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신"(으)로 총 760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하인드 로켓] 절치부심, 두번째 도전에 나서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선에서 이번 일을 수습할 수 있었다. 나로호가 날아갈 필리핀 동쪽 해상에 원격측정수신장치를 싣고 미리 나가 있는 해경도 보유한 연료나 음식으로 하루 정도 더 버틸 수 있다는 연락을 해왔다. 그렇다면 나로호 발사를 길게 미룰 필요가 없겠다는 판단이 들었다. 다음 날 곧바로 다시 발사 준비에 ... ...
- [진로체험] 항공우주 영상 수학으로 꿰뚫어본다! 항공우주 영상 분석 엔지니어수학동아 l2020년 08호
- 가까운 지역이라 우리나라보다 인공위성이 지나가는 횟수가 훨씬 많아서 위성 정보를 수신하는 안테나가 많이 설치돼 있어요. 남북 방향으로 도는 위성은 90분에 한 바퀴씩 지구를 도는데, 지구가 자전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를 지나는 횟수는 2~4번 뿐이에요. 하지만 북극에 가까운 노르웨이는 ... ...
- [과동키즈] 내가 남극으로 향한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부품 디자인에서부터 가공, 시험과 프로그램 개발까지 내 손때가 묻지 않은 부분이 없는 수신기가 블랙홀 연구에 앞으로 더 큰 역할을 해주길 기대해본다. 주어진 일, 재밌는 공부를 꾸준히 2019년 여름, 나는 애리조나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캘리포니아공대로 자리를 옮겼다. 이곳에서 블랙홀은 ... ...
- 2020 화성 탐사 레이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UAE) 최초의 화성 탐사선 ‘아말(Al Amal)’이 실려 있었다. 아말은 오전 8시 10분경 지상 수신국에 첫 신호를 보내며 순조롭게 화성으로 가고 있음을 알렸다. 중국도 7월 20~25일 중 자국의 우주개발 역사상 처음으로 화성에 도전한다. 미국은 7월 30일 한층 강력한 탐사 로버를 보낼 예정이다. 2020년 7월, ... ...
- [수학뉴스] ‘골든 타임’ 중요한 해난 구조 수학이 돕는다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추적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실제 바다에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수신기를 부착한 마네킹을 표류시켜 실제 위치와 알고리듬으로 예측한 결과를 비교했죠. 그 결과 실제 위치와 예측이 매우 유사했습니다. 토머스 피콕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기계공학과 교수는 “이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발사 D데이, 이륙 900초 전 자동 카운트다운 시작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평도 주민들은 사전에 대피시켰다. 나로호의 움직임을 원격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수신장치를 탑재한 해양경찰청 함정은 제주도에서 남쪽으로 약 1700km 떨어진 필리핀 동부 해상으로 나가 대기했다. 발사 50분 전, 나로호를 꼿꼿이 세워놓았던 이렉터가 철수되면서 현장의 긴장감은 더욱 고조됐다. ... ...
- 도심에서 발견된 여우, 너의 정체는?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위치 확인이 가능하다. GPS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연구원들이 VHF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직접 들고 나가 여우의 위치를 추적한다. 야생에서 태어난 여우는 목걸이를 채울 수 없어 서식처 인근에 설치된 무인 센서 카메라와 헤어트랩 등 보조장비를 사용해 관찰한다. 이렇게 확인한 ... ...
- 텔레그램에 숨은 범죄자를 어떻게 찾아내나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암호화돼 있어 해석이 불가능하다. 종단간 암호화 방식은 이런 암호키를 송신자와 수신자가 직접 교환한다. 주고받는 대화 내용은 암호화해 서버에 저장되지만, 암호키는 서버를 거치지 않는다. 또 암호키는 통신할 때마다 갱신된다. 이전의 암호키를 제3자가 획득하더라도 새로운 대화 내용을 볼 ... ...
- [매스크래프트] #5. 퓨처랜드 놀이공원, 줄 서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전화하고 싶은 사람에게 전화를 걸면 바로 통화가 되지만, 20세기 초에는 송신자와 수신자를 전화 교환원이 연결해줘야 했어요. 통화량이 많을 때는 전화 교환원이 연결해줄 때까지 한참을 기다려야 통화할 수 있었죠. 이런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덴마크의 수학자 ‘아그너 얼랑’은 기다림 없이 ... ...
- 천문학자가 남극점에서 본 우주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수행할 수 있도록 초장기선 간섭계(VLBI) 수신기를 직접 개발해 SPT에 설치했다. 수신기가 만족스러운 관측 결과를 내기까진 우여곡절이 많았다. 한 번은 장비에 필요한 거울의 설계가 잘못된 것을 남극점에 도착해서야 알아차려 부랴부랴 인근 기계공작실에서 금속 덩어리를 깎아낸 적도 있다. 김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