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능"(으)로 총 2,290건 검색되었습니다.
- [칼럼] AI 판사에게 꼭 필요한 능력은?과학동아 l2024년 02호
- AI가 인간 언어능력이란 오랜 장벽을 극복했다는 상징적 의미가 있다. 그래서 언어 지능의 완성형에 가까운 챗GPT가 등장하자마자, 사람들은 챗GPT가 법률 추론이라는 마지막 벽까지 넘을 수 있을지 큰 관심을 보였다. 그리고 마침내 확인할 기회가 왔다. 카츠 교수와 마이클 봄마리토 미국 ... ...
-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뤼튼테크놀로지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이 두 가지를 뒷받침할 자본이 많을수록 더 좋은 모델을 만들 수 있다. 때문에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이 LLM을 만들어 빅테크 기업과 정면 승부하는 건 좋은 전략이 아니다. 독보적인 아이디어와 기술로 틈새 시장을 노려야한다. 뤼튼테크놀로지스가 찾은 답은 빅테크 기업들의 LLM을 종합해 가장 좋은 ... ...
- “무인 가게, 가 보니 이랬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여러분은 무인 편의점, 무인 아이스크림 가게, 무인 문구점 등을 자주 이용하나요? 무인 가게를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초등학생들이 ‘팝콘플래닛’을 통해 무인 가게에 대한 생각을 들려줬어요. ...
- 타디그레이트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지난 줄거리지하 도시정부인 메디움 시티의 모든 공적 업무는 AI 시스템 ‘우나’가 담당한다. ‘선’은 이곳 지하 도시의 유일한 구태인(비사이보그인)이다. 최대 명절인 ‘조우의 날’, 선은 공립 도서관이 있는 중앙 광장에 가기 위해 1인용 캡슐 열차에 탄다. “선, 이제 곧 메디움 시티 중앙 ... ...
- Part3. 대규모 언어모델 AI 로봇 혁신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할 것”이라고 말했다. ➁ 스스로 해결책을 생성하는 모델 고두열 한국기계연구원 인공지능기계연구실 선임연구원은 “일반인도 AI 로봇을 활용할 수 있을 정도로 상용화가 되기 위해선 휴대폰처럼 다양한 작업을 알아서 할 수 있는 AI 로봇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전까지 특정 임무 처리 ... ...
- 사람에게 지문이 있다면, 반려견에겐 ‘이것’이 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당시를 회상했습니다. 그들이 코주름 사진을 수집한 건 개의 비문을 인식할 수 있는 인공지능(AI)을 개발하기 위해서였습니다. AI를 학습시키려면 주름 하나하나가 잘 보이는 선명한 코 사진 데이터가 최소 수만 장 필요한데, 인터넷 상에서는 구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개의 비문은 사람의 ... ...
-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프렌들리 AI과학동아 l2024년 02호
- IT 스타트업의 무기는 톡톡 튀는 아이디어, 특화된 기술력이다. 하지만 생성 인공지능(AI) 분야처럼 빅테크 기업이 자본력뿐만 아니라 기술 개발까지 주도하고 있다면 얘기가 달라진다. 2017년 구글은 생성 AI의 핵심인 트랜스포머 모델을 만들었고, 오픈 AI는 매해 걸출한 AI 연구를 내놓고 있다. 이럴 땐 ... ...
- 수학자는 동물을 사랑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공통점만으로 백조 찾을까? 미운 오리 새끼 정리 안데르센의 동화 는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새끼 오리와 새끼 백조 ... ‘미운 오리 새끼 정리’라고 이름 붙였다. 이 정리는 분류 문제에서 두루 이용된다. 인공지능의 한 분야인 기계학습에서 알고리듬을 짤 때도 쓰인다 ... ...
- 자연의 절대 법칙 튜링의 반응-확산 방정식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치타는 잘은 점박이 무늬이고, 호랑이는 길쭉한 줄무늬다. 얼룩소는 점박이긴 하지만 치타와는 다른 큰 점박이 무늬다. 이처럼 동물마다 무늬가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 1952년 영국 수학자 앨런 튜링은 동물무늬 패턴이 근본적으로 다르지 않다고 보고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다. 즉 동물무늬 패턴을 ... ...
- 동물 걸음걸이의 수학 규칙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두 발로 걷는 사람에서부터 354개나 되는 다리를 가진 지네까지 모든 육상 동물은 땅 위에 흔적을 남긴다. 수학자들은 마치 탐정처럼 동물의 발자국과 걸음걸이 패턴에서도 수학적인 규칙을 찾는다. 걸음걸이는 보통 한 방향을 향하며, 그 모양이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수학자들은 이처럼 한 방향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