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독자기고] 동그란 무지개의 비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닉네임 전독위 3기 주연우) 님의 글입니다. 2023년 12월 2일 과학동아 공식 네이버 카페에 최초 공개된 내용을 함께 보시죠. 특별한 대기광학 현상, 브로켄 현상 안녕하세요, 과학동아 독자 주연우입니다. 1월, 새해 다짐도 굳힐 겸 등산을 많이 갈 시기죠. 혹시 산꼭대기나 능선에서 원형의 무지개를 ... ...
- 더 강해져서 돌아왔다...빈대의 습격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채널에 돌연변이가 있는 빈대는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에 저항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최초로 밝혀냈습니다. doi: 10.1093/jmedent/45.6.1092 나트륨 채널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으면 살충제가 신경세포로 들어오더라도 나트륨 채널을 계속 열어둘 만큼 강력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겁니다. ... ...
- 아프리카 펭귄에게 ‘점’이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펭귄들이 배와 가슴을 내밀며 힘차게 물 밖으로 나온다. 사진 속 펭귄들은 주로 남아프리카 해안에 서식하는 아프리카 펭귄(Spheniscus demersus)이다. 아프리 ... 짝을 구별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새의 개체 인식을 담당하는 시각적 단서를 최초로 증명한 것”이라고 의미를 설명했다 ... ...
- 보행자가 된 로봇 같이 걸으실래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수 없었습니다. 로보티즈는 2019년 12월 산업융합 규제샌드박스를 통과해 국내 기업으로는 최초로 마곡 일대에서 보도를 통행하며 시범 배달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이런 실외 이동로봇은 앞으로 더 늘어날 전망입니다. 2023년 10월 19일, 실외 이동로봇을 ‘차’로 규제하다가 ‘보행자’ 지위를 ... ...
- [시사기획] 의사의 눈, 과학자의 손으로... 의사과학자가 걷는 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교수는 2020년, 이정석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와 함께 지놈인사이트를 공동 창업해 세계 최초로 전장유전체분석을 통해 암을 정밀하게 진단하는 플랫폼을 만들었다. 한 사람의 유전체는 백과사전 1000권 분량에 달할 정도로 방대하다. 그런데도 오늘날 유전체 검사 비용은 20년 전과 비교해 약 10 ... ...
- [과학뉴스] 45억 년 전 지구와 충돌한 행성 맨틀 아래 남아있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쌓인 것이라는 가설이 있었다. 이번 연구는 테이아를 LLVPs의 원인으로 진지하게 분석한 최초의 연구다. 연구팀은 보도자료를 통해 “앞으로 테이아에서 기원한 물질이 판구조론 등 지구 내부 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지 알아볼 것”이라고 밝혔다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기술정책이란 무엇일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갈릴레오 갈릴레이입니다. 갈릴레이는 망원경을 이용해 목성 주변을 도는 위성 4개를 최초로 발견하고, 그 위성의 이름을 자신을 후원하던 메디치 가문의 이름을 따 ‘메디치의 별’로 지었습니다. 자신의 연구를 집대성한 책 ‘시데레우스 눈치우스’는 코시모 2세 데 메디치에게 바치죠. 그 결과 ... ...
- [과학사] 우리나라 첫 다목적 실용위성, 아리랑 1호 발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1호 발사 이전에도 우리나라에는 이미 다른 위성이 있었어요. 1992년 발사된 우리나라 최초의 국적 인공위성인 ‘우리별 1호’와 1995년 발사된 통신 위성인 ‘무궁화 1호’예요. 이후 여러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아리랑 1호가 발사되며 마침내 우리나라도 다양한 관측을 통해 우주 기술 발전에 박차를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다누리 미니블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인류 최초로 달 남극에 착륙하는 데 성공했지요. 다누리는 찬드라얀 3호의 착륙 지점을 최초로 촬영해 지구로 전송했습니다.다누리에는 총 6개의 과학 장비가 실려 있어요. 달 착륙선의 착륙 지점을 탐색하는 고해상도 카메라, 달의 어두운 부분을 촬영하는 섀도 캠, 우주에서의 통신을 위한 우주 ... ...
- [가상인터뷰] 불가사리의 별 모양, 몸통 아닌 머리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5개가 각각 머리에서 꼬리까지의 복사본에 해당한다는 가설이 있었어. 이번 연구를 통해 최초로 불가사리 몸체를 형성하는 유전자 지도를 만들어 기존의 가설을 뒤집을 수 있었어. 제프 톰슨 박사는 “불가사리 등 극피동물에 대해 사람들이 갖고 있던 생각을 근본적으로 뒤집은 연구”라고 전했어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