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페스트"(으)로 총 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공위성으로 미아 찾는다과학동아 l2002년 09호
- 코흐를 따라 콜레라 연구위원회의 일원으로 이집트 · 동인도에 갔고(1883), 후에 인도의 페스트 연구위원회 회장이 되었다(97)1778~1850 프랑스의 화학자 · 물리학자 23세 때 기체의 온도에 의한 체적팽창의 법칙을 발견하고 이른바 샤를의 법칙〈제1법칙〉을 실험적으로 확립하였다(1801년) 토리첼리의 ... ...
- 미생물이 만든 인류의 역사과학동아 l2002년 07호
- 피해를 받지 않았는지, 또 쥐가 페스트의 원인균을 옮긴다면 14세기 이전에는 왜 페스트에 의한 특별한 피해가 없었는지 등의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즉 질병의 역사성에 주목하는 것이다.이밖에도 오랫동안 수많은 병을 앓아온 태양왕 루이 14세가 최후를 맞이하는 순간을 주변 사람들의글과 회상록 ... ...
- 가난한 자의 핵무기 생화학전과학동아 l2001년 11호
- 비행기로 중국의 도시 상공에 뿌렸으며, 페스트를 보균한 벼룩이 가득 찬 포탄을 쏘아 페스트를 전염시켜 수많은 인명을 살상했다. 나치독일과 옛소련도 생물무기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제2차 세계대전의 종결이 생물무기의 개발과 실험작업의 중단을 의미하지 않았다. 1972년 4월 ‘세균성 ... ...
- 콜레라균 꿀꺽 마신 과학자과학동아 l2001년 06호
- 질환의 하나다. 콜레라 외에 전염병이 인류에게 큰 해를 입힌 것은 중세말의 한센병과 페스트, 17-18세기에 대유행한 발진티푸스와 두창의 예를 들 수 있다. 콜레라는 19세기 1백년 동안 인류를 줄기차게 공격했으며, 이로 인한 피해가 막대하기는 했지만 결과적으로 인류가 공중보건의 중요성을 ... ...
- 끓는 기름과 달군 쇠로 병원균을 죽여라!과학동아 l2001년 05호
- 한센병은 중세 시대에 많은 환자들을 양산했으며, 1348년부터 약 3백년 동안 유럽에서는 페스트가 크게 유행해 결국 중세사회가 몰락하는 ‘원동력’이 되기도 했다. 15세기 말부터 16세기에는 매독이 인류를 위협했고, 17세기와 18세기에는 두창과 발진티푸스가 유행했다. 에스파냐 군대는 두창의 ... ...
- 환경재앙 경고한 카슨의 '침묵의 봄'과학동아 l1999년 08호
- 전쟁에서 이보다 좋은 무기가 없었던 것이다. 군대가 머무는 곳마다 말라리아, 티푸스, 페스트 등을 옮기는 해충과 박테리아를 없애기 위해 엄청난 DDT가 뿌려졌다. 연합군에 의해 해방된 나폴리의 경우 티푸스를 예방한다는 명목으로 전주민에게 DDT 가루를 뒤집어씌운 일도 있다. 물론 집단생활을 ... ...
- 아우슈비츠와 731부대과학동아 l1999년 06호
- 731부대는 오랫동안 베일 속에 묻혀 있을 수 있었다.731부대에는 바이러스, 곤충, 동상, 페스트, 콜레라, 식물 등 생물학무기를 연구하는 17개 연구반이 있었다. 각각의 연구반에서는 이를 연구하기 위해 ‘마루타’(껍데기만 벗긴 통나무라는 뜻의 일본어)라고 불리는 인간을 생체실험용으로 사용했다. ... ...
- 수학의 난제과학동아 l1998년 10호
- 사람들은 제단의 각 모서리 부분을 각각 2배가 되도록 재건축했지만 여전히 사람들은 페스트로 쓰러져 갔다. 제단의 부피가 2배가 아닌 8배로 늘어났기 때문이었다.결국 이 문제들은 그로부터 2천여년이 지난 1800년대에 들어서 그것들이 모두 불가능하다는 것이 증명됨으로써 끝을 맺었다.그렇다면 ... ...
- 이별의 씨앗이 된 현미경과학동아 l1998년 03호
- 그리고 1903년과 1904년에는 아프리카에서 말라리아, 수면병, 흑수열, 아프리카 재귀열, 페스트 등에 대해 세균학과 역학 연구를 했다. 인생의 반려자 없이 지낸 세균학자로서의 처음 반생(半生)보다는 못하지만, 몸과 마음이 모두 아름다운 헤드비히가 곁에서 큰 힘이 되었던 나중 반생도 적지 않은 ... ...
- 전염병 실체 밝힌 세균학의 아버지과학동아 l1998년 03호
- , 장티푸스균 (1880년, 에베르트), 나병균 (1880년, 한센), 디프테리아균 (1884년, 클렙스), 페스트균 (1894년, 키타사토와 예르상), 이질균 (1898년, 시가), 매독균 (1905년, 샤우딘) 등은 코흐의 방법을 활용하거나 더욱 발전시켜 세균학자들이 발견한 수많은 병원균 목록 가운데 일부일 뿐이다.그뿐 아니라 ... ...
이전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