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품삯
품삭
임금
일삯
품값
d라이브러리
"
노동비용
"(으)로 총 106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의 선물에 만족하지 않은 인공효소 개척자 서정헌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밥을 먹고 2시간이내에 일어나는 소화, 이산화탄소를 몸밖으로 배출하는 호흡, 새로운 세포 만들기와 같은 생명현상은 효소를 중심으로 이뤄진다. 그런데 신이 만들어준 그 효소가 할 수 없는 일들이 생겨나고 있다. 인간이 새로운 효소를 만들어내야 하는 이유다. 그리고 그 출발선 위에 서정헌 교 ... ...
PART 1. 백과사전 24권을 핀 머리에 써넣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20세기에 인간은 1백만분의 1의 마이크로세계를 정복했다. 그리고 이제는 10억분의 1의 나노세계를 개척하고 있다. 마이크로세계와 나노세계는 단지 크기의 차이일까. 나노과학이 제시하는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얼마전 모방송의 퀴즈프로그램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나왔다.문제 : 산자부가 정보기 ... ...
1. 시간과의 끝없는 전쟁 기상예측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20세기초 인간은 단순한 산술로 기상을 예측했지만,6시간 동안의 정보를 얻기 위해 꼬박 6주일이나 허비해야 했다.오늘날 슈퍼컴퓨터는 이 작업을 불과 수십분 안에 끝낸다.지난 8월 4일 오전 11시 30분. 기상청 3층 슈퍼컴퓨터실에서는 여느 날과 마찬가지로 바쁜 일정이 계속된다. 전세계 3천개 이상 ... ...
우리 역사 속의 군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항공모함, 잠수함, 이지스함 등 외국의 첨단의 군함들을 보면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왜 우리는 저런 군함을 만들 수 없는가’하고 한탄한다. 그러나 그러면서도 우리가 전통적으로 가장 우수한 군함을 만들어온 해양국가라는 사실은 까마득히 잊고 있다. 우리는 육지에서 완패한 임진왜란을 바다 ... ...
한국 우주시대를 개막한 아마추어위성 우리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지금은 이름이 잊혔지만 한국과학기술대학(KIT)이 있었다. 1985년에 설립됐다가 1989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사과정으로 통합된 대학이다.원래 이 대학의 설립을 추진했던 곳은 노동부. 1982년 전두환 대통령은 공고를 졸업한 산업계의 기능공들이 계속해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산업기술대학 ... ...
인간과 더불어 사는 신세대로봇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로봇이 울고 웃고 화를 낸다면 믿을까. 최근 등장한 아이보, 코그와 같은 로봇들이 인간의 감정을 흉내내기 시작했다. 또 센토와 P2는 성큼성큼 걸어와 인간에게 악수를 청한다. 최근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휴머노이드 로봇들은 어느 수준일까.최근 인간친화적인 신세대 로봇들이 연이어 소개되면 ... ...
우주여행의 파이어니어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1961년 4월 12일 오전 9시 7분 보스토크(러시아어로 ‘동쪽’이라는 뜻) 1호가 서서히 우주를 향해 솟아올랐다. 얼마 후 그 안에 탑승한 유리 가가린(1934-1968)은 인간으로는 처음으로 우주에서 지구를 내려다 볼 수 있었다.“지구표면에서 반사되는 빛과 칠흑같이 어두운 하늘이 수평선에서 아주 선명하 ... ...
수치제어 기계가 등장했던 배경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20세기 중엽 미국에서는 금속절삭을 위한 공작기계가 두가지 형태로 개발됐다. 하나는 ‘기록-재생’ 기계다. 노동자의 작업내용을 자기테이프에 기록한 다음 기계가 노동자의 작업을 그대로 반복할 수 있게 만든 것이다. 다른 하나는 ‘수치제어’ 기계다. 노동자의 작업과 상관없이 미리 프로그 ... ...
한국 최초 소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아마추어천문가 이태형씨가 한국인 최초로 소행성을 발견했다. '1998SG5'로 임시 이름이 붙은 이 소행성은 신천체 발견의 전례가 없는 우리나라에서 아마추어천문가의 쾌거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천문실험실' 필자인 아마추어천문가 김동훈씨는 "이번 소행성 발견으로 우리나라 아마추어 천문 관 ... ...
북한 로켓 미스터리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1989년 12월5일 이라크는 타뮤즈 로켓을 이용해 45kg의 인공위성을 발사했으나 궤도 진입에는 실패하고 말았다. 그로부터 9년 남짓한 세월이 흐른 지난 8월31일 북한은 대포동1호 로켓을 이용해 인공위성(광명성1호, 무게 미상)을 발사했으나, 마찬가지로 궤도진입에 실패한 것으로 밝혀졌다. 북한과 이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