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책] 은하 도슨트가 안내하는 우주의 걸작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달랐다. “먼 우주에선 여전히 활발하게 별들이 탄생하거나, 성장의 초기 단계에도
큰
은하를 품은 우주도 있습니다. 이 먼 우주의 사진들은 초기 우주가 지금보다 훨씬 역동적이었을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덕분에 우리는 현재와 다른 우주의 과거와 미래를 직시하기 ... ...
[통합과학 교과서] 개과천선한 놀부, 다시 화낸 사연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기다리는 것도 하루 이틀이지. 벌써 이게 며칠 째야! 일정 짠 사람 누구야? 흥부 아냐?”
큰
소리의 주인공은 놀부였어요. 흥부가 마구 화내는 놀부를 달래고 있었죠.“이게 무슨 일인가요?”꿀록 탐정이 흥부에게 물었어요.“꿀록 탐정님! 아시다시피 놀부 형님이 죄를 뉘우치고 그간 사이좋게 잘 ... ...
[에디터 노트] 특이점과 빅뱅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과학정책’ 칼럼이 그 첫걸음입니다. 2023년 하반기 R&D 예산 삭감 이슈로 과학기술계가
큰
충격을 받았을 때 과학동아는 무슨 이야기를 해야할지 고민이 많았습니다. 그렇게 비인기 삼엽충 연구가 너무도 절실한 김공룡 박사 스토리가 탄생했습니다.아직 보지 못한 분이 있다면 1월호부터 정주행해 ... ...
[과학뉴스] 달 탐사선 ‘오디세우스’ 세계 첫 민간 달 착륙 성공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NASA 과학 임무국 탐사 부국장은 기자회견에서 “달에 부드럽게 착륙했다는 건 매우
큰
성취”라며 “이번 미션을 통해 얻은 데이터와 고도의 로봇 기술은 인간을 다시 달로 보내는 아르테미스 계획을 성공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 ...
대기오염 예보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으로!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수 있다. 게다가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면, 공기 중의 입자가 서로 충돌하고 뭉쳐서 더
큰
입자가 된다. 오염 물질과 뒤엉켜 무거워진 입자는 오염 물질을 품은 채 고스란히 우리를 향해 떨어진다. 미세먼지는 황사와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예보한다. 먼저 대기 측정망, *라이다 관측, 위성 관측 등을 ... ...
소리로 식별하는 지진 전조 현상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발생 즉시 넓은 범위에
큰
피해를 주는 무시무시한 자연재해다. 그러나 지진이 언제 어디에서 발생할지 예측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특정한 소리를 식별하면 지진의 전조 현상을 파악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2019년 미국 로스 앨러모스 국립연구소 연구팀은 직접 만든 2차원 수치예보 모형에 ... ...
수학은 명탐정!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도시 지역의 도난 범죄는 교외와 달리 위치보다는 이전 범죄가 발생한 시점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2018년 수학자 호안 살다냐는 대도시에서 발생하는 도난 범죄의 특징을 수학적으로 분석했다. 교외 지역의 범죄 특징을 설명하는 기존 연구에서는 도난 피해를 입은 건물과 ... ...
암흑물질의 증거 조각? 정말 이상한 구름 '누베'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가까운 이웃 은하는 누베로부터 무려 140만 광년이나 떨어져있는 UGC 929 은하다. 보통 TDG는
큰
은하에서 5~6만 광년 떨어진 범위 안에서 만들어진다. 따라서 누베가 UGC 929와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떨어져나간 작은 조각 중 하나라고 보기는 어렵다. 누베는 사실상 주변에 아무런 이웃 은하가 없는 텅 빈 ... ...
[기획] 아직 젊은 당신이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문 교수는 “CGM은 자신의 혈당을 눈으로 볼 수 있어 건강한 생활방식을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된다”며 “이는 자연스레 체중 감량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아직 과학적 근거가 다소 부족한 것은 사실”이라며 “앞으로 CGM과 체중 감량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돼야 할 것”이라고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성장을 멈추죠. 연구팀은 신약 개발이 무치증을 앓고 있는 미성년자 환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거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키타노병원은 임상 환자 등록을 거쳐 2024년 7월 1차 임상시험을 시작하고, 총 3번의 임상시험을 통해 2030년 주사형 치아 재생 약물을 개발할 계획입니다. 치아 재생이 특히 어려운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