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적
공적
위업
성과
공훈
성취
달성
d라이브러리
"
업적
"(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사 극장] 마리 퀴리는 머리가 나빴다?
과학동아
l
2023년 05호
서로 다른 과학 분야에서 노벨상을 탄 사람은 마리 퀴리가 유일하다. 그만큼 뛰어난
업적
을 남겼다고 할 수 있다. 마리 퀴리의 방사능 연구는 새로운 방사성 원소를 발견하고 그 특성을 밝히는 데 집중돼 있었다. 그의 연구는 우라늄을 추출하고 남은 피치블렌드 광석을 적당한 용매로 녹이는 것부터 ... ...
[독자기고] 과학이 수월해지는 프로젝트, 과학잡지 만들기
과학동아
l
2023년 05호
과학동아 2022년 12월호를 보면 반쯤 가렸지만 필자의 얼굴을 찾을 수 있다. 2022년 10월, 변지민 과학동아 편집장이 필자가 재학중인 창원남산고를 찾았다. 과학잡지를 ... 즐거움이 되는 글을 쓰고, 만드는 일은 행복한 기억으로 남았다. 고등학교 시절 필자가 이룬 최고의
업적
이지 않을까 ... ...
[피플] 독창성의 비결은 독학
수학동아
l
2023년 05호
오래전 논문부터 찾아가면서 공부했지요. 그렇게 4년이 지난 1977년, 현재는 그의 대표
업적
이라 불리는 슈테판 문제의 실마리를 제시해 수학계를 깜짝 놀라게 합니다. 수학계에서는 그의 논문을 두고 PDE 문제를 기하학적으로 접근한 독창적 연구라고 평가했는데요. 2008년 대만국립대학교 수학과와의 ... ...
[이그노벨상] 벌에 어느 부위를 쏘이면 가장 아플까?
과학동아
l
2023년 05호
그의 별명이 ‘독침의 왕(King of Sting)’인 것도 놀랄 일은 아니다. 슈미트의 가장 유명한
업적
이자 이그노벨상을 받은 연구는 1983년에 발표한 ‘슈미트 독침 통증지수(곤충 침 통증지수, Schmidt Sting Pain Index)’다. 이 통증지수는 곤충에게 쏘인 통증을 비교할 때 쓰인다. 가장 접하기 쉬운(그래서 ... ...
[이그노벨상] 단세포 생물에게 노선 설계 맡겼더니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주 이그노벨상. 괴짜들의 노벨상이라 불리며 “다시 할 수도 없고 다시 해서도 안되는
업적
”에 수여되는 상으로 불립니다. 매년 듣기만 해도 웃음이 터져 나오는 연구 약 10개에 수여되고 있죠. 하지만 웃음 너머로 과학의 본성에 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하는 연구들을 조명하는 상이기도 ... ...
이휘소는 원자폭탄 개발에 관여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않더라도, 이휘소의
업적
은 세계 과학사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그의
업적
에 그 자체로 관심을 갖고 그 의미를 파악하려는 노력을 할 때, 우리는 과학자 이휘소를 비로소 온전히 이해하고, 그를 제대로 존경하고 흠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김태호 전북대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 ...
NIF에서 과학동아로 보낸 편지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주가 걸렸죠. 진정한 점화가 이루어졌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놀라운 과학적
업적
이라고 생각합니다. NIF 점화는 이제 시작입니다. 관성 가둠 핵융합에서 점화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남은 문제는 기술적 세부 사항을 개선하는 방법입니다. 저는 이것들이 가까운 미래에 ... ...
2mm 캡슐이 만들어낸 커다란 도약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에너지 증폭률(Q)이 1.5다. 그랜홈 장관은 이번 성과를 “21세기의 가장 인상적인 과학
업적
중 하나”라 자평했다. 핵융합 기술은 흔히 ‘인공태양’에 비유된다. 태양이 핵융합으로 빛과 열을 만들기 때문이다. 태양의 가장 중심부에 위치한 핵은 온도가 1500만K에 달하는 초고온 초고압의 상태다. ... ...
[특집] SF속 당신의 순간이동을 골라보세요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양자전송을 연구했다. 1997년 세계 최초로 광자를 양자전송하는 데 성공한 일은 그의 최대
업적
중 하나다. 그런데 차일링거 교수는 “이것은 스타트렉에 나오는 것과 전혀 다르다. 사람을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다”라며 “양자전송은 얽힘을 이용해 정보를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 ...
[과학사 극장] 씨 없는 수박은 우장춘의 작품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업적
을 남겼다. 광복 후 한국에서는 육종학의 기틀을 다지고 우량종자를 보급한 실용적
업적
을 남겼다. 이런 점에서 그를 농업과학을 넘어서 20세기 전반 한국 과학계 전체를 대표하는 과학자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