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노트북PC"(으)로 총 155건 검색되었습니다.
- LG사이언스홀, 총 관람객 400만명 돌파과학동아 l2006년 05호
- 수치로 매년 평균 20만명 가량이 관람한 셈이다. LG사이언스홀 측은 400만번째 학생에게 노트북PC를 기념선물로 전달했다.LG 사이언스홀은 4월 과학의 달을 맞아 로봇축구, 연료전지 자동차 모형, 디지털 네트워크, 모차르트 음악을 연주하는 로봇, ‘영상물감’을 찍어 손가락으로 그림을 그리는 ... ...
- 도시는 미디어다과학동아 l2006년 05호
- 아침 7시 47분. 가게 문을 열고 분주한 이들이 있는가 하면 신문을 펴들고 느긋한 아침식사를 즐기는 사람이 있다. 낯선 도시의 풍경을 담으려고 셔터를 눌러대는 관광객들 옆으로 자동차를 타고 출근길에 오른 사람이 보인다.모리스 베나윤은 ‘쏘, 쏘, 쏘’(So, So, So, 2002년)라는 작품에서 원형 파노 ... ...
- 크리스마스에 받고 싶은 과학선물20과학동아 l2005년 12호
- 이제 산타클로스를 믿는 나이는 아니지만, 크리스마스만 되면 선물을 받고 싶다. 자고 나면 머리맡에 걸어둔 빨간 양말 주머니가 불룩해진 것을 보고 싶다. 그 속에서 만져지는 선물의 감촉을 상상하는 설렘, 그리고 선물을 준 사람을 생각하면 보름달처럼 둥실 떠오르는 고마움을 느끼고 싶다. 과 ... ...
- 중국 두 번째 유인우주선 선저우6호 발사 성공과학동아 l2005년 11호
- 중국 최초의 우주인 양리웨이가 우주를 다녀온지 불과 2년만에 중국은 두번째 유인우주선 발사에 성공했다. 두 명의 타이코노트(중국 우주인을 일컫는 신조어)는 5일 동안 우주에 머물면서 우주선에 마련된 실험실에서 각종 무중력 실험을 실시했다. 선저우6호는 지구를 77바퀴를 돈 뒤 10월17일 무사 ... ...
- 초강력 허리케인 급격히 증가하다과학동아 l2005년 10호
- 지난 35년간 해수면 온도가 계속 상승해 전보다 훨씬 강력한 태풍이 더 많이 발생하고 있다. 온실효과 때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지만, 온실효과와 태풍 세기 간의 관계를 명확히 밝히려면 좀더 오랫동안 기록이 축적돼야 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지구온난화의 역 ... ...
-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과학동아 l2005년 06호
- ‘디지털 다윈이즘’이란 말이 있다. 끊임없이 진화하는 디지털 시장에서는 진화하는 업체만 살아남는다는 이론이다. 일례로 인터넷에서는 원하는 정보를 무한정 내려받을 수 있기 때문에 공급이 초과돼 결국 적자생존의 원칙인 다윈주의가 그대로 적용된다. 진화하지 못하면 도태된다.‘이상한 ... ...
- 06. 디지털 우주의 빅뱅과학동아 l2005년 06호
- 섬광(flash)처럼 빠르게 정보를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고 해서 얻은 이름이다. 노트북PC를 비롯해서 휴대전화, 디지털카메라, MP3플레이어 같은 휴대용 장치에 널리 쓰인다.‘황의 법칙’은 이 플래시메모리를 중심으로 보면 집적도가 1년에 2배씩 증가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플래시메모리는 ... ...
- 05. 기하급수의 세상에서 사는 법과학동아 l2005년 06호
- ‘김산술’이라는 사람이 ‘이기하’라는 사람에게서 1억원을 빌렸다. 이기하는 김산술에게 다음과 같이 돈을 갚는 방법을 제안했다. “내일은 1원을 갚고, 모레는 그 두 배인 2원을 갚고, 그 다음날은 그 두 배인 4원을 갚아라. 이런 방법으로 30일 동안만 갚으면 된다.” 돈을 빌린 김산술은 이 방식 ... ...
- 컴퓨터와 네트워크가 여는 행복한 미래생활과학동아 l2005년 05호
- 커피까지 타온다. 회의 하다 공중에 글씨를 쓰면 그 글씨가 바로 PC에 저장된다. 무거운 노트북PC를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된다. 손목시계 PC를 이용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일을 마무리한다.차량항법장치를 자동차에 달면 교통지옥에 빠지거나 길을 잃을 염려가 없다. DMB 휴대전화를 켜면 버스 ... ...
- 차세대 정보통신기술 흐름 한자리에과학동아 l2005년 04호
- 지난 3월 10일 막을 올린 ‘세빗(CeBIT) 2005’ 취재를 위해 찾은 독일 북부 도시 하노버의 하늘은 수개월간 계속된 우기로 먹구름만이 잔뜩 끼어 있었다. 구(舊)동독과 서독을 잇는 가교인 이 도시의 시내를 지나 남쪽으로 내려가자, 여의도 면적과 맞먹는 규모의 초대형 전시장이 나타났다. 마치 궂은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