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가
증대
번식
확장
증진
증가액
d라이브러리
"
증식
"(으)로 총 782건 검색되었습니다.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8화. 바이러스와 싸우는 군론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번식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숙주 세포를 이용해 자신의 유전 정보를 복제하며 급속히
증식
하죠. 대칭이어야 자기 복제가 쉽다!빠르게 자기 복제를 할 수 있는 건 바이러스의 구조가 굉장히 단순한 대칭이기 때문입니다. 복잡한 구조는 그만큼 복제하기 힘들 테니까요. 간단한 예를 들어볼까요?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런 식으로 배양할 수 있는 바이러스의 수는 매우 적다. 인위적으로 배양한 세포에서는
증식
하지 않는 바이러스가 상당수이기 때문이다.최근에는 바이러스의 정체를 빠르게 알아내기 위해 유전자 분석부터 시행하기도 한다. 특히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술의 개발은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영양소가 부족하거나 건조한 상황에서 DNA 구조가 A형으로 변하는 숙주세포에서도
증식
이 가능하다.바이러스가 자신의 유전물질만 보존할 수 있다면 꼭 생명체 옆에 계속 붙어살지 않아도 된다. 비록 물질대사나 생식 등의 현상은 일어나지 않지만, 둥둥 떠다니다가 자신에게 맞는 숙주를 찾는다면 ... ...
STEP ③ 유전체 복제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유전자가 딸려 나오기도 한다는 점이다. 사람의 유전자를 일부 품은 바이러스가
증식
해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면, 이 유전체가 다시 다른 사람의 세포에 삽입될 수 있다. 사람에서 사람으로 수평적 유전자 이동(lateral gene transfer)이 바이러스를 통해 일어나는 것이다. 대부분의 동물은 생식을 통해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시험관에서
증식
시킨 최초의 연구이자, 폴리오바이러스가 신경 조직에서만
증식
한다는 학계의 정설을 뒤집는 결과였다.세 과학자의 연구는 소아마비 백신 개발로 이어졌다. 또 다양한 표본 조직에서 바이러스를 배양하고 분리하는 기술은 바이러스 연구를 한 단계 발전시켰다. 엔더스와 웰러는 195 ... ...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다른 개체군으로 피부종양세포를 이식했다. 그 결과, 이식받은 개체군에서는 암세포가
증식
하지 못했다. 이는 이식받은 개체에서 거부반응을 일으켰다는 뜻이다. 스넬은 여기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기 시작했다. 쥐의 꼬리를 다른 개체군의 쥐에게 이식하는 실험을 이어갔다. 역시 이식받은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때문이다. 반면 단백질은 그 자체로 항원의 역할을 하면서도 다른 숙주로 감염되거나
증식
하지 않는다. 유일한 예외는 광우병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프리온(prion) 단백질뿐이다. 다만 면역반응 유도율은 단백질 백신이 세포전체 백신에 비해 조금 떨어진다. 항원만으로는 면역반응이 충분히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승인받았다. 다사다난한 백신 개발 비하인드 스토리는 현재 진행형이다. 최근에는
증식
과정에서 수시로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가 큰 도전 과제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의 경우 유행하는 유형을 일부 예측할 수 있는 것과 달리, 코로나바이러스는 같은 바이러스가 반복적으로 나타나지 ... ...
1981년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20세기 흑사병’에서 만성질환으로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에 사용되기도 했다. 칼레트라는 HIV의
증식
에 필요한 단백질 분해 효소를 억제하는데 같은 방식으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에도 작용하기 때문이다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 점도 바이러스 입장에서는 다행일 수밖에 없다. 감염된 숙주가 죽으면 바이러스도
증식
하지 못하고 함께 사멸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을 비롯한 동물은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면역세포들이 바이러스의 유전체 복제와 단백질 합성을 방해하는 ‘인터페론’ 단백질 등의 신호 물질을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