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섣달그믐
섣달
섯달
d라이브러리
"
그믐
"(으)로 총 7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는 우주의 중심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저녁에만 보일까?금성은 달을 빼고 밤하늘에서 가장 밝게 빛난다.칠흑같이 어두운
그믐
날에는 금성의 빛만으로도 그림자가 질 정도다.이렇게 밝게 보이는 것은 아홉 행성 가운데 지구와 가장 가까워서이기도 하지만,표면을 덮은 대기의 상층이 태양 빛을 아주 잘 반사하기 때문이다.금성이 새벽 ... ...
찔레꽃은 붉지 않고 낮에 나온 달은 하현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말하면
그믐
달이어야 한다. 초승달은 저녁때 서쪽하늘에 잠깐 보였다가 지는 달이고,
그믐
달은 새벽에 동쪽하늘에서 잠깐 보이다 날이 밝아져 보이지 않게 된다.초승달과 함께 나온 금성이병기의 시에 곡을 붙인 ‘별’이라는 노래가 있다. “바람이 서늘도 하여 뜰 앞에 나섰더니/ 서산 머리에 ... ...
꼬리 묶은 어머니와 아들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13년 주기여서 유성의 대출현이 기대됐지만 그리 많은 유성을 볼 수 없었다. 올해는
그믐
이라 관측여건도 좋아 다시 한번 주목해 볼 만하다.■31일: 금성 서방최대이각지난 9월 26일 최대광도로 빛나던 금성은 지구에서 점점 멀어지고 있는데, 이 달 31일 새벽 동쪽 하늘에서 서방최대이각에 이른다. ... ...
꿈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더욱 강한 흰색이 제대로 표시돼야 한다.또한 흰 눈밭에 뛰어다니는 흰토끼가
그믐
날 밤에 까마귀가 날아가는 것을 보기 위해서는 세밀한 명암의 차이까지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모든 요소들이 제대로 구현돼 눈이 현실감을 느낄 때 비로소 좋은 디스플레이라 할 수 있다.이러한 특성들이 ... ...
18일 새벽 사자자리 별똥 축제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한국 지역이다. 달이 밝으면 유성우 관찰에 방해가 되는데, 천우신조로 이날은 달도
그믐
에 가까워 관측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한다.그러나 이날의 기상조건이 큰 변수다. 구름이 뒤덮인 하늘에서는 유성을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어쨌든 화려한 유성들의 쇼가 다가오고 있고, 관측에 가장 좋은 위치인 ... ...
달은 왜 크기가 변할까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달이 뜨는 시간은 점점 새벽으로 가까워지며 음력 29일 경에는 이른 새벽 동쪽에서
그믐
달을 볼 수 있다.음력의 날짜보다 더 정확히 달의 모양을 표현하는 것은 ‘월령’이다. 월령은 말 그대로 달의 나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삭(달이 안 보이는 때)을 월령 0일로 해서 달의 모양 변화를 날짜 단위로 ... ...
전갈이 뜨면 오리온은 지고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정도의 배율이면 반달 모양의 수성을 볼 수 있다.알데바란 성식동틀녘에 월령 26일의
그믐
달이 황소자리 1등성 알데바란을 가리는 성식을 일으킨다. 서울에서는 이번 성식의 북방한계선 바로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알데바란이 달의 끝에 가까스로 가려지면서 사라진다. 한편 이번 성식의 북방 ... ...
2. 음력과 양력 어느것이 더 과학적인가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삼았다. 즉 음력에서는 달의 모양이 날짜가 지나면서 초승달-상현달-보름달-하현달-
그믐
달로 바뀌는 것을 보고 그 주기 약 29.53일을 1달의 길이로 정했다. 이에 따라 음력에서는 1달의 길이가 29일 또는 30일이 되는 것이다.결국 음력은 양력보다 천체의 운행을 보다 더 정확하게 반영하려고 했던 ... ...
꿈 길몽은 존재할까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정월 초하루 아침 잠에서 깬 40대 직장인 L씨는 간밤의 꿈이 마음에 걸렸다. 섣달
그믐
날 밤에 꾸는 꿈은 한해의 운세를 결정한다고 해서 '돼지꿈'을 은근히 바라던 참이었다. 평소 꿈이니 해몽이니 하는 말을 그다지 탐탁치않게 생각하던 L씨였다. 하지만 지난 해부터 불어닥친 불경기의 한파 때문에 ... ...
전설의 섬 이어도 과학기지로 재탄생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유속이 너무 빨라 잠수조차 할 수 없었다. 약 2주마다 돌아오는 대조기(대략 보름과
그믐
)로 밀물과 썰물의 조차가 가장 크고, 유속도 가장 빠를 때였다. 서해, 남해의 경우 대략 6시간 마다 일어나는 정조시간(밀물에서 썰물로 바뀌는 시간)에는 대조기라도 유속이 느려 잠수가 가능한데, ... ...
이전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