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이아몬드"(으)로 총 446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세거나 나열하면 보인다! 카드 마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작은 카드(다)’로 구분해야 합니다. 크기는 무늬로 정하며 스페이드가 가장 크고 하트, 다이아몬드, 클로버 순으로, 만약 무늬가 같다면 숫자가 큰 카드가 더 큰 것으로 합니다.이제 ‘1=다나가, 2=다가나, 3=나다가, 4=나가다, 5=가다나, 6=가나다’라고 약속하고 카드를 배열해 거리를 알려줍니다. 예를 ... ...
- USA┃Mars 2020 ‘인내’와 ‘끈기’로 흙 가지러 떠납니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직접 보지 않고 측정만으로도 확인할 수 있지만, 이 물체가 값싼 석탄 덩어리인지 비싼 다이아몬드인지 구별하는 건 불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화성에서 유기물질을 이루는 원소를 발견하더라도 그것을 직접 보지 않고서는 이것이 생명체의 흔적인지 아닌지 판단하기 어렵다.퍼시비어런스가 이렇게 ... ...
- [퍼즐라이프] 합체는 동시에! 공동 이동 퍼즐수학동아 l2020년 08호
- 것을 알 수 있죠.오늘 만든 공동 이동 퍼즐을 변형하면 하트 모양은 물론 별 모양, 다이아몬드 모양 등 다양한 공동 이동 퍼즐을 만들 수 있습니다. 직접 여러분만의 퍼즐을 만들어보세요 ... ...
- [질문하면 답해줌!] 개미에게도 땀샘이 있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빛나는 모양은 58면체인 ‘브릴리언트 컷’으로 깎았을 때예요. 브릴리언트 컷이 바로 다이아몬드를 떠올렸을 때 흔히 떠올리는 형태이지요. Q 아침에 키가 컸다가 오후가 되면 다시 줄어드는 이유는 뭔가요? (허정은 (mini1093)) A 키가 작은 친구들은 일찍 신체검사를 받는 게 유리(?)해요. 정은 ... ...
- [이달의 책] ‘거의’ 모든 것의 이론을 만든 물리학자의 애틋한 인사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관측할 수 있는 ‘거의’ 모든 것이 단 17가지 입자들로 구성돼 있다고 정리했다. 산소고 다이아몬드고 태양이고 안드로메다은하고, 모두 이 17가지 입자로 돼 있다는 것이다. 1967년 스티븐 와인버그 당시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교수가 제시한 ‘표준 모형(Standard Model)’은 현대 물리학의 ... ...
- 어제는 맞고 오늘은 틀리네? 코로나19 진짜 팩트 5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노출되는 환경도 바이러스의 전파력을 높입니다.일본 요코하마항에 정박 중인 크루즈 ‘다이아몬드 프린세스’에서 2월 19일 기준 542명의 감염자가 확인됐습니다. 2월 5일 10명의 집단감염이 확인된 이후 2주 만에 감염자의 숫자가 54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이는 환경에 따라서 코로나19의 슈퍼전파가 ... ...
- [과학뉴스] 새로운 탄소 분자를 만들어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탄소’예요. 탄소는 원자들이 서로 어떻게 결합돼 있는지에 따라 다른 물질이 돼요. 다이아몬드는 탄소 하나가 탄소 네 개와 입체적으로 결합하며 탑을 이루고, 흑연은 탄소 하나가 탄소 세 개와 육각형 판 모양으로 결합하며 여러 층을 이루지요. 이처럼 다양한 물질로 탄생하는 특성 탓에 ... ...
- 해충, 꼼작마!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어디서 다 몰려온 거죠?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해충, 꼼작마! 인공위성과 다이아몬드로 잡는다Part1. 매미나방, 도시를 습격하다!Part2. 해충으로 세계가 득시글득시글!Part3. 집안 해충 잘 죽지도 않아!Part4. 벌레로 벌레를 막아라!Part5. 해충 잡는 별별 과학! 도움정종국 ... ...
- 해충 잡는 별별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입자 자체는 곤충에게 해를 끼치지 않아요. 하지만 곤충에게 해를 입히는 물질을 다이아몬드 입자와 합치면, 쉽게 큐티클을 통과하여 곤충을 공격할 수 있지요. 차르니에프스카 교수팀은 “이 방법으로 새로운 살충제를 만들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말했어요. ▲ PDF파일에서 고화질 이미지를 ... ...
- Google 진실을 말해줘~ 1만 년 걸릴 연산 200초 만에 한 거 실화임?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한국도 양자컴퓨터를 구현할 큐비트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KIST 양자정보연구단은 다이아몬드법과 양자의 일종인 빛(광자)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큐비트 6개를 제어하는 기술을 시험 중입니다. 또 서울대는 반도체 양자점 방식으로,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초전도체 방식으로 큐비트를 개발하고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