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골수"(으)로 총 290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이를 위해 전 세계 면역학실험실에서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예컨대, 공여자의 골수를 미리 수여자에게 이식해 수여자의 면역체계를 일부 바꾸는 방법이 있다. 이렇게 하면 숙주가 공여자의 항원을 자기 것으로 인식해 면역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이를 ‘키메리즘’이라고 한다. 팔을 ...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씹어도 되는 먹거리 즉 고기를 먹게 된 호모 속 인류다. 이들은 억센 풀보다는 부드러운 골수, 내장, 그리고 생고기 를 구해 먹기 시작했다. 그러다 보니 저작근육보다는, 다양한 정보를 처리하 는 머리가 커지는 게 더 중요해졌다. 일단 머리가 커지기 시작하자, 그동안 머리 크기를 제한하고 있던 ... ...
- [과학뉴스] 티라노 때려 눕힌 공룡, 사실은 수영 선수?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스피노사우루스는 뒷다리뼈의 구조도 특이하다. 마치 펭귄의 뼈처럼 뼈 속에 빈 공간(골수강)이 없고 발톱도 납작한데, 이런 특징도 헤엄치기에 유리하다. 이밖에 목과 꼬리가 유난히 긴 점도 수영 선수로는 좋은 체형이며, 코가 유난히 아래쪽에 위치한 점도 수중 생활에 도움을 준다.반면 연구팀은 ... ...
- Part 1. 줄기세포 치료제 언제 나오나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인하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골수를 많이 뽑으면 고통스러울 뿐 아니라 단기적으로 골수 기능이 떨어지고, 지방이 많지 않은 사람에게서 무리하게 지방을 뽑다보면 호르몬 분비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며 위험성을 지적했다. 분명 몇몇 의사는 수술 후 환자들로부터 상당히 좋은 반응을 얻고 ... ...
- Part 3. 줄기세포가 ‘분화’만 하는 줄 아니?과학동아 l2014년 07호
- 1960년대 성체줄기세포가 처음 발견된 시기부터 이 신기한 기능이 널리 알려져 있었다. 골수에서 뽑아낸 조혈줄기세포를 환자 몸에 넣어주자 ‘집을 찾아가듯’ 필요한 곳으로 척척 이동하는 거였다. ‘Homing’이라는 이름도 집을 찾아간다는 뜻에서 붙었다. 연구해 봤더니 우리 몸에서 손상된 ... ...
- 김주황의 악당예찬7 - 순식간에 재생하는 암줄기세포? 익스트리미스 군단과학동아 l2014년 05호
- 1997년 캐나다 토론토대 도미니크 보 넷과 존 딕 박사가 발견했다. 당시 연구진은 급성골수성 백혈병 환자의 세포에서 암줄기세포를 발견해 ‘네이 처 메디슨’에 발표했다. 그 뒤 12종류의 암에서 줄기세 포가 발견됐다. 암줄기세포는 줄기세포처럼 자기복제능 력을 가지면서 어떤 종류의 암으로도 ... ...
- 줄기세포 혁명? 또 한 번의 악몽?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배아줄기세포’로, 우리 몸의 모든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다. 참고로 성체줄기세포는 골수 등에 들어 있는 줄기세포인데, 제한된 종류의 세포로만 분화할 수 있다. 배아줄기세포를 인공적으로 만들 수도 있다. 핵을 제거한 난자에 체세포 핵을 넣어 만든 ‘체세포복제배아줄기세포’다. 2004년 ... ...
- 면역세포로 암세포 ‘킬러’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알려져 있다.p53이 고장 나는 이유 중 하나는 ‘MDM2’라는 단백질과 결합했기 때문. 가령 골수성 백혈병은 p53 단백질이 MDM2 단백질에 붙잡혀 제대로 기능을 못하기 때문에 생긴다. 일부 생체시험 결과 MDM2 단백질을 떼어낸 후 암세포가 사라졌다.머크, 로슈, 사노피 등 3개 대형 제약사들은 지난해부터 ... ...
- 백혈병은 반도체 공장 때문이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2호
- 걸린 이유가 반도체 공장에서 사용하던 유해화학물질 때문이라고 믿고 있다. 백혈병은 골수에 있는 조혈모세포(혈액을 만드는 세포)에 이상이 생겨 백혈구와 적혈구, 혈소판을 제대로 만들지 못하는 병으로, 10만 명당 4.8명꼴로 걸리는 희소병이다. 반도체 공장에서 웨이퍼(기판)를 화학물질 용액에 ... ...
- 왜 황우석은 실패하고 미탈리포프는 성공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6호
- IPSc가 있다. 먼저 성체줄기세포는 어른이 된 뒤에도 몸에 남아 있는 줄기세포로 골수, 제대혈, 피부, 지방 등의 조직에서 얻는다. 환자 자신의 몸이나 다른 사람의 몸에서 뽑아내 이용할 수 있다. 환자에게서 얻은 줄기세포는 유전자가 똑같아 거부반응도 없다. 그러나 모든 세포로 분화하지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