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꿈
드림
마취
몽혼
마비
mont
d라이브러리
"
몽
"(으)로 총 61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산·얼음·물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돌출된 화산 모양의 산이 발견되어 텍사스 대학의 지구물리학자 도널드 블랭컨십과 라
몽
-도허티 지구 관측소의 로빈벨이 그곳을 탐사하였다. 그들은 숨겨진 산 꼭대기에서 얼음이 떠다니고 있는 약 6㎞ 폭의 구멍을 발견하였다. 이 사실로 볼 때 그 아래의 화산은 여전히 뜨거울 것으로 짐작된다 ... ...
고롱고로 분화구 안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방문객들은 바윗길을 7백m나 내려가야 한다. 반쯤 내려가서는 넓은 평원에 흩어져 있는
몽
돌 위를 배를 깔고 기어갈 수 밖에 없다. 그 밑을 내려다 보면 들짐승과 얼룩말같은 대형 초식동물들을 볼 수 있다.이 분화구에서 가장 흥미를 끄는 것은 이 지리적 특징에서 비롯된 사자들의 모습이다 ... ...
(3) 창조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초보적인 교과서에 게재되고 있는 것은 큰 잘못중 하나다.수년전 유명한 진화론자인
몽
태그(Ashley Montague)박사는 프린스턴 대학 토론회에서 발생반복설이 진화론을 지지하는 이론으로 더이상 사용되지 말아야 한다고 언급했다. 동물의 배 발생과정에서 생기는 새궁이나 새열은 물고기의 것과는 전혀 ... ...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KS(경기고-서울대)로 지칭되는 우수집단이 있었다. 이웃 일본도 도쿄 제1고교에서 '아카
몽
'(도쿄대학)으로 이어지는 학맥을 통해 오늘날의 기술왕국을 선도하는 핵심인력을 공급받았다.또 영국은 이튼고교에서 옥스브리지(옥스퍼드대와 케임브리지대)로 연결되는 '노벨상 생산공장'을 지금도 ... ...
장애영재아의 세계 바보속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있다. 우주의 탄생 및 그 미래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 호킹은 대학원시절부터 약 27년동안
몽
의 운동신경이 점점 마비되는 루게릭병(근위축성 측색 경화증)에 시달려왔다. 그는 아직도 케임브리지의 교수로서 우주론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몸이 거의 마비된 상태에서도 자신의 연구테마에 ... ...
파리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샹젤리제거리
몽
마르트르
몽
파르나스 라틴가(街) 같은 곳이다.젏음을 느끼고 싶다면
몽
마르트로 가보라. 그리 넓지 않은 거리에 아마추어 미술가들과 기념품상(商)들로 즐비하다(옛날의 순수한 예술성보다는 상업성이 더 큰 모티브가 되고 있다는 개탄도 있지만). 그리고 젊은 연인들 학생들 ... ...
개썰매로「매킨리」정상에 올라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성공했다. '파트리시아'는 지난해 여자로서는 처음으로 개썰매로 유럽의 최고봉 '
몽
블랑'을 오른 모험가.이부부는 베이스 캠프까지는 헬리콥터로 가서 12시간만에 매킨리 정상에 도달했는데 산악인들은 이것은 대단한 신기록이라고 말하고 있다. 개썰매를 이용한 등반에서 어려운 일은 개의 체력을 ... ...
생물의 갖가지 형태가 갖는 의미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눈은 모두 먼 곳을 볼 수 없는 근시안인 것이다.또 지렁이를 반으로 자르면 동강난
몽
뚱이가 발발 떠는 것을 보고 우리는 얼마나 아프면 저렇게 몸서리를 치는가 하고 애처러워 한다. 하지만 지렁이는 아픔은 느끼지 못한다. 발발 떠는 것은 단지 반사작용일 뿐이다.인간의 눈으로 본 생물의 세계는 ... ...
군축회담을 계기로 다시 살펴본 화학무기의 무시무시한 위력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아프가니스탄의 수도 '카불'시 북방 '쿠나르'계곡 '시젤'마을이 겪은 것은 참담한 악
몽
이었다. 이날 밤 2대의 소련 무장헬기가 기총소사와 함께 폭탄을 투하했다. 얼마 후 이 폭탄에서 하얀 연기가 발생하여 지상 4m의 높이까지 연막으로 뒤덮였다. 미처 탈출하지 못한 주민 15명이 호흡곤란, 근육통 ... ...
불면 불
몽
의 건강학 마음먹은대로 잠들 수 있다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회상되기 때문에 꿈의 단면밖에 알 수 없다. 더욱이 잠재
몽
(夢)은 가려지고 현재
몽
(夢)만이 회상되므로 꿈의 대부분은 연출자의 의도에 따라 바뀌고 각색된다. 이를테면 꿈은 왜곡되고 변형된다는 말이다. 그래서 최근에는 꿈을 스크린에 옮기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사실 우리는 꿈에 대해서 ... ...
이전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