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험자"(으)로 총 126건 검색되었습니다.
- 호르몬을 알면, 나도 우등생!과학동아 l2012년 09호
- 현상은 시험 시점에 최대치에 이르렀던 코르티솔 수치 때문이었다. 위약만 복용한 피실험자의 경우 학습능력이나 기억력은 어떤 영향도 받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실험에서는 코르티손 알약 복용으로 코르티솔을 증가시켰지만, 실제 시험을 치를 때에는 스트레스로 인해 코르티솔이 증가한다. ... ...
- 요약본 공부법, 시험 성적 높일까과학동아 l2012년 04호
- 5000 단어 분량의 대학 교과서 한 장(챕터) 전체와, 이를 5분의 1로 요약한 축약본을 실험자들에게 나눠주고 20분 뒤와 1년 뒤 시험을 봤다. 결과는 어땠을까. 전문을 다 공부한 학생보다 요약본만 본 학생이 더 이해도도 높고 기억도 잘 했다. 정보량이 풍부하면 그만큼 성과도 높으리라고 생각했다면 ... ...
- 지위가 높을수록 키 크다고 느껴과학동아 l2012년 02호
- 했다. 그 후 두 집단 모두에게 자신의 아바타를 만들게 했더니 지위가 높았던 때를 쓴 피실험자 집단은 자신의 키보다 더 큰 키의 아바타를 만들었다. 그러나 부하였던 때를 쓴 집단은 자신의 키보다 더 작은 아바타를 만들었다. 이 결과는 실제 과거 경험에 관계없이, 가상으로 역할을 맡았을 때도 ... ...
- 그가 만인 앞에서 ‘벌거벗은’ 이유과학동아 l2012년 02호
- 그리고 지난 2007년 여기에 한 가지가 추가됐다. 바로 개인게놈프로젝트의 네 번째 피실험자. 2003년 최초의 인간게놈이 해독돼 공개된 뒤 여러 유명인들이 자신의 게놈을 분석해 공개했다. 첫 번째 게놈 분석 대상은 DNA 구조를 규명한 것으로 유명한 제임스 왓슨이었고, 이어 인공생명을 만든 것으로 ... ...
- 꼬리에 꼬리를 무는 연구과학동아 l2012년 01호
- 학생들은 암실을 만들고 그 안에서 특정한 색의 빛을 보는 장치를 만들고 피실험자에게 여러가지 색의 빛과 빛에 의해 색을 띠는 물체를 본 후 느낌을 말하게 해 그 결과를 보고서로 작성했습니다. 이 학생들의 연구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았습니다. 연구 후 이들은 여러가지 색의 빛이 갖는 특성을 ... ...
- 내 몸에 맞는 생체시계 공부법과학동아 l2011년 06호
- 막는다고 2001년 ‘신경과학저널’에 발표했다. 브레이너드 교수팀이 새벽 2시 잠을 자는 실험자들에게 푸른빛을 쪼였더니 각성 주기가 3시간이나 빨라졌다. 그는 “눈에서 빛을 받아들이는 수용체 단백질이 특히 푸른빛에 민감하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푸른빛은 뇌를 깨워 ... ...
- 쪽지시험 보면 더 잘 외워지는 이유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외우려는 단어와 발음이나 뜻이 비슷한 단어를 떠올리면서 외우도록 시켰다. 이 때 실험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서 한 쪽은 쪽지시험을 보았고, 다른 쪽은 보지 않게 했다.그 후 일주일 뒤 최종 시험을 보았다. 시험 결과, 복습시간에 쪽지시험을 본 쪽이 보지 않은 쪽보다 시험 성적이 높았다. ... ...
- 열등감과 죄책감이 세뇌의 희생양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지나치게 오래 주저하거나 기분의 동요를 나타내면 그 단어가 연상시키는 것이 피실험자의 콤플렉스를 건드린다고 설명했다.어느 상담자는 형제와 사이가 안 좋았다. 서로 연락을 하지 않고 지낸 지 오래됐다고 했다. 그러다보니 누가 형제에 대해 물어보는 것이 가장 싫다고 했다. 순간적으로 ... ...
- part2, 목적에 따른 글쓰기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주제를 주변의 자연이나 일상생활에서 찾으라고 조언한다. 생활에 밀접한 주제일수록 실험자나 읽는 사람이 더 흥미롭게 느끼기 때문이다. ‘굳은 포스터 물감에 어떤 용액을 넣으면 다시 무르게 변할까’, ‘알약 캡슐은 어떤 환경에서 잘 녹을까’, ‘학교 연못 속의 바위는 왜 색깔이 변할까’ ... ...
- 타이탄 거대한 신화 속 과학이 깨어난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영국 런던대 레이먼드 돌란 교수팀은 가상공간에 있는 맹수가 실험자를 향해 다가올 때 뇌가 어떻게 활성화 되는지를 핵자기공명영상으로 관찰해 2007년 8월 24일자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결과 맹수가 멀리 있을 때는 이성적인 판단을 내리는 영역인 전뇌가 활성을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