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 쌍"(으)로 총 9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슈2] 알고 건너자! 알쏭달쏭 다리 - 아치교편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6호
- 바다를 건널 만큼 기다란 다리를 지을 때는 편평한 아치가 필요하기도 해요. 다리 전체의 높이를 ... 원형 아치뿐만 아니라 타원형, 포물선형, 쌍곡선형 등 다양한 아치가 쓰여요. 원은 원뿔의 밑면과 평행★하게 잘랐을 때 나타나요. 타원은 밑면과 평행하지 않게 비스듬한 각도로, 동그란 모양을 ... ...
- [기획] 다지류 다리 많은 친구들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가끔은 어둡고 습한 지하실이나 창고 구석에서도 만날 수 있죠. ... 이어져 몸통을 이루는데, 체절마다 다리가 한 쌍이나 두 쌍씩 붙어 있지요.다지류는 크게 지네강, 노래기강, 좀지네강, 애지네강의 네 종류로 구분됩니다. 이중 대표적인 동물은 지네와 노래기예요. ... ...
- [기획] 특이한 뼈를 가졌군? 신종 공룡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같은 종과 힘겨루기를 하기 위해 꼬리 곤봉을 한쪽으로 휘두르다가 비대칭이 된 것으로 ... 12월, 도깨비방망이처럼 생긴 꼬리를 가진 공룡 한 마리가 국제학술지 의 표지를 ... 확연히 달랐습니다. 꼬리가 넓적하고, 옆으로 7쌍의 골편이 튀어나와 꼬리를 감싸고 있었거든요. 연구팀은 ... ...
- [엣지 사이언스] NASA 임무 나서는 한국 달 관측기기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위를 바라보고 있고, 다른 하나는 아래쪽을 관측한다. 우주에서 날아오는 입자와 표면에 반사되는 입자를 확인하고 차이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두 쌍의 검출기가 각각 서로 다른 성분을 검출하는 것도 특징이다. 한쪽은 전자를, 다른 한쪽은 양성자를 검출하도록 설계돼 있는데 한꺼번에 섞여 ... ...
- [폴리매스 미궁] 알에서 발견된 소녀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소녀는 티티르의 질문에 아무런 대답을 하지 못한다. “누구? 어디? 몰라.... 기억이 안 나....” 티티르는 당황한다.‘기억을 잃었나? 어떻게 해야 하지?’그때 ... 함부로 부족에 들였다는 신고가 들어왔다! 불쌍 하다고 받아줬더니 몰래 그런 짓을 해?”“앗, 아니에요! 다친 것 같아서....”하지만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토끼가 번식왕인 이유?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늘어나는 토끼 쌍의 수는쌍이에요. 수의 규칙을 발견했나요? 바로 앞의 두 수를 더한 값이 뒤에 온다는 걸 알 수 있어요. 규칙을 통해 12달 후 토끼 쌍의 수를 쉽게 구할 수 있어요. 이러한 수의 규칙은 오늘날 ‘피보나치 수열’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어요. 피보나치 수열은 꽃잎의 수, . ...
- [헷갈린 과학] 미끌미끌 미끄러워 미꾸라지 VS 미꾸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3호
- 그래서 ‘미꾸라지 용 됐다’, ‘미꾸라지 한 마리가 온 웅덩이를 흐린다’처럼 관련된 속담도 ... 몸길이가 약 15~20cm인 미꾸라지는 입 근처에 다섯 쌍의 수염이 나 있어요. 길쭉한 몸과 수염 때문에 옛날 사람들은 미꾸라지를 작은 ‘용’에 비유하기도 했어요. 미꾸라지는 동물성 플랑크톤이나 ... ...
- [가상 인터뷰] 딱 붙은 따개비! 사실은 움직일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2호
- 치며 자유롭게 돌아다니다 성체가 되면 바위나 배, 동물의 껍데기 등 딱딱한 표면에 붙어 정착합니다. 이후로 움직이지 않고 가슴에 달린 6쌍의 만각을 움직여서 물속의 플랑크톤을 잡아먹고 산다고 알려져 있었어요. 지금까지는 말이죠. 움직이실 수 있다고요?2000년대 후반, 바다거북 연구자들 ... ...
- [헷갈린 과학] 하나는 두 가닥, 하나는 한 가닥?DNA VS RNA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입 등 여러분의 생김새를 결정하는 DNA에 대해 한 번쯤 들어본 적 있을 거예요. 그런데 비슷한 ... >DNA, 이중이 아니라 사중나선을 만들기도 한다?DNA는 두 가닥의 사슬이 쌍으로 꼬여있는 이중나선 구조로 되어 있어요. 그런데 몸속에서는 DNA가 다양한 형태로 꼬여 있어요. 작년에는 영 ...
- [통합과학 교과서] 무지개의 끝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됩니다.즉, 공기 중의 물방울 하나하나가 미세한 프리즘이 되어 햇빛을 색색들이 분리한 것이죠. 통합과학 넓히기서울에 쌍무지개가 떴다! 지난 7월 중순 오후, 하늘을 올려다본 서울 시민들은 깜짝 놀랐어요. 소나기가 그친 서울 하늘에 쌍무지개가 떠올랐기 때문이죠. 쌍무지개는 원래의 무지개 ... ...
이전2345678910 다음