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피
체적
용량
크기
용적량
분량
부피가 큼
d라이브러리
"
용적
"(으)로 총 78건 검색되었습니다.
2. 두 발로 서고 석기 쓰며 사람형태로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개체의 것을 조합해 복원한 것이다. 고생물학자들은 이 골격에서 아파렌시스 두개골의
용적
을 알아내고 또 다른 체질적인 특성을 복원했는데, 그것들이 이번의 두개골에서 대체로 확인됐다.존스 홉킨스 의과대학의 알란 워커박사는 "이번의 두개골의 이마부위 덕분에 3백90만년 전의 화석과 3백만년 ... ...
1. 태고의 유인원, 2천3백만년 전 첫 출현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열대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다.이들은 눈이 발달해 있고 코가 짧으며 두개골의
용적
이 몸통에 비해 큰 편이다. 그리고 이빨을 포함한 뼈들이 골고루 발달해 있으며 수태기간이나 아기의 양육기간이 대단히 긴편이다.이러한 영장류는 중생대 말기 약 6천3백만년 전 공룡이 멸종하고 난 이후 ... ...
4. 한국인의 뿌리, 아프리카 현생 인류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어떠한 특징을 갖고 있는가? 현재 살아 있는 모든 인류의 공통적인 두개골의 특징은 두뇌
용적
이 적어도 1천4백㏄ 이상 된다는 점이다. 또 이마가 곧추서고 눈두덩이가 전혀 튀어나오지 않으며 머리의 종단면이 오각형에 가깝고 턱과 이빨이 작아지며 턱끝이 튀어나와 있다. 그리고 언어를 사용할 수 ... ...
생물- 하루에 4∼6회씩 오줌을 누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것으로 신장에서 계속 보내오는 오줌을 모았다가 일정량이 되면 배설한다. 방광의 최대
용적
은 1ℓ 정도이나 오줌이 2백~3백mℓ가 괴면 오줌을 누고 싶어진다. 방광에 뇨가 차면 배뇨근의 팽창 감응기(stretch receptor)를 자극, 감각 신경을 통해 뇌로 요의를 전달한다. 그러나 오줌이 괴면 곧 배설되는 ... ...
규슈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해중에서 융기했다.그 후에도 대규모의 분화가 계속 있어서 화산분출물 3천5백㎢,
용적
1백75㎦에 달하는 다량의 지하 물질을 방출함으로써 내부 붕괴를 일으키게 됐다. 이리하여 중앙부에서 대함몰이 일어나 세계적 대화구원(大火口原)이 출현했다. 이를 칼데라(caldera)라고 한다. 이는 3만년 전의 ... ...
(4) 공룡 연구의 시작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생각해 왔다. 그러나 실루로사우르(골빈 용) 드로매오사우르(속주룡)는 큰 뇌의
용적
과 더불어 뇌의 생김새로 보아 그들이 영리한 동물이었다고 많은 학자들은 주장한다.진화의 법칙 실증한 공룡 절멸공룡 연구에서 가장 관심의 대상이 돼온 의문은 왜 갑자기 지구상에서 자취를 감추었느냐는 ... ...
기초부터 다시 시작하는 PC교실① 286 386 486의 행진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뇌의
용적
'이 인간지능의 발달과 더불어 끊임없이 커져왔고 뇌
용적
의 크기가 인간 진화의 중요한 지표가 된다. 컴퓨터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도 사정은 마찬가지다.마이크로프로세서가 컴퓨터에서 하는 일은 외부에서 컴퓨터에 주어진 명령에 따라 ... ...
몸무게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늘거나 줄지 않는다는 얘기다. 그 대신 에너지섭취량과 운동량 등에 따라 세포의 크기(
용적
)가 달라질 뿐이다.따라서 뚱보를 두가지 형으로 나눌 수 있다. 지방세포의 수가 많은 형과 지방세포의 크기가 큰 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중 전자는 상하반신이 한결같이 뚱뚱한 상태를 나타내고, ... ...
잘못 쓰이고 있는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사용량을 계량하도록 표기되어 있고 다달이 징수하고 있는 상수도 및 하수도 사용료도
용적
의 단위로 부과하고 있다. 그런데도 상수도 시설 계획에서 급수용량 ○○t이라고 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 표현이다.■'굴삭기'는 '굴착기'로 바로 잡아야요사이 우리 주변에서 굴삭기라는 건설 중기를 ... ...
첨단장비로 범죄와 싸운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않아 미국 일본 등지에서는 이미 20년전에 법정증거물로 채택되었다. "사람마다 입속
용적
, 콧구멍, 이모양, 후두의 길이 등이 다르기 때문에 목소리의 특징을 찾아낼 수 있다"는 게 박종철 성문분석실장의 설명이다.과학수사연구소에서는 87년 '디지털 소나그래프 7800'이란 장비를 도입하고 업무를 ... ...
이전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