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이 자세 따라하면 똥이 나온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관한 영상도 함께 보자고! 최근 러시아의 내과 전문의 다리야 사도브스카야 박사는 소셜 미디어에 ‘이 자세’를 하면 쾌변을 볼 수 있다며 직접 시범을 보이는 영상을 올렸어요. 변기에 앉은 채로 한 쪽 다리를 다른 쪽 허벅지에 올리고, 들어 올린 다리 방향으로 상체를 돌려 뒤를 바라본 뒤 ... ...
- [숫자로 보는 뉴스] 쥐라기 공룡, 이빨 자국이 48개나!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초식 공룡을 강하게 공격했다는 뜻이에요. 영국 퀸 메리 런던대학교의 데이비드 혼 박사는 “앞으로 화석을 더 연구하면 먼 옛날의 공룡들이 어떻게 행동했는지 더 자세히 파악할 수 있을 거예요”라고 말했어요. 용어 설명쥐라기★ 지금으로부터 2억 년 전부터 1억 4500만 년 전까지의 ... ...
- [시사기획] 카이스트에서 의전원을? 의사공학자 탄생할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과기의전원에 의학과 공학을 처음부터 같이 배우는 교육 과정을 만들어, 이후 공학 박사과정에서 전일제 연구를 할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미국 하버드대-MIT의 HST(Health Sciences and Technology) 프로그램이 KAIST 과기의전원의 모델이다. 하버드대는 의대를 운영하고 있으면서도 1970년에 MIT와 함께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기술정책이란 무엇일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대학원 생활을 마치고 드디어 졸업한 삼엽충 연구자 김공룡 박사! 운 좋게 고생대학교의 신임 교수로 임용돼 드디어 자신만의 연구를 시작한다. 그러나 연구 환경을 꾸리기 위해서는 필요한 게 한두 가지가 아니다. 화석을 찾기 위한 탐사 장비, 분석 장비, 학술 서적은 물론이고 인건비까지 모든 게 ... ...
- [과동키즈] “꿈이 있다면, 자신을 믿고 도전하세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큰 원동력은 ‘동료들’ 박사학위를 받고 일본 도쿄대의 핵과학연구센터(CNS)에서 3년간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핵물리 연구의 최전선 중 하나인 이 연구소에서 쌓은 지식과 경험은 연구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의 희귀 핵 연구단(CENS)에 새 둥지를 튼 것은 연구단이 출범한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속았지? 콜라인 듯 콜라 아닌 비밀 간식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열었어요. 콜라를 꺼내 컵에 부으려는 순간, 엥?! 콜라가 안 나오잖아? 그때 껄껄하고 섭섭박사님의 웃음소리가 들려옵니다. 새해 첫날부터 장난에 속다니…! 왜 이런 일이? ➔ 결과 : 콜라가 흐르지 않는다! 동물의 피부나 뼈, 힘줄 등에는 콜라겐이라는 단백질이 많이 들어있어요. 생명체의 ... ...
- [대학원 탈출일지] 그곳에 행복이 없는 것은 당연하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보고 대학원에 가기로 정했다” 대학원 탈출일지는 유독 고학력자 독자들이 많았다. 석박사학위를 딴 이들은 본인의 대학원 생활을 돌이켜 볼 수 있고, 학위 과정 중에 있는 이들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작품이었기 때문이다. 작가는 “그러다보니 정정 댓글이 꽤 많이 올라왔다”며 웃었다. ... ...
- [논문탐독] 단백체 연구의 시작은 정확한 질량분석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필자소개 채수연 충남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환자 맞춤형 치료법과 전임상 모델의 개발 및 이 분야에서의 정량분석법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2018010908@korea.ac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다누리 미니블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빌었어요. 그러다 문득 우리나라 최초의 달 궤도 탐사선 다누리가 떠올랐지요. 섭섭박사님은 다누리를 직접 만들어 보겠다고 나섰습니다. 만들어 보자! 다누리 미니블록 이번 시간에는 다누리 미니블록을 조립해 볼 거예요. 다누리 미니블록은 레고처럼 작은 조립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어요. ... ...
- 생물 이름 짓기 달인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표본 하나하나가 모두 다른 이름을 갖는다는 것이 새삼 신기했죠. 나방의 이름을 짓는 덴 박사님만의 철칙이 있었는데요, 확인해 보세요! Q지금까지 몇 종의 생물을 발견하셨나요?1970년 처음 곤충 분류학 연구를 시작해 지금까지 850여 종을 발견했어요. 백두산, 지리산, 베트남, 캄보디아 등 전 세계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