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려대학교"(으)로 총 465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잘 지낼 수 있을까? 가상 인간의 미래를 말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5호
- 가상 인간이 사람들 속으로 들어와 새로운 콘텐츠를 보여 주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부작용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가상 인간을 이용해서 다른 사람에게 혼란을 주거나 진짜 인간이 아니라는 이유에서 가상 인간을 함부로 대하는 사람도 있거든요. 가상 인간과 잘 지내려면 어떤 점들이 고려돼야 할 ... ...
- [기획] 데이터 분석으로 꿀벌을 구하라!수학동아 l2022년 05호
- 꿀벌이 사라지는 일은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야. 미국, 유럽, 아프리카 등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면서 세계 곳곳에서 꿀벌을 되살리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지! 구출작전 1 AI로 기생충과 말벌 발견! 꿀벌을 위협하는 가장 큰 이유 바로아응애! 유럽에서도 바로아응애는 양봉을 방해하 ... ...
- [기획] 먹는 약, 코로나19에 희망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9 환자가 입원하거나 사망할 확률을 약 88% 떨어뜨린 것으로 나타났지요. 이에 대해 고려대학교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는 “먹는 치료제 덕분에 사망자를 줄이고 중환자실에 여유가 생길 거라 기대한다”면서도, “우리나라 의료 현장에서 수십만 명에게 약을 투여했을 때에도 임상시험에서와 같은 ... ...
- [기획] 코로나19 먹는 치료제 나온다! 전격분석 항바이러스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코로나19 팬데믹, 도대체 언제 끝나지?”다들 궁금해 하지만 아무도 정답을 알 수 없는 이 질문에 희망이 될 소식이 하나 도착했습니다. 1월 13일, 코로나19용 먹는 치료제가 드디어 최초로 국내에 들어온 겁니다. 먹는 치료제, 과연 팬데믹에 희망이 될 수 있을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 ... ...
- [특집] 콘텐츠 인기 순위, 수학으로 예측!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수학은 영화, 드라마의 소재로만 쓰이는 게 아니에요.제작 단계부터 아주 요긴하게 쓰인대요! 준비하고 있는 작품이 대중에게 사랑을 받을지 객관적으로 예측하는 데 활약한다는 말씀! ‘슬기로운 의사 생활’ 흥행, KT는 알고 있었다? KT는 2021년 미디어 콘텐츠의 흥행을 예측하는 AI 모형을 공 ... ...
- [특집] 같이 할래? 시민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지구사랑탐사대는 어느덧 올해로 10번째 주인공을 기다리고 있어요. 2013년 약 300명으로 시작된 지구사랑탐사대는 이제 3000여 명의 대원이 다양한 생물을 탐사하고 기록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로 성장했지요. 시민과학자들이 앱에 올려준 자료는 과학자들의 연구에 쓰이고 있어요. 지구사랑탐사 ... ...
- [특집] 우리 사회에 어떻게 기여했을까? 시민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일반 시민이 직접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하도록 관리하며 의사결정하는 것을 뜻해요. 고려대학교 과학기술학연구소 김지연 교수는 “시민과학은 전문가만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지 말고 다양하고 새로운 접근법으로 문제를 바라보자는 것에서 시작됐다”며, “실험실 속 과학이 사회로 ... ...
- [특집] 당신에게 시민과학은 무엇인가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김범학평택 현화초등학교 교사, 시민과학 프로젝트 GLOBE 시민과학자 김지연고려대학교 과학기술학연구소 연구교수 나미라이화여자대학교 자연대학 에코크리에이티브 협동과정 연구원 시민과학의 무엇이 시민과학자로 활동하는 동기가 되나요? 내가 측정하고 관측한 데이터가 모여 ...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빛이 예술과 과학의 다리가 될 때과학동아 l2022년 03호
- 과학자를 인터뷰할 때는 주로 실험장비가 가득한 연구실에서 만난다. 복잡한 이미지가 나타난 모니터나, 고가의 실험장비에 손을 얹고 사진을 찍을 때가 많다. 하지만 2월 3일 오전, 서민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센서시스템연구센터 책임연구원(고려대 KU-KIST 융합대학원 교수)과의 인터뷰는 서 ... ...
- [기획] 선거 7일 전, 전염병 모형으로 대선의 향방을 예측한다!수학동아 l2022년 03호
- 우리가 가장 흔히 접하는 선거 예측은 ‘여론조사’입니다. 나이, 성별, 지역, 직업 등을 고려해 조사 대상을 구성하고, 어떤 후보를 지지하는지 조사해 정리하는 방식이지요. 통계학적으로 올바르게 설계하면 상당히 정확하지만, 실제로는 여론조사마다 결과가 제각각인 게 현실입니다. 선거 결과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