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절단"(으)로 총 38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테러 조직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9년 06호
- 개를 잠근다면 A와 아무 다른 꼭지를 선택하거나 B, C를 선택하면 되겠죠. 이처럼 k에 대한 절단 집합은 정보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k개의 원소를 고르는 집합입니다.' 참고자료Jonathan Farley ‘Breaking Al Qaeda Cells: A Mathematical Analysis of Counterterrorism Oper ...
- [통합과학 교과서] 동화나라가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수 있도록 설계되어 웬만한 하중에도 끄떡없고, 일부러 끊으려면 거대한 레이저나 가스 절단기로 오랜 시간 있는 힘을 다해 끊으려고 노력해야 하지요. 아마 악당은 계획이 성공하기 전에 CCTV나 경비원에게 발각되고 말 거예요. 또 앞에서 말했듯이 엘리베이터에는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다양한 ... ...
- [수셰프 피터팍의 맛있는 수학] 스파게티 면 난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배배 꼬아서 구부리면 반으로 쪼개지는 경우가 있다는 걸 알아냈습니다. 꼬임이 첫 번째 절단이 일어날 때 반동 효과를 낮춰줬던 겁니다. 아이디어를 찾은 연구팀은 이 현상을 설명하고 정확히 계산할 수 있는 수학 모형을 세우기 위해 또 다른 MIT 수학자 비샬 파틸을 팀에 들였습니다. 직접 만든 ... ...
- 노벨물리학상, 빛으로 도구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빛으로 집게도 만들고, 라식 수술도 하고!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레이저’와 관련된 기술을 개발한 과학자 세 명에게 돌아갔어요. 미국 벨 연구소 ... 등장은 소형 고출력 레이저 개발을 가져와 기초과학 분야는 물론 라식 수술 등 미세한 절단이 필요한 응용 분야에도 활용되고 있답니다 ... ...
- [과학뉴스] 호주의 귀염둥이 ‘웜뱃’ 똥이 네모난 이유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만들어진다고 설명했다. 직육면체 모양 인공물을 만들 때는 보통 거푸집을 사용하거나 절단을 해서 만든다. 양 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어떻게 부드러운 유기조직이 네모꼴을 만들 수 있는지 힌트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 애틀란타에서 열리는 미국물리학회 ... ...
- 곡식의 왕 '밀'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기술을 사용했다. 밀 게놈을 평균 길이가 76개 염기쌍인 긴 DNA 조각으로 절단하고 이것을 컴퓨터에 입력해 재조합하는 ‘샷건 시퀀싱(shotgun sequencing)’ 기술이 쓰였다. IWGSC에 한국 대표로 참여하고 있는 서용원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는 “덕분에 밀의 중요 특징을 결정짓는 유전자들이 어디에 ... ...
- Part 1. '미스터 9’의 신기한 마술쇼!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오늘만큼은 저도 박현선 기자가 아닌 마술사랍니다. 가장 신기한 마술 중 하나가 절단 마술이죠? 여기 상자 안에 들어가 있는 조혜인 기자의 몸을 둘로 나눠보겠습니다. 하나, 둘, 셋!어이쿠, 어쩌죠? 제가 실수를 하고 말았어요. 상자에 든 조혜인 기자는 무사할까요? 독자 여러분의 힘을 합치면 ... ...
- [Career] 찌르면 ‘아야!’ 통증 내뱉는 전자피부과학동아 l2018년 09호
- 감각 신호를 정확하게 처리하는 방법도 지속적으로 연구돼야 한다.장 교수는 “손이 절단된 환자가 인공의수를 착용해도 자녀의 온기를 느끼고, 자녀 또한 부모의 따스한 손길을 느낄 수 있게 만드는 것이 목표”라며 “촉각 모방 연구는 인간의 감성을 담을 때 완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Origin] 일본이 다시 한반도의 품으로? 동해 지각판이 심상치 않다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이후의 연구들은 해양판이 식는 과정에서 그 강도가 함께 증가해 자체 무게만으로는 절단되고, 섭입되기 어렵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그렇다면 어떤 다른 요인이 해양판을 섭입하게 만드는 걸까. 수치 모델링을 통해 지구동역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다음 몇 가지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 ...
- [팔과 다리 만들기] 팔 이식, 전자의수 무엇을 원해요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앞으로 풀어야 할 가장 어려운 문제 중 하나는 ‘위치’다. 현재는 팔이 팔꿈치 위쪽에서 절단된 경우 정확도가 떨어진다. 팔꿈치 윗부분은 팔꿈치의 각도를 조절하는 신호와 손가락을 움직이는 신호가 섞여 있어 원하는 특정 신호만 가려내기 어렵다. 이 때문에 팔의 잘린 부분에 있는 신경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