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부"(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신 이슈] LK-99 논란으로 다시 본 상온 초전도체 미스터리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옮기는데, 구리선의 저항 때문에 통상 7%의 전력이 손실된다. 김창영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전력 손실이 준다는 것은 필요한 만큼만 전기를 생산해도 된다는 뜻”이라며 “전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을 줄이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초전도체로 강력한 ... ...
- Part5. 우주의 끝에서 빅뱅 직후를 목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빅뱅 후 5억 년 이전의 초기우주를 관측하는 것이다. 이는 허블 우주망원경이 관측할 수 없었던 범위의 우주다. 그리고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관측을 개시하자마자 초기우주의 다양한 정보를 보내오고 있다. 초기우주의 거대질량 블랙홀과 은하는 ... ...
- [이그노벨상] 웃기려고 한 연구 아닙니다 8화. 모든 말에는 의미가 있다, 심지어 욕설까지도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줄어드는 범위가 다르다는 연구를 발표했다. 이 연구에는 킬대를 다니던 또 다른 불쌍한 학부생 71명이 동원됐는데, 욕을 자주하지 않는 학생의 경우 욕설을 쓰면 평소보다 2배 가량 오래 찬물의 고통을 버틸 수 있었다. 반면 하루에 욕을 60번 정도 하는, 입이 험한 학생들은 욕을 할 때와 하지 않을 때 ... ...
- 창원대학교 국립대학 육성사업, 300평의 스마트 팩토리에서 글로컬 인재 키운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월 11일, 국립 창원대 스마트제조융합전공(학부)과 스마트제조융합협동과정(대학원)이 있는 82동에 들어가자 입이 ‘떡’ 벌어지는 규모의 스마트 팩토리가 보였다. 면적이 1000m2에 달하는 스마트 팩토리는 나노공정실, 로봇 적층제조실, 3차원(3D) 프린터실, 메이커아지트 제작실 등으로 나뉘어져 ... ...
- 허준이 교수의 영재 상담소수학동아 l2023년 08호
- 건지, 수학 문제를 푸는 것을 좋아하는 건지 모르겠어요. 이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A. 학부 과정과 대학원 과정 등 다음 단계의 수학을 공부해보면 알 수 있어요. 꼭 대학원에 가야지만 대학원 수학을 공부할 수 있는 건 아니니까 공부해보고, 논문도 한번 써보세요. 계속해서 그 다음 단계를 ... ...
- 따오기, 판다, 기린… 동물 외교가 남긴 것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이른바 ‘동물 외교’인 것이다. 6월 30일 서울대 16동에서 만난 조동준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는 “동물 외교는 미래를 내다보고 한 나라의 호감을 얻기 위한 방법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조 교수는 외교를 ‘좁은 외교’와 ‘넓은 외교’로 나눠 설명했다. 좁은 외교는 쉽게 말해 눈앞에 닥친 ... ...
- AI로 디자인의 지평을 넓히다 국민대 AI디자인학과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학생을 위한 지원도 풍족하다. 학부생 절반이 2년 전액 장학금을 지원받으며, 더 심도있는 공부를 원하는 학생을 위해 1~2학년부터 대학원 인턴십에 참여할 수 있다. ‘핫’한 학과에 산업계 관심도 뜨거워 AI디자인학과를 졸업한 후의 진로는 ... ...
- 최고의 교수진이 최고의 인재 기른다, KAIST 반도체시스템공학과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이동해 저명한 연구자들과 만날 기회를 갖게 해주는 특전도 인상 깊다. 조 교수는 “학부생들에게 더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며 “학생들이 졸업 이후 금융이나 다른 IT 분야로 진출할 수도 있기 때문에 방학 동안에는 서울 캠퍼스에 가서 경영학 수업과 같은, 평소 듣지 않는 ... ...
- 난제에 도전한다! 허준이 펠로우수학동아 l2023년 08호
- 새로운 도구들을 계속해서 만들어 내지요. 대학 시절 서울대 물리천문학부에서 수리과학부로 전과했어요. 대학교에 들어와 공부해보니 물리보다 수학이 더 제게 맞았습니다. 대학원 1학년 땐 밤을 자주 새울 만큼 공부가 쉽진 않았습니다. 한 줄 한 줄은 따라갈 수 있는데 전체 내용은 도무지 이해가 ... ...
- 손끝의 아주 작은 암호,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오늘도 지문으로 스마트폰 잠금 화면을 해제하셨나요? 지문은 사람마다 달라 암호로 쓰이고 있습니다. 이런 지문은 어떤 이유로 우리 몸에 존재하는 걸까요? 지문의 정체와 무궁무진한 활용까지 모두 알아봤습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손끝의 아주 작은 암호, 지문Part1. 지문의 탄생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