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행"(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 [Chapter1] 기후 재앙에 맞서다!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Chapter1] 기후 재앙에 맞서다!Part1. 내일 기상 10년 뒤 기후, 수학으로 예측!Part2. 대기오염 예보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으로!Part3. ... 폭발 감지Part7. 소리로 식별하는 지진 전조 현상Part8. 미리 알고 태풍 피해 막기Part9. 침투 이론으로 산불 진행 예 . ...
- 내일 기상 10년 뒤 기후, 수학으로 예측!수학동아 l2024년 04호
- 1만 1000여 명의 공동 성명이 올라왔다. 기후 위기가 예상보다 훨씬 빠르고 심각하게 진행돼 생태계와 인류가 위협받고 있으니 이에 빠르게 대처해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2023년 3월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발표한 제6차 평가 종합보고서에 따르면 지구의 온도는 산업화 이전보다 1.1℃ ... ...
- 침투 이론으로 산불 진행 예측수학동아 l2024년 04호
- 퍼지기 시작하는 p가 약 0.6962임을 증명했다. 산이 무한히 넓다고 가정하고 산불의 진행 방향과 규모를 분석하면, p가 0.6962 미만일 때는 불이 어느 정도 번지다 꺼진다. 즉, 불난 곳 주위에 나무가 있는 육각형이 대략 4개 미만이면 불이 숲 전체를 태우지 않는다. 반면 p가 0.6962 이상일 때는 불이 산 ...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있는 전문가입니다. 정 교수팀은 2020년 동물의 치아에 Sox2 단백질을 과발현시키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실험 결과, 치아를 만드는 상피 조직이 커질 뿐 치아 싹이 새로 나지는 않았습니다. doi: 10.1111/cpr.12729그렇다고 희망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닙니다. 프레져 교수팀은 2019년 11월, ... ...
- [SF소설] 타디그레이드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우나 쌤과 인류의 만남을 축하하는 날인데, 정작 쌤과 통신이 되지 않으니 행사를 진행하는 의미도 없고캡슐 열차도 전부 멈췄을 테니 교육구로 돌아갈 수도 없고우리 어쩌지?”“글쎄”그때 도서관 내 스피커를 통해 잡음이 잔뜩 낀 안내 방송이 들려왔다.“안내 말씀드립니다. 현재 메디움 시티 ... ...
- [대검찰청 과학수사노트] 멀티미디어 복원, 0과 1의 암호 속에서 사라진 정보를 찾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해결돼서 다행이에요!” *편집자주. 과학동아는 1월호부터 대검찰청 과학수사부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수사기술 연구를 가상사건을 통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수사의 마지막 퍼즐을 채우는 연구자들의 이야기를 만나보시죠 ... ...
- [논문탐독] 모든 물질의 출발점에 다가서는 입자 생성 매커니즘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빅뱅의 축소 모형과 같습니다. 유럽입자핵물리연구소(CERN)가 거대강입자충돌기(LHC)로 진행하는 앨리스(ALICE) 실험의 목표는 이 작은 빅뱅에서 어떻게 다양한 입자가 생성되고 상호작용하는지 연구함으로써, 우주의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죠. LHC는 지하 100m에 설치된 지름 27km의 원형 입자 ... ...
- [메타버스 여행법] 로블록스 게임을 해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처 음부터 시작하지 않아도 돼요. 체크포인트 지점에서 이어서 게임을 다시 진행할 수 있죠. 게임에 접속했다면, 우선 키보드에서 ESC를 눌러 주세요. 그러면 회원, 설정, 신고, 도움말, 녹화 메뉴가 나와요. 여기서 설정을 클릭하면 다양한 게임 설 정을 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메뉴인 ‘Shift Lock 전 ... ...
- 타디그레이드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지난 줄거리중앙 광장에 도착한 선은 공립 도서관이 열기를 기다리며 홀로그램 분수를 바라보다 우연히 한 학생을 만난다. 피부 곳곳에 흰 무늬가 있는 이 학생은 알고보니 기계도가 75%인 사이보그로, 학생들 사이에 동경의 대상인 ‘미아’였다. 선은 미아와 첫 만남에서 깊은 대화를 주고 받는 ... ...
- [특집]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중독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청소년의 뇌가 자극의 발화점이 낮은 이유는, 뇌 성숙이 아직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김 선임연구원은 “청소년기 발달 단계의 뇌세포는 전기생리학적 특성상 이온 채널의 수와 기능, 시냅스에서의 신경신호 전달 등이 완전히 성숙해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뇌가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