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자
학장
스콜라
장학생
인자
뱃삯
d라이브러리
"
선비
"(으)로 총 61건 검색되었습니다.
풍란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난을 사랑하는 마음이 더 한층 깊어졌다.난을 좋아하고 사랑한 사람은 옛날에는 주로
선비
들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여러 층의 많은 사람들이 좋아서 기르고 있다. 동양사람들은 예로부터 한국 일본 중국의 산야에서 자라는 춘란 한란을 주로 가꾸었고 그 다음으로 풍란 석곡 자난 해오리난 새우난초 ... ...
3. 경계선 모호해진 과학과 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뭉뚱그려 부른다. 허약한 기초과학우리나라는 옛날부터 '사농공상'(士農工商)이라 하여
선비
를 귀히 여기고 장인이나 장사치들을 천시했다. 따라서 해방이후에도 오랫동안 이과계는 우수한 인재들이 몰린 반면 공대로 가는 것은 꺼리는 경향이 있었다. 50~60년대 미국에서 공부한 '유학 1세대'들은 ...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채색을 넣어 무척 아름답다.조선판 페르비스트 세계지도는 비교적 많이 인쇄돼 조선
선비
들에게 보급, 그들의 사랑을 듬뿍 받았다. 조선판의 이 세계지도는 목판으로 인쇄된 그 당시의 세계지도 중에서 가장 크고 훌륭한 판본으로 세계지도 수집가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그 목판의 유물도 지금 ... ...
비(非)과학 속의 과학─천하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것이다. 지도책의 첫머리에 이런 지도를 끼워넣은 사람은 초야에 묻혀 유유자적했던 조선
선비
들이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16세기 말에 저술된 한백겸(韓百謙)의 '동국지리지'(東國地理誌)나 18세기 초 이중환(李重煥)이 쓴 '택리지'(擇里誌)에 담긴 지리적 사상과 세계관을 한번 음미해볼 필요가 ... ...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을 만들다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자체(字體)는 조선시대 금속활자 인쇄물의 적어도 25% 이상을 점한다. 따라서 책 읽는
선비
는 갑인자가 친숙해질 수밖에 없었다.세종 때의 과학자와 공장들은 활자의 자체와 적당한 경도(硬度)를 갖게 하는 데 주력했다. 또 가장 알맞는 청동합금을 만들기 위한 노력도 계속했다. 청동활자의 ... ...
고려청자와 비색(翡色)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밝혀지지 않고 있다. 확실한 증거력을 갖춘 자료가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이
선비
방의 그림에서 커다란 유리어항을 분명히 보게된 것이다.조선시대에 어항으로 쓰일 만큼 널리 보급되었던 유리그릇들이 다 어디로 갔을까. 장독처럼 별로 귀하게 여기지 않았던 탓으로 지난 1세기 동안에 ... ...
잊혀져 가는 옛조상의 땅 중국동북지방의 고구려 유적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관구검(毌丘儉)의 공격을 받아 수도 환도성(丸都城))이 함락되기도 했다.봉상왕 때는
선비
족 전연(前燕)의 장수 모용외(慕容廆)의 침입을 두번이나 받는 위기를 겪다가 미천왕 때에 서안평을 확보하고 낙랑과 대방을 정복하여 한반도에서 한사군 세력을 완전히 몰아내 고조선의 옛땅을 되찾았다 ... ...
교사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그 자리에 있었던 형제들이 배를 잡고 웃엇던 것이다. 그러나 이 말에는 우리 고유의
선비
정신이 숨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우리나라 고유의 개는 흔희 똥개라고 부른다. 그것은 우리의 토종개가 사람의 똥을 즐겨먹기 때문이다. 그러나 선생님의 똥은 너무나 고귀하기 때문에 감히 개도 그들의 ... ...
천문시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학자들의 천문학에 대한 지식은 상당히 높은 수준이었다. 따라서 이 천문시계는
선비
들의 천문학 교육용으로도 활용되었다. 그들은 또 이시계에서 정밀기계 장치에 대한 실험적 지식을 얻을 수 있었을 것이다. 아무튼 이 시계는 17세기에 가장 앞선 정밀기계 장치였다 ... ...
해시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가치가 높이 평가할만 하다.이런 해시계들을 소매 속에 넣고 다니다가 시간을 보는
선비
의 모습에서 시간의 흐름을 넘어선 멋을 새로이 발견하게 된다.●- 서양해시계를 받아들이면서16세기 이후, 중국에서 활동하던 예수회 선교사들과의 접촉이 많아 지면서 서양식 해시계의 영향이 조선에도 ... ...
이전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