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성간"(으)로 총 26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탐사선, 위대한 여정의 시작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지점에 도달했다. 2015년 현재 지구에서 약 132AU(약 197억km) 거리를 비행하고 있다. 현재는 성간 공간 탐사임무를 하고있다. 보이저 2호 역시 1977년 발사돼 목성과 토성, 천왕성과 해왕성을 차례로 통과했다. 현재는 태양권의 가장 바깥자리에서 천천히 움직이고 있다. 지구로부터 161억3840만km 거리에 ... ...
- 심성 꼬인 태양이 버럭 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충격파가 생긴다. 이 충격파 바깥에 성간물질과 태양풍이 만나는 태양권계면, 그리고 성간물질이 태양풍과 만나 아음속으로 변하며 충격파를 형성하는 뱃머리충격파 지역을 거친다. 이 경계 안쪽이 태양계의 범위이자 코로나의 범위다. 태양계 전체가 코로나 안에 들어 있는 셈이다.뒤틀린 태양의 ... ...
- [과학뉴스] 7000광년 밖 별의 요람이 눈앞에!과학동아 l2015년 02호
- NASA)은 거짓말 같은 사진 한 장을 공개했다. 지구에서 7000광년 떨어진 독수리 성운에서 성간물질과 먼지가 마치 기둥 같이 늘어서 있는 광경을 선명하게 찍은 허블우주망원경 사진이었다. 새로운 별이 탄생하는 순간이었기에 이 사진에는 ‘창조의 기둥’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2015년 1월, NASA와 ... ...
- [과학뉴스] 은하의 자기장초상화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별이 밀집한 곳에 성간물질도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중심에서 벗어날수록 별과 성간물질이 점점 옅어진다. 파란색일수록 자기장 밀도가 낮은 지역이다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현상(코로나질량방출, CME)을 관측했다. 나는 두 번째 폭발의 충격파를 감지했다. 내가 성간공간에 들어 있다는 또다른 증거다.나는 많이 외롭다. 1980년 토성 근처를 지난 이후, 아무런 천체와도 마주친 적이 없다. 우주는 아주 성긴 공간이다. 별빛과 다름없는 태양빛 외에 내가 의지할 것은 아무 것도 ... ...
- ‘진짜’ 별에서 온 그대, 태양계 밖 먼지 확인!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별에서 온 그대’를 처음으로 지구에서 확인했다. 운석 이야기가 아니다. 머나먼 태양계 바깥의 성간공간에서 온 우주먼지다.미국 UC버클리 우 ...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새로운 사실도 밝혀냈다. 과학자들은 이 발견이 기존의 성간물질 생성 이론을 뒤바꿀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 ...
- GALAXY는 WARP중과학동아 l2014년 02호
- pc 위쪽에 위치해 있다. 은하면이 살짝 위로 휘어 있다는 뜻이다. 김정환 연구원은 “가스(성간물질) 관측을 통해서는 워프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다만, 별 관측 결과는 아직 논란이 많다”고 말했다.우리나라는 주변에 은하가 적기 때문에 원인이 불분명하다. 안드로메다 은하가 현재 또는 ... ...
- 치르치르의 응답하라 외계생명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덕분에 끈질기게 비행하고 있지. 지금도 나는 묵묵하게 성간우주를 항해하고 있다네. 성간은 스스로 빛과 열을 내는 항성 사이의 공간이야. 즉 태양의 영향을 벗어나 다음 별과의 사이에 있다는 이야기지. 보이저 1호의 원동력은 중력, 스윙바이! 원래 보이저 1호의 추진력으로는 목성까지 가는 것이 ... ...
- 보이저 1호, 태양권 탈출하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것은 처음이다. 보이저 1호는 플루토늄 연료가 바닥나는 2025년까지 멈추지 않고 미지의 성간 우주를 탐사할 예정이다. 앞으로 우리가 몰랐던 우주의 어떤 비밀을 알려줄지, 보이저 1호의 향방이 기대된다 ... ...
- 보이저 1호, 혜성의 고향까지 갈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태양권을 넘어서 본 미지의 우주는 어떤 모습일까.태양권 바깥에 단지 암흑 같은 성간 물질만 있는 것은 아니다. 항성 사이의 플라스마 흐름인 ‘항성풍’이 존재한다. 항성풍은 태양풍과 부딪혀 ‘뱃머리충격파’를 만드는데, 초음속으로 비행하는 비행기 앞에 생기는 충격파와 비슷하다.만약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