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도자
전도사
선교자
d라이브러리
"
선교사
"(으)로 총 69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리우스가 간직한 두가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전한 것일까. 그것보다는 도곤족이 시리우스 B의 발견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었던 19세기
선교사
나 여행가의 방문을 받았을 가능성이 더 높다. 도곤족은 곧바로 이 정보를 그들의 종교적 신화 속에 집어 넣었을 것이다. 물론 이것은 추측일 뿐이다.큰개자리의 신화에는 별로 뚜렷한 것이 없다. 가장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한말 일본 하나부사 공사의 이름을 딴 '하나부사야'(hanabusaya)로 등록돼 있는 실정. 구한말
선교사
들이 채취해 가지고 간 식물표본이 프랑스 영국 미국 등에는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확인이 안돼 향명(鄕名)은 없고 학명(學名)만 있는 종도 많다.자생식물동호회에서는 남벌로 개체수가 ...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눈에 들어온 것은 구라파(유럽)가 전부였던 것이다. 중국 이름으로 이마두라 불린 예수회
선교사
마테오 리치(Matteo Ricci)는 서양의 천문학과 수학 지리학에 정통한 그의 학문적 배경을 십분 활용, 1584년과 1602년에 두종의 세계지도를 제작 간행했다. '산해여지전도'(山海輿地全圖)와 '곤여만국전도'가 ... ...
비(非)과학 속의 과학─천하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17세기 조선에는 두가지 세계지도가 출현하고 있었다. 1402년의 세계지도에 이어 예수회
선교사
가 중국에서 그린 흔히 곤여전도(坤輿全圖)로 통하는 세계지도가 선보였다. 또 천하도(天下圖) 천하총도(天下總圖)라고 일컬어지는 조선식 수레바퀴지도가 등장했다.성립 시기와 배경, 그리고 제작수법이 ... ...
1402년의 세계지도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충격은 새로운 사실에 대한 학문적 호기심을 크게 자극했다. 특히 중국에 와 있는 예수회
선교사
들과의 접촉은 놀라운 것이었다. 파란 눈에 노란 머리 그리고 큰 코를 가진 사람들이 이땅의 저쪽 편에 살고 있다니…. 그들의 언어와 글은 많은 새로운 지식을 알려 주었다. 중국은 분명히 세계의 ... ...
킬라우에아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조화를 부렸기 때문일 것이다.킬라우에아를 처음 서구에 소개한 사람은 영국의
선교사
윌리엄 엘리스였다. 그는 산의 정상에 올라간 뒤 뜬 눈으로 밤을 새웠다. 분화구 아래로 내려다 보이는 눈부신 화염이 그를 사로잡았던 것이다. 펠레의 분노원주민 안내인은 펠레여신의 신화를 들려 주었다. ... ...
기이한 거인상과 암벽화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말을 뺏거나 훔쳐온 사람은 인디언중에서 영웅시되었다고 한다. 78페이지의 스페인
선교사
일행의 그림에는 그래서인지 그런 시대의 인디언들의 고뇌가 담겨져 있는 것 같이 느껴진다.수렵과 동물만이 인디언들의 생활의 중심 이었던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서부의 해안지대나 삼림지대에 거점을 둔 ... ...
변리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기술수준과 시장의 확보라는 문제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제국주의 시대의 유럽 각국은
선교사
를 앞세우고 이어 상인들을 등장시켰지만 20세기 후반 선진국의 상인들은 공업소유권을 그들의 첨병으로 삼는다.적합한 예는 아니지만, 헝가리의 경우 우리나라에의 출원건수를 보면 공식적인 양국의 ... ...
남태평양의 진주 폴리네시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선교사
'브리차드'가 영국영사에 지지하여 외교상의 중대사건으로 발전했다. 이
선교사
를 추방하고 마르케사스제도에 대한 프랑스의 패권을 확립했다.1880년 프랑스는 포마레왕조 최후의 왕 포마레 5세를 설득하여 타히티 북서쪽에 있는 여러 섬을 병합하고 타히티를 오세아니아의 프랑스식민지 ... ...
해시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발견하게 된다.●- 서양해시계를 받아들이면서16세기 이후, 중국에서 활동하던 예수회
선교사
들과의 접촉이 많아 지면서 서양식 해시계의 영향이 조선에도 미치게 되었다. 1636년에 전해진 신법지평일구(新法地平日晷)는 특히 중요한 유물이다. 이는 아담 샬(湯若望)의 시헌력법에 의하여 명나라의 ... ...
이전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