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식장"(으)로 총 65건 검색되었습니다.
- 1. 첨단과학기술의 경연장 「해양정보도시」과학동아 l1991년 05호
- 10%이상 떨어지고 유속이 감소돼 연안 수질오염이 가중될 위험이 있으며 △주변어장 및 양식장의 소멸과 생태계변화가 초래될 가능성이 있고 △송도 영도지구의 토취장개발에 따른 자연훼손이 크게 우려된다는 것이다.그러나 지난해 10월 청와대 정책조정회의에서 이러한 부처간 이견은 세부계획 및 ... ...
- 물 오염의 복병 중금속 화학물질과학동아 l1991년 05호
- 생산과 사용이 제한되게 됐다. 우리나라에서도 산업폐수로 인해 양식장과 어장을 망친 사례는 일일이 꼽기도 어려울 정도며 아직도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온산의 공해병 역시 온산공단의 산업폐수가 원인일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대체로 화학물질 오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나 생태계 파괴는 ...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과학동아 l1991년 01호
- 가장 깨끗한 곳이다.2급수 정도에서도 잘 사는 것으로는 붕어 잉어종류가 있다. 금붕어 양식장에 가 보면 대개 물밑이 잘 보이지 않는다. 붕어는 그만큼 오염에 대해 비교적 강한 물고기다. 이 정도로 오염에 견딜 힘이 있는 수생생물로는 잉어 메기 자가사리 구구리 등을 들 수 있다.수수미꾸라지 ... ...
- 기름을 분해하는 박테리아과학동아 l1990년 08호
- 남해 7백94건(51%), 서해 4백68건(30%), 동해 2백59건(19%) 순으로 오염사고의 절반 가량이 양식장이 밀집되어 있는 남해안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유출량은 남해(61.7%), 동해(29.7%), 서해(8.6%) 순으로 남해안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지난해 한해 동안에는 우리나라 전 해상에서 모두 2백건의 ... ...
- 적조현상 물고기의 떼죽음 식수오염과학동아 l1990년 06호
- 쏟아져 들어오는 사료와 인근마을에서 흘러들어오는 축산폐수이다. 소양호에는 가두리 양식장이 12군데 4만 4천㎥에 걸쳐 자리잡고 있으며, 사료 투여량이 연간 5천 7백 t에 이른다.이렇게 투여된 사료와 가축폐수에서 나오는 인과 질소성분이 식물성플랑크톤을 대량 번식시키는 영양분으로 작용하고 ... ...
- 해양과학동아 l1990년 01호
- 96년까지 2백50만평의 해상신시가지를 건설할 계획이다. 그러나 간척매립사업은 천해양식장 등 연안어장의 환경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선진국에서는 공동진화적 발전(coevolutionary development)정책을 통하여 생태계(ecosystem)와 사회계(sociosystem) 사이의 균형있는 발전책을 모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 ...
- 너무나 심각한 환경오염 우리는 이런 위험 속에 살고 있다과학동아 l1990년 01호
- 충주호 등 전국의 10여개 호수가 부영양화 현상에 시달리고 있으며 소양호마저 가두리양식장의 영향으로 부영양화의 전단계인 '육지 적조' 현상이 일고 있는 형편이다.한편 깨끗한 바다의 대명사처럼 알려진 동해가 지난해부터 크게 오염됐음이 밝혀져 충격을 주고 있다.동해에서 오염이 가장 심한 ... ...
- 진주왕국「미키모토」의 전설과학동아 l1988년 12호
- 적조가 엄습하면 진주양식장은 폐허가 되기 쉽다. 1892년과 1905년에 미키모토양식장은 적조현상으로 수십만개의 조개가 죽어버렸다. 1905년 '미키모토'는 수십만개의 죽은 조개를 하나하나 손으로까기 시작했다. 조금이라도 뭔가 건져 보려고 한것인데 다행히 5개의 훌륭한 진주를 찾아내 가까스로 ... ...
- 은연어의 양식, 내년부터 일반에 보급과학동아 l1988년 10호
- 내지 2백g 크기가 되는 10월 중순에서 12월 초순경 담수양식장에서 바다에 설치된 가두리양식장으로 옮겨진다. 바다로 옮겨진 은연어는 효율적인 사료공급 등으로 양식을 하면 이듬에 6,7월경 2~4㎏으로 성장, 수확을 하게 된다.이같은 양식과정에서 순치(馴致)와 역순치(逆馴致)가 필요하다. 즉, ... ...
- PART I 세계적으로 드문 독특한 조건 황해는 어떤 바다인가과학동아 l1988년 04호
- 어업정책수립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서해연안은 현재 해조류와 조개류의 중요한 양식장이 되고 있으며 앞으로의 개발가능성도 매우 높다. 미역 김을 비롯하여 굴 꼬막류 바지락 백합 가리비 그리고 새우류 등이 양식되고 있는데 양식기술의 개선에 따라 양식종 및 생산량의 증가가 크게 기대된다 ... ...
이전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