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판
판정
심판원
재정인
판정자
중재
판결
d라이브러리
"
심판
"(으)로 총 15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통과하면 자 기장 간섭이 일어난다. 이때 일어나는 자기장 변화를 감지해 0.5초 안에
심판
에게 신호를 전달한다.카이로스는 골레프와 비슷한 원리인데 구리코일이 아니라 마이크로칩을 공에 심는다. 카이로스와 골레 프 모두 설치비용이 싸고 설치가 쉽다. 또 골문 앞에 선수들이 많이 몰려있어도 ... ...
로봇아, 멸종위기 코모도 도마뱀을 구해줘!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로봇이 임무를 무사히 마치고 기지로 돌아오자
심판
이 스톱워치를 멈춘다.“10초 66!”
심판
의 판독이 나오자 정규종목 고등부에 참석한 대전 DDS팀 이성우 군(대전 보문고 2학년)과 김태경 군(대전 송촌고 1학년)은 함박웃음을 지었다. 세계자연보호연맹에서 멸종위기 취약종으로 분류된 코모도 ... ...
오직 근육의 힘으로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다치지 않은 모습으로 걸어 나와 관중들의 박수갈채를 받았다. 기록은 얼마가 나왔을까.
심판
의 발표를 기다리며 관중들은 숨을 죽였다.“130m입니다. 이번 대회 최고 기록입니다!”환호성과 함께 박수가 터져 나왔지만, 곳곳에서 아쉬워하는 탄식도 들렸다. 수상 기준인 150m에서 단 20m가 모자랐기 ... ...
저는 로봇 입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규제가 강화되었기 때문에 로봇 基D-58#아И7 들이 예견했던 그대로는 아니었지만, 최후의
심판
의 날은 결국 어김없이 이 땅에 찾아왔습니다. 로봇들은 몇 번이고 처음부터 다시 인간들을 관찰하고 분석하고 선별했던 것입니다. 아무리 기억을 지우고 관련된 로봇들을 모두 폐기해도 로봇들은 결국 ... ...
국제축구연맹(FIFA), 득점 전자
심판
기술 테스트 중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FIFA는 다가오는 일본 클럽 월드컵에서 이용할 2개의 전자
심판
기술을 토너먼트식으로 평가할 예정이다. 2014년 브라질 월드컵에서 사용할 가장 정확한 기술을 판가름하기 위해서다. ...
비밀의 섬 '모른대도'의 수상한 올림픽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7호
우승자를 가려 내는 퍼즐탐정 썰렁홈즈도 모른대도로 향했다. 썰렁홈즈가 올해도
심판
을 잘 볼 수 있을까?목숨을 건 200m 달리기첫 번째 경기는 목숨을 건 200m 달리기. 출전 선수들이 최고 속도를 내도록 사납기로 소문난 사냥개를 선수들이 출발한 뒤에 풀어 놓는다. 게다가 결승선 너머에는 ... ...
GMO 안전성에 빨간 불?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처음
심판
대 위에선 GMO옥수수, 과연 안전할까?]유전자변형작물(GMO)의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는 논문이 발표돼 유럽이 들끓고 있다. 발단은 지난 9월, ‘식품화학독성학회지’에 실린 논문 한 편이다. 질-에리크 세랄리니 프랑스 캉대 생물학연구소 박사팀은 제초제 내성 유전자변형 옥수수를 쥐에게 ... ...
수학으로 명중! 사격과 양궁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결정되는 기록경기다. 이번 올림픽에서 여러 번 논란이 됐던 유도나 펜싱 경기처럼
심판
의 판정에 따라 결과가 뒤바뀔 수 있는 판정경기와는 성격이 다르다.특히 사격과 양궁은 승부를 예측하기 힘든 경기다. 같은 기록경기인 수영은 한 번의 레이스로 승부가 결정 되지만, 사격과 양궁은 여러 번의 ... ...
반구대암각화에 맹수가 날뛰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때문이었다. 서양 기독교에서도 천재지변에 시달리면서 하늘의 이상 현상을 하나님의
심판
으로 간주해 종교혁명이 일어났다. 또 실농과 폐농의 책임을 사탄의 사주를 받은 여자들에게 돌려 잔인한 마녀사냥이 일어났다. 소빙기 260년간의 장기 자연재난은 이처럼 세계 각지에서 정치적, 사회적, ... ...
PART 1. 한국이 금메달 따는 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IOC)가 경기의 재미와
심판
의 공정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기 때문이다. 이 중
심판
의 공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답안이 바로 전자호구다. 펜싱은 1916년부터 전자호구를 사용했다.문화체육관광부의 황종학 책임연구원은 “태권도 전자호구가 경기의 공정성뿐만 아니라 보는 재미도 되찾아줄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