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뱀장어"(으)로 총 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산·해양분야의 선구 부산수산대학과학동아 l1987년 04호
- 처음 도입된 것들인데, 종묘생산 등의 연구가 결실을 맺어 국내양식이 가능하게 했다.또 뱀장어의 경우도 사육에 관한 기본조건들을 밝혀내고 국내여건에 알맞는 초고밀도 사육기술을 확립한 것이 눈에 띈다. 최근에 양식어종으로 각광받고 있는 틸라피어에 관해서도 국내조건에 부합하는 ... ...
- 인공자장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과학동아 l1987년 04호
- 것이 확인되었다.여러가지 동물이 자성물질을 지니고 있음은 분명해졌다. 그러나 전기뱀장어처럼 자기에 응답은 하지만 자성물질이 발견되지 않는 동물도 있어 결론을 내리기는 아직 이른 것 같다. 자성물질을 지닌 동물들이 어떻게 하여 '북쪽'을 감지하는가도 현단계에서는 설명다운 설명이 ... ...
- 약효 떨어뜨리거나 부작용 많아과학동아 l1987년 04호
- 꿀·사탕을 함께 먹지 말라는 금기가 있는데, 이와 비슷한 것으로 일본에는 매실조림과 뱀장어를 함께 먹으면 해롭다고 전해지고 있다. 그런가 하면 서양사람들은 "약 먹을 때는 술을 마시지 말라"고 하고있다.이런 속설과 관계없이 대개 약은 식전이나 식후에 먹는 것으로 되어 있고 그중에도 식후 3 ... ...
- '86세계와 한국의 과학계 희망과 좌절이 엇갈린 한 해과학동아 l1986년 12호
- 된 보팔참사를 연상시키는 이 사고의 주 피해당사자는 다름아닌 물고기.수십만 마리의 뱀장어 등 민물고기가 강물위를 덮었다. 강주변의 국가들은 인체피해를 막기 위해 라인강의 식수사용과 어획을 금지시키는 등 대응책 마련에 부산했고, 서독, 프랑스,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스위스 등 라인강 ... ...
- PART ① 수중보 설치와 물고기의 환경변화과학동아 l1986년 10호
- 이곳에서는 17종이 채집되었다. 빙어 잉어 몰개 참마자 중고기 강준치 큰납지리 뱀장어 동사리 풀망둑 꺽정이의 11종은 앞의 지점에서는 채집하지 못한 종들이다. 그 당시 서울의 한강은 이보다 다양한 어종이 서식하고 있지는 못했을 것이다. 돌이켜 보면 한강의 역사는 어류에게는 수난의 ... ...
- 어류과학동아 l1986년 03호
-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첫째, 섬물고기 중 가장 흔한 담수어는 붕어 미꾸라지 뱀장어 송사리 왜몰개 가물치 버들붕어 등이다. 둘째, 섬물고기 49종 중 순수 담수어는 28종이다. 세째, 섬에서만 볼 수 있는 종은 없었다. 네째, 강화도를 제외하면 섬에는 피라미가 살고 있지 않았다. 섬에 ... ...
이전23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