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접합제
풀
수지
페이스트
자연초
잡초
합성수지
d라이브러리
"
아교
"(으)로 총 6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유로 그림물감 만들기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그 자체로도 식품이지만 발효식품인 버터나 치즈를 만드는 재료이기도 하다. 또
아교
풀이나 그림물감을 만드는데도 사용된다. 그림물감의 색소를 고착시키는데 필요한 것이 바로 우유속 카세인. 우유로 만든 그림물감으로 겨울 하늘의 별과 달을 그려보자.실험1. 색소만들기왜 그럴까?고체가 용액 ... ...
페니스는 어떻게 진화했나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다른 수컷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암컷의 생식기관을 봉인하기 위해 수컷이 분비하는
아교
처럼 끈적끈적한 배설물이다. 페니스를 가장 기묘하게 사용하는 벌레는 빈대이다. 수컷은 창처럼 생긴 페니스로 암컷의 외피를 마구잡이로 찔러댄다. 암컷의 배에 생긴 여러 개의 구멍은 사실상 질의 역할을 ... ...
1. 일상에서 첨단까지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콜로이드 및 계면과학(Colloid and Interface Science)이다. 1850년 경그레이엄(Thomas Graham)이
아교
를 대상으로 연구한 것이 시초. 콜로이드는 물질의 어떤 상태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크기를 나타내는 개념으로서 수 나노미터(nm)에서 수십마이크론(㎛)의 크기를 말한다.콜로이드계는 콜로이드 크기의 입자가 ... ...
금속활자와 인쇄술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처음 등장하는 활자는 중국 북송시대의 필승(畢昇)이 만든 흙활자다. 이 흙활자는 찰흙을
아교
로 굳혀놓고, 철판 위에 송진을 덮고 쇠틀 안에 흙활자를 늘어놓은 다음 불을 쬐 밀납이 녹으면서 글자판이 고르게 되면 종이를 대고 찍어내는 방식이었다.그러나 획기적 발상물인 흙활자는 그리 널리 ... ...
${10}^{-29}$㎝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결합하거나, 양성자나 중성자속의 쿼크를 결합하는 힘을 일컫는 말이다. 이 힘을 나르는
아교
입자는 글루온(gluon)이다. 글루온은 같은 글루온과 쿼크에게만 상호작용하며 다른 입자들과는 상호작용하지 않는다. 요사이 관측된 입자에는 π(파이) 중간자 혹은 파이온이 있다. 파이온에는 세 종류가 ... ...
(1) 우연한 발견이 역사를 뒤바꿔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이미 라텍스를 응고시켜 만든 공을 갖고 놀았으며, 동아시아에서는 16세기에 새를 잡는
아교
로 고무를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즉 고무의 특성인 탄성과 점착성을 인류는 이미 오래전부터 사용하고 있었다.고무에 해당하는 영어 rubber라는 1770년에 영국의 E. 내르니가 만든 단어다. 내르니는 연필 ... ...
산호로 손상된 뼈 치유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티탄과 생체조직을 연결시켜주는 일종의 생체
아교
다. 인공적으로 제조하는 이 생체
아교
의 주성분인 칼슘인산염이 뼈의 구성성분이기도 하므로 하이드록시 아파티티스는 자석처럼 뼈세포를 끌어모은다. 콜라겐의 장기 장차는 부드러운 조직을 단단한 뼈로 바꾸는 일도 시도될 것이다. 물론 ... ...
금속활자의 부활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나무활자였다. 그 다음에는 진흙으로 만든 활자로 발전하였다. 진흙활자는 차게 한 흙에
아교
를 섞어 다진 다음에 그것을 깎아서 글자를 새기고 불에 구워 만든 것이다.이 진흙활자는 송(宋)나라의 필승(畢昇)이 최초로 개발해냈다. 그는 먼저 쇠로 만든 활자틀에 송진 밀랍과 종이를 태운 재 등을 ... ...
쿼크와 렙톤의 세계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보유하고 있으므로 중간자도 역시 무(無)색소다.강작용의 매개입자는 글루온(gluon, glue는
아교
또는 접착한다는 뜻)이다. 이 글루온은 그 자체가 색소를 띠고 있어서 자기들끼리도 강작용을 할 수 있다.쿼크에는 맛과 색소가 있는 셈인데, 맛이 다르면 질량이 다르지만 색소만 다른 경우에는 질량이 ... ...
생체
아교
로 상처를 말끔하게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안정화시켜 혈액응고를 촉진시킨다는 얘기다. 수년 전 이 성질을 활용, 최초의 생체
아교
인 피브린글루를 탄생 시켰는데, 아직 상품화 되지 않고 있다. 아무튼 TG나 피부린글루와 같은 생체물질이 상처를 치유하고 혈액을 응고시키는 데 본격적으로 사용된다면 기존의 화학합성물질들은 뒷전으로 ... ...
이전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