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심리학"(으)로 총 6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여성 과학자가 못 갈 곳은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대한 고정관념을 알아보기 위해 처음 시작했지요. 올해 초,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의 심리학 박사과정 연구원인 데이비드 밀러는 지난 50년간 2만여 명의 아이들이 그린 과학자의 그림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과학자에 대한 고정관념이 크게 바뀌었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1960년대에는 어린이들이 ... ...
- 나도 여성 과학자가 될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대한 고정관념을 알아보기 위해 처음 시작했지요. 올해 초,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의 심리학 박사과정 연구원인 데이비드 밀러는 지난 50년간 2만여 명의 아이들이 그린 과학자의 그림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과학자에 대한 고정관념이 크게 바뀌었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1960년대에는 어린이들이 ... ...
- [서울대 공대 | 재학생 인터뷰] 다양성이 모여 다채롭게 빛나는 산업공학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매력을 '확장성'이라고 말했다. 이 씨는 “산업공학은 컴퓨 터공학, 최적화, 인간공학, 심리학, 경영학, 경제학 등 수많은 학문과 연결될 수 있다”며 “어떤 학문과도 연결할 수 있다는 점에 끌려 산업공학과를 선택했다”고 말했다. 이 씨는 수능을 두 번 치른 재수생이다. 그는 “재수할때 첫 ... ...
- Part 3. 9를 사랑한 음악가 콘서트수학동아 l2018년 10호
- 롤링수톤을 연재하고 있는 수학동아의 음악 담당 조혜인 기자입니다. 파티에 음악이 빠질 수 없겠죠? 9가 정말 특별한 게 음악가도 사랑한 수입니다. 오늘 콘서트에는 9에 매료된 분들을 초대했습니다. 바로 감미로운 색소폰 연주자 ‘소웨토 킨치’와 인디밴드 ‘9와 숫자들’입니다! 9를 담은 ... ...
- Part 2. 도전! ‘구연환’을 풀어라수학동아 l2018년 10호
- 마술쇼보다 최소 9배 재밌는 ‘퍼즐존’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저는 퍼즐존을 담당하는 퍼즐 마스터 김경환 기자입니다. 테이블 위에 생긴 것부터 복잡한 퍼즐 ‘구연환’이 보일 겁니다. 반지처럼 생긴 고리를 세어보세요. 몇 개죠? 맞습니다. 9개!‘9개의 연결된 고리’란 뜻의 구연환은 ‘캐 ... ...
- Intro. SHOW ME THE 9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이 수는 연속한 세 자연수의 세제곱의 합이며, 처음 11개 자연수의 약수의 합들을 더한 값이다!’수학동아 생일 파티 초대장이 도착했어요! 파티에 참석하려면 퀴즈를 풀어야 한대요. 정답은 9와 관련이 있다는데…, 설마 참석 못하는 건 아니겠죠? 정답을 알면 제게 귀띔 좀 해주세요. 파티는 ... ...
- Part 1. '미스터 9’의 신기한 마술쇼!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수학동아 9번째 생일 파티에 오신 여러분 환영합니다. 초대장에 적힌 퀴즈의 정답(99)을 푼 대단한 분들이시군요. 전 김우현 기자가 아니고 마술사 ‘미스터 9’입니다. 제 마술을 도와줄 사람이 필요한데요. 원하는 분은 손을 들어주세요. 아! 거기 모자 쓴 독자 분은 무대 위로 올라와 주세요. 처음 ... ...
- [과학뉴스] 수치심은 모든 인간이 갖는 본성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점수가 평균 약 84%에 이를 만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다 코스미데스 진화심리학센터 연구원은 “무리 내에서 신뢰를 잃지 않기 위해 미리 수치심이라는 감정을 예상하고 사전에 그런 행동을 하지 않음으로써 무리 생활을 계속 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
- Part 4.독자가 찾은 9수학동아 l2018년 10호
- 반갑습니다. 저는 수학동아의 막내 박현선 기자예요! 파티의 마지막은 독자 여러분의 제보로 꾸몄습니다. 지난 달 독자 여러분께 숫자 9와 관련된 소재를 제보해 달라고 요청했었죠? 오늘 선보인 마술쇼와, 음악 콘서트, 퍼즐은 독자들의 아이디어로 만든 거랍니다.파티 중간 중간 제보한 소재가 당 ... ...
- [Culture] 신호를 보내~ 시그널 보내~ ‘하트시그널’의 심리학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행복한 상태가 언제 사라질지 모른다는 불안감 때문이다.여러 심리학 논문의 공통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반복 강박이 치료가 필요할 만큼 심각한 상태가 아니라면, 이성의 소리에 더 귀 기울이고 자존감을 높이라는 것이다. 자기 자신에게 하트시그널을 보낼 줄 아는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