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카톨릭
천주교
캐톨릭
캐돌릭
구교
카톨릭교
성당
d라이브러리
"
가톨릭
"(으)로 총 235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세계 상위 1% 한국인 과학자는 누구?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총 19명으로, 가장 많은 연구자가 포함된 분야는 약리학및독성학 분야다. 이은성(
가톨릭
대)·박광식(동덕여대)·박태관(KAIST)·김광명·권익찬(한국과학기술연구원)·박재형(성균관대)·최진희(서울시립대) 등 7명이 상위 1% 연구자에 이름을 올렸다. 화학 분야는 6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윤주영(이화여대 ... ...
[Tech & Fun]‘착한 패딩’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많은 과학자들이 PFC가 건강과 환경에 주는 악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양재호 대구
가톨릭
대 의대 약리학교실 교수팀이 대구와 경북 포항에 사는 여성 70명과 이들의 아기 70명의 제대혈에서 PFC 농도를 측정했는데, 환경호르몬에 많이 노출된 임신부일수록 저체중 아이가 태어날 확률이 높았다(학술지 ... ...
[지식]SHERLOCK열혈 팬, 천재 수학자를 만들다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에게 신부님이 축복을 빌어주시는 것 같았어요.” 수학신동 모리아티19세기
가톨릭
집안에서는 사내아이가 총명하고 공부하기를 좋아하면 사제가 되도록 길을 닦아 주었다. 그래서 모리아티도 아마 예비 신학대학에 들어갔을 것이다. 맥 경위가 말한 성직자적인 면모도 여기서 나왔을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움직이는 모습을 본 적이 없었다고 한다”고 말했다. 초우따라 팀 봉사단원인 노은지 씨(
가톨릭
대 4학년)도 “한 번도 춤을 춰 본 적 없는 아이가 용기를 내서 자신의 감정을 춤으로 표현하는 것을 보고 놀랐다”며 감탄했다 .일주일 안팎의 짧은 기간 동안 심리치료로 할 수 있는 일은 많지 않다. ... ...
[과학뉴스] “여드름 안녕~!” 봉독으로 만든 여드름 치료제 임상시험 돌입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사는 세균에 강한 항균효과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농촌진흥청은 9월 15일부터 대구
가톨릭
대병원과 영남대병원에서 여드름 환자 75명을 모집해 봉독이 들어 있지 않은 약물과 봉독 함량이 2배 차이 나는 두 종류의 약물을 시험하기 시작했다. 하루 2회씩 총 12주 동안 치료제를 바른 뒤 용량에 따른 ... ...
[Life & Tech] 비만? 고기보다 음료수가 문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권했는데 실제로는 트랜스지방이 많은 마가린이 해로운 제품이었던 것이다. 송윤주
가톨릭
대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지방과 단백질이 풍부한 고기는 비타민과 무기질까지 고루 갖춘 완벽한 식품”이라며 “더구나 우리나라 사람들은 아직 고기 섭취량이 많은 편에 속하지 않는다”라고 단호하게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전자기장 교란의 한 형태라고 추정했고, 그의 이론은 훗날 실험으로 증명됐다. 전인태
가톨릭
대 수학과 교수는 “근대과학은 편미분방정식과 함께 발전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미분방정식을 풀면 세상의 모든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고 말했다.현실을 보고 만든 편미분방정식, 과연 ... ...
Part 3. 적분은 미분의 반대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수렴한다. 이렇게 정의된 적분이 ‘리만 적분’이며, 우리가 흔히 봐 온 적분이다.전인태
가톨릭
대 수학과 교수는 “그러나 현대적 의미의 적분에서는 이 정의도 엄밀하지 않다”며 “어떤 함수는 이런 방식으로 적분이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보자. 정의역이 유리수일 때는 1이고,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촉각을 느낄까. SF에 나올 것 같은 이런 실험 을 직접 해 본 연구팀이 있다. 정 용안
가톨릭
대 통합의학연구소 교수팀이다. 정 교수팀은 25만Hz 수준의 약한 초음파를 지원자 15 명의 뇌에 쏴 손에서 감각을 느끼 도록 했다고 ‘사이언티픽 리포트’ 3월 4일자에 발표했다. 지원자들은 손에서 찌릿하고 가 ... ...
[과학뉴스] 간암 잡는 물질 찾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억제 유전자’의 조절 기전을 밝혀 간암 치료제 개발에 전환점을 마련했다. 남석우
가톨릭
대 의대 교수팀은 ‘마이크로RNA-221’이 암 억제 유전자인 ‘HDAC6’의 발현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마이크로RNA-221이 줄어들면 암 억제 유전자가 증가해 간암세포의 성장이 억제됐다. 반대로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