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ock
Cock
d라이브러리
"
콕
"(으)로 총 8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의학으로 본 ‘애가 타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간 기능에 특별히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른 장기의 기능은 제쳐두고 간만
콕
집어서 정신적인 문제에 예민하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초조한 상태가 되면 심장이 빨리 뛰고 진땀을 흘리게 되므로 오히려 심혈관계에 더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볼 수는 있다.다만 한의학에서는 사람의 ... ...
어과동 기상 특보! 올 겨울 눈폭탄의 정체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왜 약해졌을까?여러 요인이 북극 진동 현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올겨울 변화를
콕
집어 설명하기는 어렵다. 다만 전문가들은 올겨울 북극의 기온이 약 영하 20℃로 과거 몇 년보다 약10℃가 높았던 데 주목하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북극의 평균 기온이 높아지자, 북극의 제트기류가 느슨해지면서 찬 ... ...
몸속 영상에서 병든 부위 짚어 암 치료제 개발에 다가선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기관이 정확히 어디에 어떻게 위치하는지 세밀하게 그려진 영상에서 질환이 있는 부분을
콕
짚어내는 셈이다.만약 흰쥐가 어떤 질환에 걸렸는지 진단하려면 먼저 마취를 시키고 꼬리의 정맥에 방사성 의약품을 주사한다. 이때 사용하는 방사성 의약품은 PET 검사를 할 때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 ...
가르고 모으면 숫자가 보여요!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수학통조림 교과서가왔습니다.앞으로 여러분의 수학실력에 밑거름이 될 중요한 개념만
콕
집어내 만든 맛있는 수학통조림입니다. 핵심 개념설명부터 실생활에서 활용까지 시간이 지나도 맛있고 쉽게 소화시킬 수 있습니다.‘수학통조림’ 시리즈 그 첫 번째 맛은 약수와 배수입니다. 약수,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압력이 1기압이었다. 아보가드로의 법칙에 의해 두 용기에 있는 기체의 양은 같다.
콕
을 연 후, 충분한 시간이 흐르면 두 개의 플라스크에 같은 양의 기체가 존재한다. 수소 기체와 질소 기체는 종류는 다르지만, 두 용기에 존재하는 기체의 입자 수는 같다. 그러므로 두 용기 모두 용기의 기압이 각각 ... ...
자동차 타고 떠나는 물리 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수십 개의 악기가 한꺼번에 연주하는 데도 그 중에서 음정이 정확히 맞지 않는 악기를
콕
집어냈다. 사실 사람의 귀는 가장 예민한 소리를 측정하는 장치 중 하나로 진동수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오케스트라 단원들은 연주하기 전 악기를 튜닝하는데, 이때 A음을 기준으로 한다. A음은 ... ...
세계 최고 성능의 질량분석기 개발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위해서는 특정 질병과 관련된 단백질(바이오마커)을 알아내야 한다”며 “바이오마커를
콕
집어내려면 그 질량을 정확히 측정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기초연은 충북 청원군 오창캠퍼스에 첨단질량분석연구동을 완공하고 세계 최고 성능의 질량분석장비(15T FT-ICR)를 개발한 상태다. 중요한 ... ...
21세기 청진기, 의료영상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인 의료영상은 인류의 건강을 뒷받침하는 파수꾼으로 불릴 만하다. 알쏭달쏭 의료영상
콕
집어보기!병원에 가면 “CT는 찍어봐야죠”, “MRI도 해봅시다”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 그런데 CT와 MRI는 어떻게 다를까. 질병의 조기 진단에는 PET가 좋다는데…. 이제 21세기 청진기 역할을 하는 다양한 ... ...
풍덩~ 바다목장에 놀러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덩치 크고 힘센 나는 제주도에서 다금바리라 불러. 하지만 수줍음이 많아 바위굴에
콕
박혀 살아. 울진(관광형, 동해)배나 비행기로 만든 멋진 어초 사이로 헤엄치는 우리가 보고 싶으면 울진으로 와! 동해는 해저에 차가운 물이 흐르기 때문에 늘 물고기가 머물기는 어려워. 하지만 물이 맑아 ... ...
PART2 암 발생 20년 전에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비교하며 암세포를 찾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지만 PET는 암세포 활동을 추적해 암세포만
콕
집어내는 게 특징이다. 이런 특성 덕분에 PET는 개인에게 효과적인 맞춤치료법을 선택하는데도 큰 도움이 된다.항암제를 투여하거나 방사선으로 암을 치료한 뒤 종양 크기가 감소하려면 1개월 이상 걸리지만 ... ...
이전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