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차"(으)로 총 5,439건 검색되었습니다.
- [독자기고] 동그란 무지개의 비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있다면 일반적인 무지개는 속이 빈 도넛을 반으로 자른 모양인 반면, 브로켄 현상은 속이 차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비교적 최근인 2023년 8월 2일 오전, 제주도 한라산 정상에서 브로켄 현상이 목격됐습니다. 대단한 행운이 따라줘야 만날 수 있는 현상이에요. 일본에서는 과거부터 브로켄 현상을 ... ...
- [논문탐독] 단백체 연구의 시작은 정확한 질량분석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값이 모두 133.11입니다. 반면 탠덤 질량분석법은 두 류신의 파편 이온 속 동위원소의 질량 차를 이용합니다. 각 파편 이온의 m/z는 86.1, 87.1로 측정됩니다. 즉 우리는 탠덤 질량분석으로 이 둘의 혼합 용액에서도 그 구성 비율을 파악할 수 있죠. 이번 주제 논문은 단백체 정량분석에서 가장 많이 쓰는 ... ...
- 수학자의 레시피, 그 맛은?수학동아 l2024년 01호
- 크림과 은은한 차의 향이 조화를 이뤄 달콤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맛이 나는 크림티 스콘. 2013년 영국 수학자 유지니아 쳉은 완벽한 스콘을 만들기 위한 ‘크림티 스콘 방정식’을 발표했다. 그는 스콘의 지름과 재료의 중량 비율에 따라 수많은 크림티 스콘을 만들며 실험했다. 그 결과 수학적으로 ... ...
- [특별한 수학] 만화를 잘 그리고 싶어!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나도 이렇게 재미있는 만화를 그리고 싶은데·•·.''마나'가 고민에 빠져 있던 그때, 만화책 속에서 누군가 튀어나왔어요."안녕? 난 만화의 요정 '투니'야! 만화를 잘 그리는 비결이 궁금하면 날 따라와~!" 만화 요정이라고? 믿기지 않았지만, 마나는 일단 투니를 따라가 보기로 했어요.여러분도 함 ... ...
- [시사기획] 의사의 눈, 과학자의 손으로... 의사과학자가 걷는 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한 달간 연수를 하면서였다. 형광 이미지 처리 기술에 관심이 있던 차에, 스탠퍼드대 한 연구실에서 생물 발광 실험을 하는 것을 봤다. 김 대표는 그다음 해인 2010년, 내과 전문의를 취득한 뒤 KAIST 의과학대학원에 입학했다. 창업이 김 대표에게 또 하나의 선택지가 된 것은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기술정책이란 무엇일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과학기술자를 지원하기도 했죠. 과학의 중요성이 특히 급부상한 것은 상당히 최근인 제2차 세계대전 후, 1940~1950년대의 일입니다. 제2차 세계대전은 여러모로 과학 연구에 중요한 이정표였습니다. 과학이 국가의 흥망을 좌우할 정도로 거대한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기 때문입니다. 가장 ... ...
- [SF소설] 더 마더(THE MOTHER)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흘렀다. “제가 임무에 실패하면 어떻게 되죠?” “돌아가서 처벌을 받아야지.” 그의 차갑고 무심한 말투에 말문이 턱 막혔다. 미래의 나를 죽여야 내가 산다. 미래의 나를 제거해야 내가 사랑하는 일을 계속할 수 있다. 미래의 나를 죽여야 현실의 내가 존재할 수 있다.“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시간 ... ...
- 불만 없이 케이크 나누기 고독한 분할법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들고 케이크를 자르면 아무리 정교하게 하려고 해도 ‘완벽하게’ 같을 수 없다. 미세한 차이라도 반드시 어느 쪽은 크고 어느 쪽은 작다. 이럴 때 서로 불만이 없도록 케이크를 분배하는 것이 ‘공정하게 케이크 자르기’ 문제다. 우선 2명이 나누는 상황으로 생각하면 답은 간단하다. 한 명이 ... ...
- [커리어] 매일 전기 1kWh를 아끼면 무슨 일이? 지역 청소년 에너지 교육 '2023 신바람 에너지 스쿨 '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풍력 발전과 같은 재생에너지와 친환경 이동수단, 한국 에너지믹스 중 약 30%를 차지하는 원자력발전 등 에너지 시스템 전환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소개했다. 탄소를 흡수하는 방법도 학생들의 관심을 끌었다. 나무나 숲, 열대우림 등 육상의 식물이 탄소를 흡수하는 방법(그린카본)과 갯벌이나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땀샘 / 슈퍼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이 현상은 1년에 3~4번 정도 나타나요.슈퍼문이 뜨면 밀물과 썰물의 해수면 높이 차가 평소보다 커져요. 밀물과 썰물은 지구와 달, 혹은 지구와 태양 사이의 끌어당기는 힘 때문에 발생합니다. 슈퍼문 때는 달이 지구와 가장 가까운 곳에 있기 때문에 이 힘이 강해져 밀물과 썰물 현상이 더 크게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