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리
주의
학설
견해
진리
진실
강령
d라이브러리
"
신조
"(으)로 총 148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가 없으면, 카톡도 없어!“톡해~!”이 말은 친구와 헤어질 때 인사말을 대신하는
신조
어다. ‘문자 메시지로 연락을 하자’라는 뜻으로, 모바일 메신저를 대표하는 ‘카카오톡’이 등장하면서 생겨났다. 카카오톡은 2010년 3월에 출시된 뒤 5년여 만에 이용자는 1억 4000명, 하루 메시지 전송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변형이 일어나면 알아서 굴절률을 조절한다는 의미로 ‘스마김경식트 메타물질’이라는
신조
어도 만들었다. 연구 결과는 2012년 저널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발표했다. 논문은 큰 화제가 됐고, 지난해 9월 프랑스에서 열린 제7회 메타물질학회에는 스마트 메타물질 특별세션이 ... ...
나무 아파트, 몇 층까지 지어봤니?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마천루를 뜻하는 ‘skyscraper’를 합쳐 목조 고층빌딩을 뜻하는 ‘plyscraper’라는
신조
어도 생겼다. 목조 고층빌딩은 정말 실현 가능한 얘기일까.런던 9층 목조 아파트에서 시작스타트를 끊은 건 영국이었다. 2009년 런던 동북쪽 해크니 지역에 29세대가 살 수 있는 목조 아파트 ‘슈타트하우스(Stadthaus ... ...
[Knowledge] 히틀러는 왜 계속 태어나는가?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벌어질 뻔 했다. 일본 사회지도층은 경쟁적으로 ‘망언 퍼레이드’를 하고 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자신들이 벌인 만행을 부인하며, 자칫하면 전쟁이 일어날 수 있다는 언행도 서슴지 않았다. 정치인 중에는 윤리적으로 옳지 않은 신념을 공공연하게 주장하거나 자신만이 구원자라고 떠드는 ... ...
답정너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무슨 말이냐면 ‘답은 정해져 있으니까 너는 대답만 하면 돼’라는 말을 줄인 인터넷
신조
어지요. 위에 소개한 대화 에서 수지 닮았다는 소리를 들어서 짜증난다는 여성이 듣기를 바라는 모범답안은 무엇일까요. 그렇습니다. “수지 예쁘잖아. 너도 예쁘다고 칭찬하는 거야. 내가 봐도 너 수지 ... ...
[생활] 변덕쟁이 날씨를 예측한다! 기상 통계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최근에는 많은 기업에서 경영의 한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어서, ‘날씨 경영’이라는
신조
어까지 생겨났어요. 대체 날씨 정보를 어디에 어떻게 이용하는 걸까요? 기상청에서 조사한 사례를 통해서 자세히 살펴봐요.1. 실시간 기상 정보로 안전 운항 책임진다!A항공사에서는 기상 조건에 맞는 운항을 ... ...
병먹금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인터넷
신조
어라는 게 그렇습니다. 그냥 특별한 의미없이 줄임말을 인터넷에 썼다가 그 말을 여러 사람이 반복해서 쓰면서 의미가 굳어져 버리는 것이 ... 방법과 재료가 상세히 설명된 게시물이 쏟아져 나옵니다. 병먹금이라는 말이 왜
신조
어가 됐는지 다시 한번 골똘히 생각하게 됩니다 ... ...
맥구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맥구’라는 말인데요, 이 말은 ‘인맥을 구한다’는 말을 줄인 것입니다. 일종의
신조
어인 셈이지요. 오픈 국어사전에도 나와 있습니다.남녀노소를 따지지 않고 인맥은 우리 사회에서 참 중요한 덕목입니다. 부정과 비리로 줄이어 언론에 거론되는 높으신 분들도 인맥에 얽혀 있습니다. 인맥에 ... ...
펭귄부부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큰 부담이 될 만큼 비싼 책가방) 등이 그것입니다. 왜 이런 용어들이 인터넷에서 회자돼
신조
어로 정리됐을까요. 자녀를 위해 모든 것을 맞추다 보니 다른 아이가 매고 다니는 고가의 가방을 아무리 비싸도 덥석 사주는 세태를 풍자한 것이겠지요. 취학 전 자녀에게 ‘다른 아이만큼’ 가르쳐야 ... ...
PART 3. 중력이 수상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초부터 대략 20여 년간 관측한 결과 2000년대 중반에는 파이어니어의 이상 현상이라는
신조
어가 생길 정도로 학계의 관심이 집중됐다. 태양계 밖에서는 시공간이 다르게 휠 수도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2012년 이후 위성의 열복사 에너지가 태양을 향한 면과 반대쪽 면에서 서로 다른 것을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