '컴맹'이란 말이 문맹에 ... ...
3. '통신 천국' 미국 온라인 서비스망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인류 역사상 최대의 사건이 될 것으로 평가 받고 있는 초고속 정보고속도로. 이 발상의 근거지인 미국에서는 이미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는 각종 온라인 통신서비스가 실시되면서 '그날'을 대비하고 있다. 우리와 차원이 다르긴 하지만 미국 통신서비스의 이모저모를 살펴보는 것은 대단히 유익한 ... ...
쓰레기 재생의 과학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그동안 경제성장과 더불어 소비가 활성화되고 1회용 용기의 사용량 급증했다. 게다가 내구 소비재의 수명이 짧아져 쓰레기 발생량이 날로 늘어나고 있다.전국 어디를 가나 넘치는 쓰레기로 눈살을 찌푸리게 되고 이러다간 좁은 땅덩이가 온통 쓰레기로 덮이지 않을까 걱정이 될 정도다.더욱이 인스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