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싸움터
전쟁터
교전구역
전투장
전쟁장
전야
전쟁마당
d라이브러리
"
전장
"(으)로 총 17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송용 무인 헬기, 아프가니스탄에서 첫 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미국의 전쟁물자를 수송하기 위해 개발된 무인 헬기 '카만 K-MAX'가 아프가니스탄에 실전 배치됐다. 원격제어가 가능해 임무 중 파일럿 손실 위험 없이 물자를 수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적군의 빈번한 공격 목표였던 수송차량을 대신해
전장
에 투입될 계획이다. ...
“정글 성큼성큼 걷는 거대로봇 만들 겁니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세 발로 걷는 이 로봇은 두 사람이 들고 다니며 바로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다.
전장
에서 정찰, 감시 등의 임무를 맡을 수 있다. 홍 교수는 “로봇이 이동하는데 장애물을 피하는 게 골칫거리지만 키가 10m나 되면 이동 방식이 완전히 달라진다”며 “장애물을 피하는 게 아니라 그냥 넘어가게 될 ... ...
최종병기 天弓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또는 아군 비행기와 중복되지 않도록 교전 상황을 판단해 미사일 발사를 명령한다. 이때
전장
을 원활히 파악하고, 다른 방공포대와 아군기와의 연동 작전을 신속히 펼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적기의 위치와 속도에 따라 위협 정도를 분석해 대응 순서를 정하고, 발사대 상황을 고려해 어떤 ... ...
최종병기 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안에서 곧은 방향으로 더 오래 힘을 받기 때문에 더 정확하게 조준할 수 있다. 편전은
전장
에서 큰 위력을 발휘한 조선의 비기였다. 따라서 조선의 군대는 그 기법을 기밀로 유지하기 위해 편전을 보이는 곳에서 연습하지 못하도록 규제하기까지 했다.[ (좌) 청나라 군대의 모습. 상세한 고증으로 당시 ... ...
안전띠에 대한 궁금증 5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불에 잘 타지 않고 여간해선 끊어지지 않는다. 국내 안전띠 개발업체 삼송의 윤용찬
전장
개발팀장은 “안전띠 하나로 차 2대 정도는 거뜬히 끌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개발하고 있는 안전띠를 당기는 실험 중에도 끊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한다.안전띠를 돌돌 말고 있는 얼레(토션)에도 비밀이 ... ...
외골격 로봇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야외 활동을 하기엔 아직 부족하다. 헐크는 최대 12시간가량 움직일 수 있다. 실제
전장
에 투입되기 위해서 메탄올이나 수소 등을 전기로 바꾸는 ‘연료전지’ 시스템 등 다양한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박상덕 단장은 “배터리 문제가 해결된다면 일당백의 슈퍼솔저를 만드는 일도 결코 꿈은 아닐 ... ...
“10년 후, 로봇이 한반도 지킨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으로 개발될 것이다.4가지 로봇이 모두 개발되면 한반도의 미래
전장
이 SF영화와 비슷한 형태로 바뀐다. 중전투로봇이 먼 곳에 있는 적군의 전차에 포격을 가한다. 근거리 전투가 벌어지면 경전투로봇이 인간 병사를 도우며 기관총과 미사일로 적을 공격하게 된다.인간과 ... ...
스스로 싸우는 전투 로봇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합쳐지면 상황에 맞는 전술을 구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3 . 인간형 로봇은 언제
전장
에 등장할까?영화 ‘터미네이터’를 보면 다양한 전투 로봇이 등장한다. 그러나 영화 속에서 궁극의 병기는 사람 모양을 한 터미네이터다. 인간형 전투 로봇은 과연 어떤 장점이 있고 언제쯤 등장할까.가까운 ... ...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전쟁로봇의 활약이 커지면서 전쟁의 양상도 바뀌었다. 가장 큰 변화는 병사들이 직접
전장
에 가지 않고도 게임하듯이 전쟁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 게임기 패드로 팩봇을 조종하는 병사의 모습은 이 점을 생생히 보여 준다. 미국 브루킹스 연구소의 군사전문가 피터 싱어 연구원은 2009년 한 ... ...
천안함 7분간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5월 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미래희망연대 김정 의원 주최로 열린 ‘
전장
스트레스 실태와 관리방안’ 세미나에서 계요병원 정신과 박주언 과장은 “군의관 5명과 대한불안의학회 소속 전문가 3명이 천안함 생존 장병 58명을 대상으로 사건 충격 척도와 스트레스 반응, 수면척도, 죄책감과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