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목"(으)로 총 1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수가 많았을 뿐이죠. 그렇다고 산에 먹을 것을 놓아 주는 게 도움이 될까요? 산양이 어느 길목에 다니는지, 몇 개체가 남아 있는지조차 파악이 안 된 상황에서 말입니다. 오히려 제때 먹지 못하면 상한 음식을 먹고 해를 입을 수도 있습니다. 자연은 위기에 더 강해집니다. 산양도 올해 새끼를 더 많이 ...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0년 05호
- 한반도의 최남단에 위치한 홍도와 흑산도는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철새의 중요한 길목에 해당한다.인도차이나 반도와 필리핀을 출발한 철새들은 몇 날 몇 밤 수백~수천km 바다 위를 날아 북쪽으로 이동한다. 호주에서 출발한 도요새의 경우 쉬지 않고 한번에 7000~8000km를 날아 이동하는 습성이 있다. ... ...
- 기호 4 미로 탈출의 열쇠는 그래프!수학동아 l2010년 05호
- 길이 보입니다. 진짜로 그런지 직접 그래프를 그려 확인해 볼까요? 주어진 미로의 모든 길목에 알파벳을 적어 넣습니다. 그러고 보니 출발점인 A에서 갈 수 있는 길은 오직 B밖에 없네요. A에서 B로 직선을 긋습니다. B에서 갈 수 있는 길은 C와 D. 그런데 C는 막힌 길이므로 D를 B의 오른쪽에 적고 C를 B의 ... ...
- 아미노산 수백 가지 읽는 인공 리보솜 나온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인공 생명체’를 만들어내느냐를 두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인공 생명체로 가는 길목물론 수년 전 벤터 박사팀이 바이러스 게놈을 실험실에서 합성해 감염성이 있다는 것까지 확인했지만 바이러스는 독립적인 생명체가 아니라서 인공 생명체를 만들었다고 볼 수는 없다. 진정한 인공 ... ...
- 화석대소동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4호
- 더구나 한반도는 중생대에도 지금처럼 유라시아 대륙과 북아메리카 대륙 사이의 길목에 위치해있었어요. 그래서 아시아에 살던 공룡이 아메리카로 퍼져 나가는 과정을 알게 해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지요. 그밖에 한반도의 중생대 지층은 세계적으로 아직 연구가 많이 안 된 전기 쥐라기와 전기 ... ...
- 일본 이리오모테 섬에 가다과학동아 l2010년 02호
- 난류의 영향이다. 나카라 강은 북태평양 서부와 일본 열도 남쪽을 따라 흐르는 이 해류의 길목에 있어 해수와 담수가 섞여 흐른다. 강의 수온은 연평균 25.3℃로 겨울에도 20℃를 밑돌지 않고, 다양한 열대어류와 해양생물이 살고 있다. 또 기온은 가장 낮은 1월에도 18℃ 아래로 내려가지 않는다. ... ...
- 잠든 야성 깨우는 동물행동 풍부화 프로그램과학동아 l2009년 05호
- 수달의 이런 습성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번식에 실패했다”며 “보금자리로 가는 길목에 긴 터널을 만들어 수달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준 것이 번식에 성공한 원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그뿐 아니라 풍부화 프로그램으로 각 동물이 야생에서 보이는 행동을 이끌어낼 경우, 멸종위기에 ... ...
- 서해서 큰소리치는 조기과학동아 l2009년 04호
- 마디를 튼 대나무를 집어넣고 귀를 대어 조기떼의 위치와 이동방향을 알아낸 다음 그 길목에 그물을 내렸던 것이다.조구만도 못한 놈조기는 해마다 정확한 시기에 그 모습을 드러낸다. 오죽하면 시간약속을 잘 지키지 않는 사람에게 ‘조구(조기)만도 못한 놈’이라고 욕을 할까. 조기는 제주도 ... ...
- 겨울 별미로 거듭난 꽁치과학동아 l2009년 02호
- 가까이에서 헤엄치는 습성을 활용하기 위해 유자망을 동원한다. 즉 꽁치가 지나다니는 길목을 살펴 폭 5m, 길이 수km에 이르는 그물에 부표를 달아 띄워 놓으면 빠른 속도로 헤엄치던 꽁치들이 이를 피하지 못하고 빽빽한 그물코에 머리를 박고 걸려든다.동해 북부나 울릉도 해역에서는 꽁치의 ... ...
- 다시 보는 현대판 비글호 항해기과학동아 l2009년 02호
- 하던 때라 전 세계 해안선과 항구, 주요 섬들의 정보가 필요했다. 태평양으로 가기 위한 길목인 마젤란 해협, 남아메리카 해안선, 호주 등을 조사하는 일이 비글호의 임무였다. 비글호는 그해 12월 27일 영국 데이번포트 항을 떠나 긴 항해를 시작했다. 다윈은 동식물, 지질, 광물을 조사하기 위한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