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청색"(으)로 총 335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빛이 학문-국가의 경계 넘어 온 세상을 이롭게 비추길”과학동아 l2015년 03호
- 009년에 광섬유, 2012년에 양자물리학 그리고 지난해 청색 LED까지. 최근 10년 새 광학 분야에서 노벨상이 쏟아지는 데는 분명 이유가 있습니다. 21세기는 광학이 이끌어 갈 것입니다.” 1999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아메드 즈웨일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 교수의 기조연설이 끝나자 장내는 뜨거운 ... ...
- [과학동아 카페] “노벨상 원리, 장풍 알면 쉬워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위해 경남 통영에서 올라온 장재윤(충일여고 1) 학생은 “평소 주변에서 많이 보던 청색 LED로 노벨상을 받았다는 게 신기했다”면서 “이런 과학콘서트가 우리 지역에도 많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과학동아 카페는 과학지식에 목마른 일반인과, 현장의 최전선에서 활동하는 과학자가 직접 만나 ...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효소에 의해 분해되면 시안화수소가 만들어져 피부와 점막이 푸른색으로 변하는 ‘청색증’이 일어날 수 있어. 또 시안화수소가 물에 녹으면 몸에 아주 치명적인 독으로 알려진 ‘청산가리’가 된단다. 그러니 은행은 꼭 날것 그대로가 아닌 볶아서 먹고 하루에 2~3알만 먹도록 해. 매실은 설탕에 ... ...
- ‘돼지꿈’ 만들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분석해 급속한 안구 운동이 나타나는 렘(REM)수면, 즉 꿈꾸는 잠 단계에서 적색, 녹색, 청색 LED를 주기적으로 켜거나 음악을 틀어준다. 이런 자극을 통해 꿈꾸는 동안 꿈이라는 것을 아는 ‘자각몽(自覺夢)’을 꾸게 된다는 것이 개발자들의 주장이다.밴드를 개발한 ‘아이윙크스’ 팀의 전자공학 ... ...
- 불량식품첨가물 꼼짝 마!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6호
- 우와! 초콜릿에서 나온 색소가 각각 노란색 점과 파란색 점으로 나뉘었어.여기 황색4호와 청색1호에서 나온 점을 합한 것과 같지? 그러니까 이 초콜릿에는 황색4호와 청색1호가 함께 들어 있다는 뜻이지.헷갈리우스 아저씨는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 같은데? 허용색소가 들어 있으니까 이렇게 실험을 ... ...
- Part 1_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효과에서 나온다. 물체가 관측자를 향해 다가오면 파장이 짧아져 푸른빛에 가까워지는 청색편이 현상이 생기고, 멀어지면 파장이 길어져 붉은빛에 가까워지는 적색편이 현상이 생긴다. 즉 멀리 떨어져 있는 은하일수록 적색편이가 크다.미국 포츠머스대 연구원으로 재직하던 2007년 필자는 ... ...
- 왓슨과 크릭도 상상 못한 DNA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면 자체가 청색이어서 염색 없이 청바지를 만들게 될 거예요. 유전자 기술을 이용해 청색면화를 만들고 있거든요. 옷감을 염색할 때 환경오염이 일어나는데, 처음부터 빨강, 파랑, 노랑 같이 다양한 색이 물든 면화를 생산하면 환경오염도 막을 수 있답니다.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꾼 식물 ... ...
- 다섯 가지 과학을 입으면 IRON MAN 으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바꾸는 것은 물론, 시각적으로도 무척 아름답단다. 캐나다의 한 의류회사에서는 원래 청색이지만 손이 닿거나 체온이 오르면 그 부분만 하얗게 변하는 청바지를 내놓기도 했어. IRON MAN 조건 3 자유롭게 날아라!아이언맨이 되려면 무엇보다도 남들보다 빠른 움직임과 강한 체력이 필요할 거야. 다른 ... ...
- 연금술과 화학의 경계에서 색을 만들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비율로 넣어 녹인 뒤 천에 감싸 액체를 제거하고, 뜨거운 잿물에 담가 짓이기면 잿물이 청색으로 물든다. 이 잿물을 말려 가루를 만들면 울트라마린을 만들 수 있다. 20세기까지 오는 동안 색 제조가들이 아름다운 색을 찾기 위해 가졌던 노력은 끝도 없다. 화려한 색깔과 화가의 정성이 합쳐진 ... ...
- 과학전문기자가 와인 파티를 연다면?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사람처럼 눈도 없는데 태양의 방향을 귀신 같이 알고 고개를 돌린다. 빛이 적색광이냐, 청색광이냐에 따라 성장도 달라진다. 정말 식물은 빛을 보고 있다! 책에서는 다양한 식물의 감각을 매우 쉽게 설명하고 있다. 얌전히 자리에 앉아 광합성만 하는 줄 알았더니 세상을 보고, 냄새 맡고, 느끼고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