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일"(으)로 총 7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속PCR 쟁점 3가지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들어가며 고리(루프) 구조를 만들고, 여기서부터 증폭을 시작하도록 한다. 고리 구조는 단일가닥으로, 여기에 다시 프라이머와 DNA중합효소가 달라붙을 수 있다. 한 번 고리 구조가 만들어지면 온도를 95℃까지 올릴 필요가 없어 PCR보다 빠르게 DNA를 증폭할 수 있다.신속PCR로 분류되는 진단법이 기존 ... ...
- 수학 기자가 풀어드립니다! 서울+부산 시장, 보궐선거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차이가 있지만 평균적으로 각 후보가 약 23%였습니다. 하지만 단일화 이후 42% 정도로 단일화 이전 지지율의 합(46%)보다 4% 낮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확률의 덧셈법칙이 현실에서는 엄밀하게 통하지 않는 것이지요. 개표방송 볼 때 꼭 기억해! 신뢰도와 표본오차 부산시장 보궐선거에는 김영춘 ... ...
- [한페이지 뉴스] 유전자가위로 만든 네안데르탈인 뇌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뇌 기능을 살펴봤다는 데 의미가 크다.알리슨 무오트리 미국 UC샌디에이고 의대 교수는 “단일 염기쌍을 변형하는 것만으로도 뇌가 연결되는 방식이 바뀔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현생인류가 고대 인류와 차이를 보이는) 나머지 60개 유전자를 바꿨을 때의 변화를 연구할 예정”이라고 ...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마이크로파 측정’ ‘눈과 얼음에 대한 위성항법시스템(GNSS)의 단일 및 이중 편광 측정’ ‘적외선, 가시광선, 초분광 카메라 작동’ 등의 연구가 수행됐다. 지금까지 바다에서 실시된 가장 큰 규모의 원격 탐사 실험이었다. 이번 연구로 우주에서 해빙을 관찰하는 것이 단순히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내 몸의 모든 단백질 한눈에 단백체 지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여부를 진단하는 새로운 방식을 개발했다. doi: 10.1002/prca.201900028 수술 없이 미세바늘로 단일 세포를 채취해 암을 진단하는 정밀의료 신기술도 개발하고 있다.질량분석 기술은 생명정보학 전반의 발전도 이끌고 있다. 최근에는 유전체와 단백체 외에 그 중간 단계에 해당하는 전사체(DNA에서 전사된 ... ...
- [논문탐독] 뇌로 떠나는 신경세포의 섬세한 화학언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천차만별로 다른 다양한 세포로 변하는 과정을 발생이라고 합니다. 난자와 정자가 만나 단일 세포인 수정란을 이루고, 이 수정란은 분열을 거듭하며 다양한 세포로 거듭나 복잡하고 정교한 조직과 기관을 형성합니다. 이런 신비로운 발생 과정이 차질 없이 일어나는 데에는 세포 사이의 소통이 ... ...
- [과학뉴스] 레이저 기술 혁신 불러올 ‘빛의 눈사태’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광사태는 단일 원자가 흡수한 빛에너지를 방출할 때 마치 눈사태처럼 주변 영역 원자들의 빛에너지 방출로 연결되는 현상이다. 이 현상을 활용하면 물질이 흡수한 빛이 증폭돼 효율적인 레이저를 만들 수 있다. 하지만 그간 광사태를 작은 입자 안에서 일으키기가 어려워 상용화되지 못했다 ... ...
- 데이터 홍수 문제 없다, 차세대 저장장치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했다.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올 때는 세포가 DNA를 복제하는 방법을 그대로 사용했다. 단일가닥 DNA에 프라이머가 결합해 이중가닥 DNA로 복제되면 새로 합성된 DNA 가닥이 분리되고 여기에 다시 프라이머가 결합해 계속해서 DNA 정보가 복제되는 방식이다. 복제된 DNA 가닥을 통해 염기서열을 해독하고 ... ...
- 글로벌 시대, 6G 연구 동맹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받은 5G 핵심 기술은 총 1658개로 이 가운데 화웨이가 302개(19%)를 보유하고 있다. 이는 단일 기업 중 가장 많은 수로, 삼성전자가 지닌 256개(15%), LG가가진 228개(14%), 핀란드 노키아가지닌 202개(12%), 미국 퀄컴이 가진 191개(11%)보다 많다.물론 톈옌 5호의 테라헤르츠파 위성 실험이 곧바로 6G 표준으로 ...
- [과학뉴스] ‘형형색색’ 탄소나노튜브 466종 색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모양으로 결합된 그래핀을 작은 원통 형태로 말아서 만든 튜브다. 그래핀 한 겹으로 만든 단일층 탄소나노튜브는 구조에 따라 다양한 색을 띤다. 에스코 카우피넨 핀란드 알토대 응용물리학과 교수팀은 탄소나노튜브 466종의 색 지도를 완성해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지난해 12월 1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