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아"(으)로 총 289건 검색되었습니다.
- [10대의 약] ‘키 크는 주사’ 맞으면 170cm가 180cm되나요?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자라지 않는 사람들을 위한 것입니다. 청소년기에 성장호르몬이 제대로 생성되지 않는 소아 성장호르몬 결핍증이나 터너증후군, 만성신부전 등 성장 장애 환자가 대상입니다. 성장호르몬이 부족하지 않는데도 키가 잘 자라지 않는 특발성 저신장증에도 성장호르몬 치료가 처방됩니다. 이런 치료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의 아름다움을 아이들과 나눈 니콜 스탓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프로젝트를 하고 있었다. 그 우주복은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보내지기도 했다. 이는 많은 소아암 환자들에게 우주에 대한 영감과 희망을 심어줬다. 니콜은 내게 보낸 e메일에서 우주복 프로젝트를 미국 밖 다른 나라들로 넓혀가고 있다며, 한국 아이들도 함께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지 묻고 ... ...
- [과학뉴스] 어린이 화재 대피, 화재경보기보다 엄마 목소리가 효과적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사용한 경보기가 울렸을 때 어린이들이 대피할 확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소아과학저널’ 10월 25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잠들어 있는 5~12세 어린이 176명에게 일반 화재경보 소리와 엄마 목소리가 담긴 경보를 각각 들려준 뒤 대피하게 했다. 그 결과, 일반 화재경보기가 ... ...
- [팩트체크 3] 남북한은 면역력도 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어떤 질병이 유행하는지, 어떤 의료 체계를 갖추고 있는지 등을 공부하지요.Q. 어떻게 소아과 의사 선생님이 통일의학에 관심을 갖게 되셨나요?남북한 사람들이 갑자기 교류를 시작하면 서로에게 익숙하지 않은 질병을 옮길 수 있을 거예요. 이때 가장 취약한 건 바로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들이에요. ... ...
- [과학뉴스] 경련, 구토 방지에 효과 ‘대마’ 성분 의약품, 수입 허용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및 레녹스가스토증후군 치료에 사용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강훈철 신촌세브란스병원 소아과학교실 교수는 “경련은 신경세포가 과하게 흥분해 발생하는 증상”이라며 “CBD는 체내 칸나비노이드 수용체와 결합해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글루탐산)를 감소시킨다”고 설명했다.THC를 ... ...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소개하기 위해 책을 번역하기 시작하면서부터였다. 그는 로버트 펄먼 미국 시카고대 소아과 명예교수가 집필한 ‘진화와 의학’을 번역해 2015년 출간했다.직접 쓰기도 했다. 2013년 ‘산소와 그 경쟁자들’, 2016년 ‘먹고 사는 것의 생물학’에는 우리 몸속 세포에서 일어나는 물질대사의 기원을 ... ...
- [이달의 사물] 슬라임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여자아이가 슬라임을 손에 쥔 채 잠들었다가 손바닥에 화상을 입기도 했습니다. 권오균 소아 청소년과 전문의는 “붕사 같은 강알칼리성 물질을 오랫동안 만지면 피부에 화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성인에 비해 피부가 얇고 약한 어린이들은 더욱 조심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덕환 서강대 ... ...
- Part 5. 지금도 자라는 사춘기 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뇌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필수 항목이다. 김영화강동소아정신과의원원장. 23년째 소아청소년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로 활동하고 있다. 여성가족부정책자문위원을 역임했으며 수년간 TV, 라디오 등에서 정신의학 상담을 진행해왔다. 저서로는 ‘마음이 아닌 뇌를 치료하라’ 등이 있다 ... ...
- Part 1. 진화하는 사춘기 이론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삼고, 결혼(혹은 동거)을 사춘기의 끝으로 판단해 나온 것이었다. 이후 1970년 영국의 소아과 의사인 제임스 태너가 사춘기의 신체 변화를 살필 수 있는 5단계 지표인 ‘태너 척도’를 발표했다. 태너는 신체 변화를 중심으로 사춘기를 정했다. 여아의 경우 11~15세, 남아의 경우 12~15세를 사춘기로 ... ...
- Part 4. ‘어른아이’의 진화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언니도 없는 경우가 많다. 아버지의 부재도 조기 초경을 유발하는 요인이다. 미국 소아내분비학회는 2010년 어린이 1200명을 대상으로 대규모 조사를 진행해 아버지의 양육 형태에 따라 사춘기가 일찍 올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친아버지가 없거나, 생물학적으로 낯선 남성인 양아버지와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