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자"(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지사탐 박쥐 연구자, 류흥진 박사의 수상 소식을 전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장비를 만드는 미국 기업이에요. 주로 박쥐나 새, 양서류 등 소리를 내는 야생동물 연구자를 해마다 지원하고 있지요. 류 박사는 2020년 시민과학자들과 함께 우리나라에 사는 박쥐를 조사한 ‘시티뱃(citibats)’ 프로젝트의 성과를 인정받았어요. 시티뱃은 시민과학자들과 함께 우리 주변의 박쥐 ... ...
- 아마존강 도전장을 내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지류를 따라 하구까지의 거리를 재느냐에 따라 강의 길이가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연구자들은 오래전부터 나일강과 아마존강의 길이에 대해 논쟁을 벌여왔어요. 18세기 탐험가들과 지리학자들은 두 강을 직접 탐사하며 수원과 하구를 찾고 강의 길이를 추정했지요. 육분의● 등의 도구를 ... ...
- [현장취재①] 야생동물의 천국, 야쿠시마 탐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했지요. 이는 영리하고 경계심 강한 원숭이의 특징을 고려한 규칙일 뿐 아니라, 영장류 연구자로서 제가 동물을 관찰하는 사람들에게 바라는 점이기도 했어요. 탐사 중 인상 깊었던 건, 지구사랑탐사대원들의 행동이었습니다. 대원들은 동물들을 배려하기 위해 다가가고 싶은 마음, 만지고 싶은 ... ...
- 바둑이 넌 어디서 왔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넘나드는 큰 규모의 연구 비결은 바로 ‘협력’이에요. 박찬규 교수는 “전 세계 연구자들이 공개하는 개 유전자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기도 하고, 직접 다른 나라에 찾아가서 개의 혈액을 받아오기도 했다”고 말했어요. 또 유전자 연구에서는 유전 정보가 담긴 시료가 굉장히 중요한데, 토종개 ... ...
- [현장취재②] K-시민과학 지구사랑탐사대, 국제 학술 대회 데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알리다! 미국 시민과학협회에서 주최하는 시민과학 학술 대회는 전 세계 시민과학 연구자들이 모여 시민과학 사례를 공유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찾는 자리입니다. 2년마다 오프라인으로 열리는데, 올해는 5월 22일부터 25일까지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교에서 개최됐어요. 지구사랑탐사대 ... ...
- [사막 생물 탐구생활] 시민과학으로 사막거북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흙을 먹는 행동도 관찰했어요. 거북을 추적하는 것은 사막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야 해 연구자들에게도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시민과학자들 중 대다수는 현업에서 은퇴했기 때문에 시간적 여유가 있었어요. 2022년에만 수십 명의 시민과학자들이 매주 보호구역을 구석구석 누비고 거북을 ... ...
- 바둑이를 만난건 삽살개 사랑 덕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정보를 담고 있는 혈액 속 DNA를 분석, 비교하며 삽살개의 원형을 복원해 나갑니다. 동료 연구자들과 함께 삽살개에 관한 연구 논문도 여럿 발표하지요. 그 덕분에 삽살개는 1992년 우리나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됩니다. 삽살개 복원 사업을 시작한 지 약 20년 만인 2000년대 초반, 짧은 털에 얼룩무늬를 ... ...
-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 어디에나 붙는 게코파워! 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끝부분에 달린 미세한 주걱 덕분에 아주 작은 힘만 사용해도 찰싹 달라붙을 수 있지요. 연구자들은 게코 도마뱀의 이런 특징을 이용해 접착력이 좋으면서도 깔끔하게 뗄 수 있는 테이프를 만들기도 하고, 게코 도마뱀같이 벽을 탈 수 있는 로봇도 개발했어요. 같이 보러 가 볼까요?지구를 포함해 ... ...
- 끈이론 혁명을 주도한 물리학자의 물리학자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논문의 수가 h개 이상일 때 이 둘을 동시에 만족하는 h의 최댓값을 ‘h지수’라고 해요. 연구자의 연구 생산성과 영향력을 알 수 있는 지표인데요. 위튼 교수의 h지수는 206이나 됩니다. h지수를 만든 호르헤 허쉬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 교수는 이 지수가 40이 넘으면 뛰어난 과학자라고 ... ...
- [르포] 달을 향한 열망과 비전이 넘치는 곳 아제르바이잔 국제우주대회에 가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고려 사항이다. 때문에 탐사로버의 바퀴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이 기술에 해외 연구자들도 큰 관심을 보였다.온 몸으로 새로운 지식을 배우는 경험 “미래에는 비행기가 아닌 스타쉽(스페이스X에서 개발 중인 우주선)을 타고 아침에 인천에서 출발해 점심에 런던에서 밥을 먹고 일하다가 저녁엔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