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술"(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사 극장] 프랭클린은 왓슨과 크릭에게 노벨상을 도둑맞았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53년 4월 25일, 영국 케임브리지대 캐번디시 실험실의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은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DNA의 구조가 이중나선임을 밝히는 논문을 출판했다. 이 발견으로 1962년 왓슨과 크릭, 그리고 킹스 칼리지 런던 의학연구부 생물물리부서의 모리스 윌킨스가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 ... ...
- 세상에서 가장 섹시한 수, 섹시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이탕 장은 소수 간격이 7000만 이하인 소수쌍이 무한히 많음을 증명해 권위 있는 수학 학술지인 에 실었다. 이후 1년간 연구의 속도가 붙어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 특히 수학자들의 난제 공동 연구 프로젝트인 ‘폴리매스’에서 이 문제에 관심을 가지면서 두 소수의 간격을 246까지 좁혔다. ... ...
- 집안일 하다 떠올린 팬케이크 문제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정렬할 수 있을까?’ 굿맨은 이 문제를 수건에서 팬케이크로 바꿔 미국의 수학 학술지 ‘미국 월간 수학’에 보냈다. 재미있는 건, 자신의 이름 대신 ‘해리 드웨이터’라는 가명을 써서 보냈다. 당시 한창 수학자로서 명성을 쌓아가던 굿맨은 사람들이 자신을 하찮은 퍼즐에나 관심 있는 수학자라 ... ...
- [포토뉴스] 불가사리는 사실 팔이 없다 머리만 있을 뿐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통해 불가사리는 사실 대부분 머리로만 이뤄져 있다는 연구 결과가 2023년 11월 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됐다. doi: 10.1038/s41586-023-06669-2 미국 스탠퍼드대와 영국 사우스햄프턴대 등 국제 공동연구팀이 박쥐 불가사리(Patiria miniata)의 유전자 발현을 분석한 결과다. 불가사리의 머리를 찾을 때의 . ...
- [과학뉴스] 인공지능이 만든 얼굴 진짜보다 더 진짜 같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비슷해졌다. 2023년 11월 13일, 에이미 다웰 호주 국립대 의대 심리학과 교수팀은 국제학술지 ‘심리과학’에 AI로 만들어진 얼굴이 진짜 얼굴보다 더 현실적으로 인식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doi: 10.1177/09567976231207095 연구팀은 실험에 참가한 백인 124명에게 실제 사람의 얼굴 사진 50개와 AI로 만든 ... ...
- 컴퓨터 공학도들, 2000년 전 파피루스를 읽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해독하는 자에게 상금 70만 달러(약 9억 2400만 원)를 수여하겠다.’ 프랑스 최고 권위의 학술기관, 프랑스 학사원이 주최한 ‘베수비오 챌린지(Vesuvius Challenge)’의 주요 내용이다. 상금을 얻기 위해 2023년 3월부터 미국, 독일, 중국 등 각국의 컴퓨터 공학도들이 챌린지에 뛰어들었다. 이들이 읽어야 ... ...
- 불만 없이 케이크 나누기 고독한 분할법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분배가 이뤄진 것’이라고 공정한 분배의 수학적 정의를 내렸다. 1948년 그는 경제학 학술지인 에 발표한 ‘공정한 분배 문제’에서 케이크를 예로 들어 토지나 방송 시간 등을 어떻게 공정하게 나눠야 할지 언급했고, 이 문제는 수학과 컴퓨터과학, 정치학에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 ...
- 팬케이크 맛있게 굽는 반죽 비율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반대로 반죽이 너무 질면 팬케이크가 너무 얇게 퍼져 과자처럼 구워진다. 2016년 수학 학술지 ‘매스매틱스 투데이’에 이에 관한 연구가 실렸다. 영국 런던칼리지 유체역학연구실과 영국 국립보건연구원은 녹내장을 예방하는 방법을 찾기 위한 선행 연구로 팬케이크 반죽을 걸쭉하게, 알맞게, ... ...
- [과학뉴스] 45억 년 전 지구와 충돌한 행성 맨틀 아래 남아있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만들어졌을까. 2023년 11월 1일, 첸 위안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지진연구소 연구원팀은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LLVPs가 원시 지구에 충돌한 행성 ‘테이아’의 잔해일 수 있다는 시뮬레이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doi: 10.1038/s41586-023-06589-1 테이아는 달의 기원을 설명하는 ‘거대 충돌 가설’에 ... ...
- [시사기획] 의사의 눈, 과학자의 손으로... 의사과학자가 걷는 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가위 논문이 발표됐을 때를 기억해요.” 문 전무가 박사과정 중이던 2012년 8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한 논문이 발표됐다. 제한효소 크리스퍼가 바이러스의 DNA를 절단하는 원리를 밝혀낸 뒤, 이를 원하는 DNA 절단에 활용할 수 있음을 실험으로 확인해 유전자 가위의 탄생을 알린 논문이었다.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